• 제목/요약/키워드: Marine Production

검색결과 2,170건 처리시간 0.035초

Experiences with Some Toxic and Relatively Accessible Heavy Metals on the Survival and Biomass Production of Amphora costata W. Smith

  • Mandal, Subir Kumar;Joshi, Vithaldas Hemantkumar;Bhatt, Devabratta Chandrashanker;Jha, Bhavanath;Ishimaru, Takashi
    • ALGAE
    • /
    • 제21권4호
    • /
    • pp.471-477
    • /
    • 2006
  • Amphora costata W. Smith 1853 is a down thrown diatom species and also known as metal corrosive ship-fouling organism. A. costata was isolated from Alang ship breaking yard, Alang and evaluated the toxicity tolerance and growth responses of the cultures exposed to different doses of toxic and relatively accessible heavy metals, such as Fe, Mn, Cd, Co, Cu, Zn, Ni, and Pb in the constantly monitored laboratory culture conditions. The strongest toxic effect was observed on A. costata exposed to Cd even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as compared to other metals. The following trend of decreasing order of toxicity i.e. Cd>Zn>Ni>Co>Pb>Cu>Fe was observed, when they were exposed to equal concentration and expose time.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The Economic Impacts of Marine Bio-energy Development Project)

  • 김태영;진세준;박세헌;표희동
    • 에너지공학
    • /
    • 제22권2호
    • /
    • pp.184-196
    • /
    • 2013
  • 경제 발전과 산업의 발달로 화석연료를 대체할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환경과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에너지 개발이 필수적이며, 그 대안으로 해양 미생물에 기초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이 해결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의 제3차 신 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 보급 계획에 근거하여, 2030년까지 바이오에너지 부분의 50%인 500만TOE를 해양 바이오에너지에서 생산하려 한다. 본 연구는 국가 경제에서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하여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생산유발, 부가가치 유발, 취업유발에 미치는 효과 및 연구개발 유발효과 4가지를 분석하되,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기본부문 기준 403부문 중에서 66개 부문을 해양 바이오에너지 관련 부문이라 정의한 후, 해양바이오에너지 관련 부문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한다.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에 2,234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면, 생산유발효과 3,123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 865억원, 취업유발효과 1,151명, 연구개발 유발효과 47.8억원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정량적 정보는 해양바이오에너지 개발사업의 상용화에 대한 정책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추계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stimating the Market Size of the Marine Environmental Industries and Analyzing Their Economic Effects)

  • 진세준;박세헌;유승훈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36-54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4년(2010-2013) 동안의 산업연관표로부터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및 부가가치액을 추계하여 국민경제적 지위를 따져보고,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해양환경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를 추계한 결과, 총 산출액은 2010년 1조 3,406억원에서 2013년 1조 9,723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총 산출액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0.04%에서 0.05%로 증가하였다. 부가가치액은 2010년 6,185억원에서 2013년 8,415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국내총생산에서 해양환경산업의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0.05%에서 0.06%로 증가하였다. 또한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원 생산 또는 투자가 국민경제 전체에 야기하는 생산유발효과는 2010년 1.8845원에서 2013년 1.8115원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원 생산 또는 투자로 발생하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010년 0.7680원에서 2013년 0.7063원으로 감소하였다.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0억원 생산 또는 투자의 취업유발효과는 2010년 10.17명에서 2013년 9.18명으로 감소하였다. 요컨대, 해양환경산업의 산출액 및 부가가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제적 파급효과의 원단위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초대 배양 간세포의 난황 전구물질 합성에 미치는 estradiol-$17{\beta}$와 2,4-D의 영향 (Effects of Estradiol-$17{\beta}$ and 2,4-D on Vitellogenin Synthesis in the Hepatocytes Primary Culture of th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여인규;최미경;이영돈;임윤규;허문수;이제희;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73-179
    • /
    • 2000
  • Estradiol-$17{\beta}(E_2)$와 2,4-dichlorophenoxy acetic acid (2, 4- D)가 난황 전구물질의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간세포의 초대 배양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배양간세포의 생존율은 배양온도 $27^{\circ}C$에 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15^{\circ}C$에서는 생존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약 5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E_2$에 의한 VTG 의 합성은 $10^{-6}M$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2, 4-D $10^{-7}\sim10^{-5}M$의 첨가에 의해 VTG의 합성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저농도인 $10^{-8}M$에서는 VTG의 합성이 증가하였다. $E_2$ 및 2, 4-D에 의해 합성된 VTG는 $10^{-6}M$ tamoxifen의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P<0.01). 본 연구 결과에서 $E_2$와 2, 4-D의 동시 첨가는 VTG의 합성을 억제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2, 4-D의 작용이 $E_2$와 유사한 작용을 가지지만, VTG의 합성에 있어서 $E_2$ 수용체에의 작용 양식은 서로 다른 것으로 추정된다.

