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nufacturing workers

검색결과 897건 처리시간 0.037초

사회.경제.공간의 관점에서 본 한국인의 일상적 노동과 여가 시간 변화, $1981{\sim}2000$ (The Change of Everyday's Labor and Leisure Time in South Korea from 1981 to 2000 in terms of Socio-economic and Spatial Perspective)

  • 박규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5-52
    • /
    • 2003
  • 본 연구는 지난 20년 동안 한국 사회에 있어 사람들의 일상생활 활동의 토대가 되는 노동과 여가 시간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국민생활시간조사' 자료를 통해 분석 기술하였다. 전체적으로 한국인의 일상적 노동과 여가 시간의 변화는 사회 경제 공간의 관점에서 대단히 복잡한 형태를 보였다. 따라서 자본주의 경제가 탈산업화됨에 따라 노동시간은 감소하는 반면 여가시간은 증가한다는 기존 연구의 주장 혹은 예측에 보다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성별 직업별, 학력별 그리고 지역과 공간 이동의 측면에서 노동과 여가 시간의 변화에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걸쳐 모든 직업에서 평일의 노동시간은 증가하였고, 일요일은 기능 작업직을 제외한 모든 직업에서 노동시간이 감소하였다. 1990년대 이후 한국 사회 경제는 저학력 노동보다 고학력 노동에 크게 의존하는 구조를 그리고 고학력 집단은 평일에 많은 일을 하고 일요일에 적게 일하는 구조를 형성시켰다. 지역별 노동시간의 변화는 1980년대 초반 이후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전됨에 따라 한국 사회 경제는 농촌적 성격을 지닌 읍과 면 거주자들보다 도시, 특히 대도시 거주자들의 노동에 보다 크게 의존하는 구조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지난 20년 동안 평일과 일요일 사람들의 이동시간은 학력에 정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나노물질 생산시설의 환경노출 평가와 안전관리 (Nano-safety Management and Exposure Assessment of Nanomaterials Producing Facilities)

  • 엄하늬;노진규;박준수;곽병규;이병천;최경희;이종협;김영훈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1호
    • /
    • pp.112-117
    • /
    • 2012
  • 나노기술의 발전과 함께 나노물질을 포함한 소비재가 대중화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여년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는 나노물질의 잠재적 위해성으로 인해, 나노제품 사용을 불안해하고 있다. 특히 나노제품을 직접 취급하는 생산시설(연구소 및 업체)의 작업자는 직접적인 인체 노출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인체 및 환경 노출 안전관리를 위하여, 직접적인 노출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 및 액상 반응을 통해 나노물질을 생산하는 두 곳의 업체를 현장 방문하여 나노물질의 주요 노출대상 공정과 노출원을 파악하고 SMPS를 이용한 실시간 현장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액상 공정도 기상으로의 나노입자 노출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장 문제가 되는 점은 나노물질의 잠재적인 위해성에 관한 인식의 부족으로 제대로 된 방호활동을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나노물질 취급 시설에 대한 환경노출 평가가 필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나노물질 취급 안전관리 방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연구실 환경에서의 질량농도 측정을 통한 Aluminium oxide의 거동 평가 (Behavior Evaluation of Aluminium oxide through Measurement of Mass Concentration under Laboratory Environment)

  • 박정화;김동현;김종규;김형식;김정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3호
    • /
    • pp.279-285
    • /
    • 2016
  • 나노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나노물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그에 따른 환경 및 인체 유해성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으나 나노물질에 대한 규제나 법규는 아직 제정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PMN에서 지정한 제조나노물질 13종 중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물질인 aluminium oxide의 거동평가를 실시하여 연구활동종사자들을 위한 안전지침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실제 연구실을 1/6의 크기로 축소하여 제작한 chamber에서 진행되며, NIOSH method 0500에 준하여 질량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질량 농도는 물질의 입자 크기에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기 설비의 작동만으로 질량농도가 약 1/8배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향후 나노물질 관련 연구활동종사자를 위한 안전지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나, 연구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입경에 따른 질량농도, 수농도 측정등의 실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의료업종의 작업위험요인에 대한 실태조사 결과 (A Result of Field Survey for Ergonomic Work Risk Factors in General Hospital)

