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pbox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Detecting Malicious Codes with MAPbox using Dynamic Class Hierarchies (동적 클래스 계층구조를 이용한 MAPbox상에서의 악성코드 탐지 기법)

  • Kim Cholmin;Lee Seong-uck;Hong Manpyo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1 no.6
    • /
    • pp.556-565
    • /
    • 2004
  • A Sandbox has been widely used to prevent damages caused by running of unknown malicious codes. It prevents damages by containing running environment of a program. There is a trade-off in using sandbox, between configurability and ease-of-use. MAPbox, an instance system of sandbox, had employed sandbox classification technique to satisfy both configurability and ease-of-use [1]. However, the configurability of MAPbox can be improved further.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technique to attach dynamic class facility to MAPbox and implement MAPbox-advanced one. Newly generated class in our system has an access control with proper privileges. We show an example for improvements which denote our system have increased the configurability of MAPbox. It was determined as abnormal by MAPbox although is not. Our system could determine it as normal. We also show our techniques to overcome obstacles to implement the system.

Development of Drone Airspace Information Providing Scheme using Mapbox (Mapbox를 이용한 드론 관련 구역 정보 제공 방법 구현)

  • Choi, Hyo Hyun;Kim, Hyung 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321-32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대한민국에서 드론을 포함한 UAV를 합법적으로 비행할 수 있도록 관련 구역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구현한다. Mapbox API를 이용하여 3D지도를 설정하고 드론 관련 구역 정보를 레이어화 한다. 레이어는 GL JS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구성해 지도상에 나타낸다. GL JS로 검색, 네비게이션 기능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한다. 작성한 결과물을 서버에 업로드하여 서비스를 구현하였다.

  • PDF

Design Mechanism for Malicious Code Detection with Sandboxes in Dynamic Class Hierarchies (샌드박스의 동적 클래스 계층구조를 통한 악성코드 탐지 기법의 설계)

  • Kim, Chol-Min;Lim, Young-Hwan;Hong, Man-Pyo;Yeh, Hong-Jin;Cho, Eun-Sun;Lee, Chol-Won;Park, Hyun-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a
    • /
    • pp.425-428
    • /
    • 2001
  • 알려지지 않은 악성 코드의 수행을 막는 방법으로 프로그램의 실행 환경을 제한하는 '샌드박스' 기법이 많이 쓰여져 왔다. 코드의 비정상 행위를 탐지하는 이 방식은 얼마나 다양한 샌드박스들을 두는가에 따라 적용성(configurability)과 편리성(ease of use) 간의 양면성 (trade-off)을 가진다. 기존의 MAPbox는 이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프로그램의 종류별로 샌드박스를 두는 클래스별 샌드박스 적용 기법을 사용한다[3]. 그러나, 이 방법은 정적으로 클래스들이 결정되므로 적용성에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MAPbox의 개념에 동적 클래스 생성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적용성을 높이는 기법을 소개하고 실제로 구현한다. MAPbox에 비해 적용성이 높아진 예로 MAPbox에서는 정상행위이지만 비정상행위로 판단되는 경우가 제안된 기법을 통해 올바르게 판단됨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the Visualization and Utilization of Mapbox Online Map based on Citizen Science Using Park Tree Database - Focused on Data by Tree species in Seoul Forest Park - (공원 수목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시민 과학 기반 Mapbox 온라인 지도 시각화 및 활용 연구 - 서울숲 공원의 수종별 수목 데이터를 활용하여 -)

  • Kim, Do-Eun;Kim, Sung-hwan;Choi, Seong-woo;Son, Yong-Hoon;Zoh, K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25 no.4
    • /
    • pp.49-65
    • /
    • 2022
  • Since trees in the city are green assets that create a healthy environment for the city, systematic management of trees improves urban ecosystem services. The sporadic urban tree information centered on the site is vast, and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data, so efforts to increase efficiency are needed. This paper summarizes tree data inventory based on data constructed by Seoul Green Trust activists and constructs and discloses online database maps using Tableau Software. In order to verify the utilization of the map, we divided into consumer and supplier aspects to collect various opinions and reflect feedback to implement tree database maps for each area and species of Seoul Forest. As a result, the utilization value of tree database in urban parks was presented. The techn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record the process of constructing and implementing a dashboard directly using the Mapbox platform and Tableau Software in the field of landscaping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supplements of landscape information were derived by collecting user opinions on the results. This can be used as an exploratory basi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online-based services such as web and apps by utilizing landscaping tree information in the future. Although the visualization database currently constructed has limitations that ordinary users cannot interact in both directions because it utilizes business intelligence tools in terms of service provision it has affirmed both the database construction and its usability in web public format. In the future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the assets of the trees in the city park and to build a database as a public asset of the city. The survey participants positively recognized that information is intuitively presented based on the map and respond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overall urban assets such as small parks and roadside trees by using open source maps in the future.

Malicious Object Prevention Technique Through Relation Between User And Object (사용자와 객체의 관계를 고려한 악성객체 방지 기법)

  • 이희대;임영환;예홍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4a
    • /
    • pp.805-807
    • /
    • 2002
  • 악성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악성 오브젝트(또는 프로그램)들을 막기 위한 방법으로서 오브젝트의 정상 행위를 정의해 놓고 정상행위에서 벗어나면 악성으로 판단하는 Sandbax, MAPBox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 모두 오브젝트의 정상행위가 무엇인가를 정의하고, 정상행위에 맞는 자원을 할당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하지만. 정상행위로 정의된 행위의 범위 안에서도 악성행위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상행위의 범위 안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악성행위를 막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용자와 오브젝트와의 관계를 고려한 강화된 악성 객체 방지 기법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 PDF

SEOULTECH AR CAMPUS Navigation (증강 현실 (Augumented Reality) 을 이용한 캠퍼스 네비게이션)

  • Lee, Jieun;Lee, Daeun;Choi, Seoyoung;Park, Gu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361-363
    • /
    • 2020
  • 기존의 지도 또는 길 찾기 기능을 사용 할 때 방향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시해주는 네비게이션 구현을 목표로, 사용 지역을 캠퍼스 내로 국한시켜 증강현실을 이용한 네비게이션을 구현하였다. 본 애플리케이션 개발에는 Mapbox maps API, ARCore, Unity 3D Engine, Android studio를 사용하였다. 사용지역을 확대시켜 Mobile device 뿐만 아니라 자동차 앞 유리 디스플레이에 접목하여 보다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기대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