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rasmius pulcherripe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백운산지역(白雲山地域)의 고등균류(高等菌類)(I) (Fungal Flora of Mt. Paekwoon(I))

  • 석순자;김양섭;이경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4호
    • /
    • pp.556-562
    • /
    • 1994
  • 전남 백운산 지역의 버섯류 분포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1년 7월 버섯을 채집한 결과 총 137종을 분류동정하였으며, 이중 한국미기록 종인, 종이꽃 낙엽버섯 Marasmius pulcherripes Peck ; 광양주름버섯 Agaricus purpurellus(Moller) Moller ; 멍게먹물버섯 Coprinus echinosporus Buller ; 검은산그물버섯 Xerocomus nigromaculatus Hongo ; 석류밤그물버섯 Boletellus shichianus(Teng & Ling) Teng ; 꼬마무당버섯 Russula kansaiensis Hongo의 6종을 동정하였다. 백운산지역의 버섯류 분포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앞으로 조사를 더하여 보완 후 버섯목록은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칠갑산 야생버섯 추출물로부터 혈전용해효소의 활성 검색 (Screening of Fibrinolyt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Wild Mushrooms Collected in Mt. Chilgap of Korea)

  • 김준호;유관희;석순자;김양섭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21
    • /
    • 2005
  • 칠갑산에 자생하는 야생버섯 67종의 Fibrin 분해활성을 검색한 결과 Marasmius pulcherripes(종이꽃낙엽버섯)는 plasmin 0.75 units의 112%에 해당하는 fibrin 분해활성을 나타냈고, Helvella elastica(긴대안장버섯)는 60%, Psathyrella sp.는 49%, Fomitella fraxinea(장수버섯)은 40%, Leucoagaricus rubrotinctus(돌여우버섯)는 39%, Lepista sordida(자주방망이버섯아재비)와 Oudemansiella sp.는 각각 41%, 26%의 fibrin 분해활성을 나타냈다. 그러나 광대버섯과, 그물버섯과, 끈적버섯과, 난버섯과, 무당버섯과, 귀신그물버섯과, 독청버섯과, 꾀꼬리버섯과, 불로초과, 소나무비늘버섯과, 바구니버섯과, 말뚝버섯과, 어리알버섯과, 붉은목이과 및 술잔버섯과의 버섯은 모두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중금속 오염지 및 건전지역에서 수집된 담자균류의 분포 (Population and transfer factor of basidiomycota collected in the heavy metal-contaminated and healthy soils)

  • 장갑열;최선규;이강효;석순자;정종천;정구복;김규현;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145-153
    • /
    • 2005
  • 미생물을 이용한 중금속 오염지의 생물적 개량연구를 위하여 구리, 납 등 중금속 오염지인 은성 폐광과 도곡 폐광지역에서 야생버섯을 수집 동정하고 중금속 함량을 분석한 결과 Laccaria laccata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토양 내 중금속함량이 높을수록 버섯 내 중금속 농도도 높았다. 그러나, 전이계수를 이용하여 버섯 자실체의 중금속 이행률을 알아본 결과, Amanita volvata가 카드뮴과 비소의 이행률이 가장 높았으며, 구리의 이행률은 Agaricus praesquamosus가 다른 버섯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납은 Mycena pura, 아연은 Marasmius pulcherripes, 니켈은 Laccaria laccata, 크롬은 Collybia confluens로 나타났다. 중금속 오염지와 비오염지인 치악산 지역에서의 담자균의 발생 분포를 비교한 결과, Russula와 Collybia 속은 비오염지와 오염지역 모두에서 발생되었으며 Leucocoprinus, Coprinus, Suillus, Lepiost, Gyroporus. Lepista, Microstoma, Stropharia, Agrocybe 속은 오염지에서만 발생되었다. 이상의 결과, Laccaria laccata 등 일부 담자균은 중금속 오염지 저감에 이용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많은 연구가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