  • 김진영;김영미;김대성;임흥재;김중호;강성규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91-100
    • /
    • 2007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survey work-related risk factor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MSDs) in various departments and tasks at general hospitals in non-manufacturing sectors, and to use basic data derived from the survey results in preventing work-related MSDs in hospital workers. Investigation started in March of 2006 and continued for 6 months in 220 general hospitals at Seoul, Incheon, Kyeongi, and Kangwon area. Investigators visited and interviewed workers in hospitals to identify the presence of tasks of musculoskeletal burden, the investigation results of ergonomic risk factors requir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aw, statistical analysis from questionnaire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major departments and tasks that have such risk factors. Twenty-seven percents of hospitals finished the investigation of ergonomic risk factors, and 69% did not do the investigation while remained 4% did not have such factors in their hospitals. The rank order of major departments that had such musculoskeletal burdens was kitchen rooms of 143, managing departments/computer rooms/dispensaries of 137, physical treatment rooms of 109, nursing departments of 96, radiological and clinical laboratories of 63. Eighteen hospitals that did not hold legal duties by the section 148 of labor minister decree practiced prevention programs of MSDs according to the labor-management cooperation. Nursing departments ranked in the first place for the numbers of musculoskeletal symptoms of 438. Managing departments/computer rooms/dispensaries, kitchen rooms, and medical treatment departments held 127, 52 and 45 symptoms, respectively. The magnitude order of physical symptom areas followed shoulder of 185, backs and waist of 166, hand wrists of 120, necks of 110, and legs/feet of 106. The departments and jobs that had major work-related ergonomic risks were patient transporting, central supplying, patient nursing (moving patients into wheel-chairs, changing of patient posture and sheet alteration), manual transporting, operation, and managing/computer departments.

주물공장의 Furan 공정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 및 분진의 동시제거 시스템 개발 및 현장설치 연구 (Development and Field Installation of a System of Simultaneously Removing Dust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Furan Process in Foundry)

  • 박진수;정재학;이태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2호
    • /
    • pp.136-148
    • /
    • 2006
  • 주물공장에서는 주철을 녹여서 다양한 기계부품을 만든다. 다양한 기계부품을 만들기 위해 목형을 주물사에 넣은 후 주입구를 만들어 녹인 주철을 투입한다. 주물공장은 furan 공정을 포함해 많은 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이 중 furan 공정은 목형에 주물사를 부어 넣는 공정이다. Furan 공정의 첫 단계는 주물사가 서로 엉겨 붙어 있게 하기 위해 접착성을 가지는 고분자 물질인 furan류를 주물사에 섞게 되고 녹은 주철이 목형으로 들어가는 것이며 고온에 의해 많은 유해 VOC류가 발생하게 된다. 또 공정조업에서 furan용 모래를 목형이 든 주물형틀에 부어 넣게 되고, 이때도 유독가스와 분진이 발생하게 되며 이 분진은 furan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조업자의 건강에 치명적인 요소가 되며, 이로 인해 조업기피현상이 심화되어 인력수급에 문제가 되고 나아가 사업 경영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조업기피의 원인을 제거하고 쾌적한 조업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유해 VOC류와 집진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유해 VOC 및 분진 동시제거 시스템을 최적 설계하고 나아가 현장에 적용 설치하였다. 그 결과 설치 후 포름알데히드의 경우 VOC 0 ppm, 분진 $4{\mu}g/m^3$으로 조업환경이 개선되었으며, 조업자들의 조업 기피 요인을 해소하였다. 또한, 우리는 회사의 고용 문제를 해결하고, 작업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산업안전보건관리자 특성과 화학물질 유해성 정보전달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Communication for Chemical Hazards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r)