  • PDF

Enhanced Produc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Using Rice Bran Extracts by Lactobacillus sakei B2-16

  • Kook, Moo-Chang;Seo, Myung-Ji;Cheigh, Chan-Ick;Pyun, Yu-Ryang;Cho, Seok-Cheol;Park, Hoo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763-766
    • /
    • 2010
  • An efficient and simple fermentation process was developed for the produc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y Lactobacillus sakei B2-16. When the L. sakei B2-16 was cultivated in the rice bran extracts medium containing 4% sucrose, 1% yeast extract, and 12% monosodium glutamate, the maximum GABA concentration reached 660.0 mM with 100% conversion yield, showing the 2.4- fold higher GABA concentration compared with the modified MRS medium without the rice bran extracts. The GABA production was scaled-up from a laboratory scale (5 l) to a pilot (300 l) and a plant (5,000 l) scale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GABA production to industrial fields. The production yields at the pilot and plant scales were similar to the laboratory scale using rice bran extracts medium, which could be effective for the low-cost production of GABA.

Enhanced Production of Astaxanthin by Metabolically Engineered Non-mevalonate Pathway in Escherichia coli

  • Jeong, Tae Hyug;Cho, Youn Su;Choi, Seong-Seok;Kim, Gun-Do;Lim, Han Kyu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14-119
    • /
    • 2018
  • Astaxanthin is one of the major carotenoids used in pigment has a great economical value in pharmaceutical markets, feeding, nutraceutical and food industries. This study was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astaxanthin by co-expression with transformed Escherichia coli using six genes involved in the non-mevalonate pathway. Involved in the non-mevalonate biosynthetic pathway of the strain Kocuria gwangalliensis were cloned dxs, ispC, ispD, ispE, ispF, ispG, ispH and idi genes in order to increase astaxanthin production from the transformed E. coli. And co-expression with the genes to compared the amount of astaxanthin production. This engineered E. coli, containing both the non-mevalonate pathway gene and the astaxanthin biosynthesis gene cluster, produced astaxanthin at $1,100{\mu}g/g$ DCW (dry cell weight), resulting in approximately three times the production of astaxanthin.

Secondary Production of Monocorophium acherusicum (Amphipoda, Corophiidae) in a Seagrass Bed (Zostera marina)

  • Jeong Seung-Jin;Yu Ok-Hwan;Suh Hae-Lip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spc1호
    • /
    • pp.236-241
    • /
    • 2006
  • We measured the secondary production of the amphipod Monocorophium acherusicum Costa in a seagrass bed (Zostera marina L.) in Gwangyang Bay, southern Korea. M. acherusicum biomass was positively correlated (P<0.05) with seagrass standing crop, suggesting that there were biological interactions between the two species. M. acherusicum displays two main breeding periods per year: spring (March to April) and fall (October to November). M. acherusicum biomass in the spring breeding periods was higher than in the fall. Annual secondary production of M. acherusicum was 3.54 g DW/$m^2$/yr with an annual P/B ratio of 3.48. Secondary production and the P/B ratio of M. acherusicum were lower than those observed for other amphipods inhabiting seagrass be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ological interactions between M. acherusicum and seagrass, as well as dietary competition with other amphipods can potentially cause declines in secondary production and the P/B ratio.