  • 김기웅;박진우;정무수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56-163
    • /
    • 2012
  • Objectiv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ommunication for chemical hazard in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rs. Subjects and Methods: We surveyed 7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rs(64 male and 14 female) in 78 chemical manufacturing plants. Data were obtain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bout size and type of company, products, communication system for chemicals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rs. All analyses in this study were performed using SPSS program 12.0. Results: 64.1%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occupational health managers aged 39.3 years on average and were graduated from college and university around 90%. 30.0% and of them were majoring in chemistry (engineering chemistry), 18.0% occupational health, 16% nursing and 30.0% others. Occupational safety managers were aged 39.4 years on average, 42.9% of them were majoring in chemistry (engineering chemistry), 21.4% environmental engineering, 10.7% occupational safety and 25% others. 86% of occupational health managers and 71.4% of occupational safety managers were classified as office job. Over 94% of the hazards information for chemicals were delivered by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rs, but about 28.2% workers preferred outside experts who have a profound knowledge about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nd understandabl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rs and workers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oxicological information, hazards identification, stability/reactivity, composition/information on ingredients, physical/chemical properties and ecological information. O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16 heading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 content of material safety data shee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ducation level (odds ratio=0.286, 95% confidence interval=0.105-0.780). The hazard identification (odds ratio=3.947, 95% confidence interval=1.092-14.271) and toxicological information (odds ratio=0.841, 95% confidence interval=0.705-0.998)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ype of occupation. Conclusions: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education level, type of occupation and speciality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rs may affects hazards information delivery.

일부 제조업 사업장의 사무 및 공장동에서의 라돈농도 수준 및 유효선량 평가 (Evaluation of Effective Dose and Exposure Levels of Radon in Office and Plant Buildings)

  • 정은교;김기웅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38-45
    • /
    • 2017
  • Objectives: Radon may be second only to smoking as a cause of lung cancer. Radon is a colorless, tasteless radioactive gas that is formed via the radioactive decay of radium. Therefore, radon levels can build up based on the amount of radium contained in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phospho-gypsum board or when ventilation rates are low. This study provides our findings from evaluation of radon gas at facilities and offices in an industrial complex. Methods: We evaluated the office rooms and processes of 12 manufacturing factories from May 14, 2014 to September 23, 2014. Short-term data were measured by using real-time monitoring detectors(Model 1030, Sun Nuclear Co., USA) indoors in the office buildings. The radon measurements were recorded at 30-minute intervals over approximately 48 hours. The limit of detection of this instrument is $3.7Bq/m^3$. Also, long-term data were measured by using ${\alpha}-track$ radon detectors(${\alpha}-track$, Rn-tech Co., Korea) in the office and factory buildings. Our detectors were exposed for over 90 days, resulting in a minimum detectable concentration of $7.4Bq/m^3$. Detectors were placed 150-220 cm above the floor. Results: Radon concentrations averaged $20.6{\pm}17.0Bq/m^3$($3.7-115.8Bq/m^3$) in the overall area. The monthly mean concentration of radon by building materials were in the order of gypsum>concrete>cement.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using ${\alpha}-track$ in parallel with direct-reading radon detectors and the two metric methods for radon monitoring were compared. A t-test for the two sampling methods show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average radon concentrations(p<0.05). Most of the office buildings did not have central air-conditioning, but several rooms had window- or ceiling-mounted units. Employees could also open windows. The first, second and third floors were used mainly for office work. Conclusions: Radon levels measured during this assessment in the office rooms of buildings and processes in factories were well below the ICRP reference level of $1,000Bq/m^3$ for workplaces and also below the lower USEPA residential guideline of $148Bq/m^3$. The range of indoor annual effective dose due to radon exposure for workers working in the office and factory buildings was 0.01 to 1.45 mSv/yr.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phospho-gypsum board, concrete and cement were the main emission sources for workers' exposure.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 취업 가능성 및 관련 직업 특성 탐색 (The Possibility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that Humanities College Graduates are Employed in a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Occupations)

  • 장현진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77-99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이공계 현직자가 인식하는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직업 특성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맞춤형 취업지원을 위한 직업지표 연구(2017)'에서 이공계 현직자 2,600명이 응답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초통계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은 정보통신 및 제조 가공 분야의 일부 직업을 제외하고는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 취업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의 특성은 입직 시 학력의 중요성이 낮고, 전공의 중요성이 낮고, 자격증의 중요성이 낮고, 직업훈련의 중요성은 높으며, 경력단절 이후 복귀가 용이하고, 양성평등 수준이 높으며, 근무 환경이 쾌적하고, 고용 유지도가 높으며, 자영업으로 수행하기에 적합하고, 일자리 수가 증가 등의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인문계 대졸자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직업적인 측면의 방안으로 세부 직업 분야와 특성을 감안한 정책 설계 접근, 인문계 전공자의 강점을 살릴 수 있는 세부 직업의 발굴과 융합 직업의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이 때 이 연구에서 밝힌 인문계 대졸자의 이공계 직업으로의 취업 가능성과 직업 특성 요인들의 관련성에 대한 정보가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수도권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지역 간 유출입 네트워크 및 영향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Regional Networks of Start-ups in New Growth Industries in the Capital Region)

  • 송창현;김주영;임업
    • 지역연구
    • /
    • 제38권1호
    • /
    • pp.3-2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을 분석의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신성장산업의 창업 사업체 및 종사자 이전 패턴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유입 및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을 밝히는 데에 있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전국사업체조사」원자료를 이용했으며, 신성장산업 사업체 및 종사자 수 유입 및 유출 자료를 바탕으로 시군구 수준 공간 자료를 구축했다. 분석을 위해 지역별 유출 유입에 대한 연결정도 중심성을 산출했으며, 음이항 회귀모형을 응용해 신성장산업의 유입 및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성장산업 제조업 부문은 경기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신성장산업 서비스업 부문은 강남 및 구로-금천구 일대를 중심으로 활발한 입지 이전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지역 수준 요인들이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유입 및 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신성장산업에 대한 공간 이전 패턴을 파악하고, 영향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실증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신성장산업 유치를 통해 지역 경제의 경쟁력 향상을 달성하고자 하는 지역산업정책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했다.

OPC UA를 활용한 이기종 로봇의 실시간 디지털 트윈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Digital Twin in Heterogeneous Robots using OPC UA)

  • 김지형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189-196
    • /
    • 2023
  •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기술로서 IoT, 빅데이터, 인공지능, CPS 등이 발전하면서 산업 현장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디지털 트윈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디지털 트윈은 실제 물리적 객체들의 디지털 복제로서, 객체의 속성과 상태를 유지하며 작동하는 가상 모델이다. CPS는 사이버 세계와 물리 세계의 상호작용을 위한 시스템으로, 디지털 트윈은 CPS의 고급형 기술로 볼 수 있다. 디지털 트윈은 AI, XR, 5G 등 다양한 요소 기술의 등장으로 구현 속도가 가속화되었다. 센서 기술의 발전과 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의 관련 기술 발전으로 디지털 트윈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비즈니스 인텔리전스와 관련된 솔루션을 도입하여 프로세스 최적화, 비용 효율성,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윈 기술과 CPS를 결합하여 이기종 로봇의 실시간 3D 디지털 트윈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를 위해 유비씨의 FLEXING CPS와 FLEXING EDGE를 활용하여 데이터 수집과 관리를 수행한다. 프로젝트 구성원은 프로토콜 설정, 데이터 수집 및 전달, 3D 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을 담당한다. 이를 통해 CPS와 디지털 트윈을 통합한 기술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산업 현장에서 생산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