한국동해남부해역의 수온이 멸치와 미역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on Catches of Anchovy and Sea Mustard(Undaria pinnatifida) in Southern Part of East Sea of Korea)

  • 김성현;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53-159
    • /
    • 2010
  • 본 연구는 1969~2007년간 한국 전체의 어업생산통계자료에서 멸치 및 미역 생산량 중 1990~2007년간 동해남부해역의 변동 양상을 파악하다. 이를 위하여 국립수산과학원의 같은 기간의 207선 수온자료를 이용하였다. 표층수온의 저온화 시기가 4월이면 미역 생장에 호영향을 주어 미역의 생산량이 많고, 그 시기가 6월이면 멸치에 악영향을 주어 멸치의 생산량이 적게 나타났다. 반대로 표층수온의 고온화 시기가 4월이면 미역 생장에 악영향을 주어 미역의 생산량은 적었고, 그 시기가 6월이면 멸치에 호영향을 주어 멸치의 생산량이 많았다. 표층 수온이 고온화 되면 멸치 생산량은 증가하고, 표층수온이 저온화 되면 미역 생산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treptomyces thermocarboxydus C12에서 Subtilisin-like Protease Inhibitor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조건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Subtilisin-like Protease Inhibitor from Streptomyces thermocarboxydus C12)

  • 강성일;장영부;최경임;최병대;공재열;최영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73-378
    • /
    • 2008
  • 광양만의 해안 뻘에서 protease 저해력이 우수한 균주 S. thermocarboxydus C12를 분리하여 최적의 저해제 생산 조건을 조사하였다. 최대 저해활성을 보이는 온도와 초기 pH는 각각 $40^{\circ}C$와 8.0이었다. 저해제 생산에 미치는 탄소원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단당류인 galactose, glucose, fructose와 다당류인 starch에서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최적의 탄소원과 농도는 각각 galactose와 1.6%(w/v)였다. 질소원의 경우 복합배지인 polypeptone과 proteose peptone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이 나타났으며, 최적의 농도와 질소원은 0.5%(w/v)와 proteose peptone이었다. 최적의 NaCl 농도와 금속이온은 각각 1%(w/v)와 1 mM LiCl이었다. 선정된 최적배양조건에서 균주를 배양한 결과, 84시간 동안 배양 시 저해활성이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조류 구멍갈파래 (Ulva pertusa)의 친환경적 이용을 위한 바이오에탄올의 생산 (Bioethanol Production from Seaweed Ulva pertusa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

  • 김종덕;윤양호;신태선;김민용;변헌수;오석진;서효진
    • KSBB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317-322
    • /
    • 2011
  • Ulva pertusa is one of the worst pollutant like a waste vinyl after agriculture and caused bad smell at seashore in Jejudo and south area of korean peninsular. For favorable environmental utilization of Ulva pertusa, it could be applied for ethanol production with its acid hydrolysate. The components of hydrolysate included fermentable sugar of glucose, xylose, mannose, galactose, and higher amounts of unfermentable rhamnose. Fermentable sugars were converted to ethanol with S. cerevisiae, also xylose to ethanol with P. stipitis, their maximun ethanol production at optimum conditions were 462 ${\mu}g$/mL and 475 ${\mu}g$/mL, respectively. While, rhamnose cannot be changed to ethanol with S. cerevisiae or P. stipitis, alone. Combination of S. cerevisiae and P. stipitis can convert rhamnose to ethanol, because P.stipitis degradaded rhamnose to pyruvate, and then S. cerevisiae convert to ethanol, at optimum conditions, ethanol reached to 782 ${\mu}g$/mL (30.24%) that is higher than that of 2 strain alone from 500 mg of dried Ulva pertusa contained 2586.45 ${\mu}g$/mL of reduced sugars. Ulva pertusa can be utilized for renewal energy insted of environmenatal ene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