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darin fish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2초

소양호에 서식하는 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섭식특징 (Studies on the Feeding Habits of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in the Soyang Lake, Korea)

  • 송미영;김승용;홍양기;이완옥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4-129
    • /
    • 2017
  •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한강 수계인 소양호에서 자망으로 채집한 쏘가리(Siniperca scherzeri) 332개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쏘가리의 체장은 107~321 mm의 범위였으며, 135개체는 공복상태였다. 쏘가리는 주로 어류와 새우류를 섭식하였다.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어류인 빙어의 섭식비율이 가장 높았고, 새우류는 징거미새우의 섭식비율이 높았다. 먹이생물 중 어류 비율은 쏘가리의 체장이 커질수록 증가하였으며, 계절별로는 6, 7, 10월을 제외하고 높았다. 소양호 상 중류지역보다 하류지역에서 어류의 섭식비율이 약간 높았다.

쏘가리와 황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염색체와 외부형태 비교 및 교배 실험 (Comparison of Morphological and Chromosomal Characteristics and Cross Breeding of the Two Types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 이완옥;장선일;이종윤;손송정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8-234
    • /
    • 1997
  • 본 연구는 한강수계에 서식하는 황쏘가리와 쏘가리의 별종 또는 종내 변이에 대한 정확한 분류학적 지위를 알기 위하여 형태형질 및 염색체를 비교 연구하였으며, 교배실험도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형태형질 중 체색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측선린수가 90~98개, 등지느러미의 극조와 연조수가 각각 12와 13개, 뒷지느러미의 극조와 연조가 각각 3개와 9~10개, 가슴지느러미가 15개로 나타나 뚜렸한 차이가 없었다. 염색체수도 두 집단 모두 2n=48로 같게 나타났으며, 핵형에 있어서도 submetacentric chromosome이 2쌍, acro 또는 telocentric chromosome이 22쌍으로 나타났고, 2종 모두 fundamental number가 52로 동일했다. 교배실험에서도 두 집단이 동일하게 정상적으로 발생되어, 별종일 가능성은 없었다. 황쏘가리의 체색은 부화 후 50일부터 혹색소포가 줄어 들다가 60일이 지나면 몸의 체색이 완전히 황색으로 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지금까지 국명과 종명이 다르게 사용되고 있는 황쏘가리와 쏘가리는 동일한 종이고, 체색의 차이는 유전적으로 변이된 albino 현상으로 추정된다.

  • PDF

한국산 쏘가리의 기원과 분자계통진화적 위치 (Origin of the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and Its Molecular Phylogenetic Relationships to Other Siniperca Fishes)

  • 김맹진;송춘복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95-105
    • /
    • 2011
  • 이 연구는 cytochrome b 유전자 서열을 이용하여 쏘가리속 어류의 분자계통 진화적 관계와 쏘가리 지역 개체군 간의 유전적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한극산 쏘가리의 분자진화적인 위치와 유래를 알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쏘가리속 어류의 진화초기에 S. roulei가 가장 먼저 분화하였으며 그 후 조사대상 어류인 쏘가리속 6개 종 (S. schezeri, S. undu-lata, S. fortis, S. obscura, S. knerii 및 S. chuatsi) 이 분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이들 어류들의 분화 우선순위는 통계학적으로 강하게 지지되지 못해서 명확하게 밝히기는 어려웠다. 한편 쏘가리 개체군은 크게 세 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첫 번째 집단은 한국산 개체군과 중국북부 (Liaoning, Henan) 개체군이다. 두 번째 집단은 Anhui, Fujian 및 Guangxi 개체군이며, 세 번째 집단은 Zhejiang 개체군이다. 첫 번째 집단 내 한국산 쏘가리 개체군과 중국 북부(Liaoning, Henan)개체군 사이의 염기서열 차이는 1~5 base pairs (bp)였으며 첫 번째 집단과 두 번째 집단의 염기서열 차이는 31~43 bp였다. 그리고 두 번째 집단과 세 번째 집단 사이의 염기서열 차이는 37~44 bp를 나타냈으며, 첫 번째 집단과 세 번째 집단 사이의 염기서열 차이는 27~29 bp였다. 따라서 한국산 쏘가리의 유래는 중국의 북부 개체군이 신생대 3기 Pliocene 기간 중에, 즉 초기 빙하기 이전 시기에 중국 중부 또는 남부의 쏘가리 개체군으로부터 최초로 분화된 후 빙하기를 거치면서 한반도로 그 분포범위를 확장함으로써 생겨난 것으로 추정된다.

농어과에 속하는 쏘가리와 꺽지의 Carotenoid 색소성분의 비교 (Comparison of Carotenoid Pigments in Mandarin Fish, Sinperca scherzeri and Korean Perch, Coreoperca herzi in the Family Serranidae)

  • 이향회;박미연;권문정;백승환;김수영;강동수;하봉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87-93
    • /
    • 1996
  • 어류의 carotenoid에 관한 비교 생화학적 연구의 일환으로서, 우리나라 특산의 통어과이 쏘가리와 꺽지의 표피 및 난의 산란 중과 산란 후의 carotenoid 조성이 서로 어떻게 다른가 비교,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쏘가리와 꺽지 표피의 총 carotenoid 함량은 쏘가리는 산란 중에 2.8mg%, 산란후에 2.1mg%로 나타나 산란후보다 산란중에 높은 함량치를 보였다. 표피의 carotenoid 조성은 쏘가리는 산란중에 tunaxanthin 42.2%, lutein 22.0%이며, 산란 후에는 tunaxanthin 32.7%, lutein 24.5%로 나타났으며, 꺽지는 산란중에는 tunaxanthin 69.4%, lutein 17.0%m 산란후에는 tunaxanthin 37.5%, lutein 24.8%로 나타나 표피의 tunaxanthin 의 함량이 산란 중이 산란 후가 높았다. 쏘가리와 꺽지 난의 총 carotenoid 함량은 쏘가리의 난은 0.3mg%, 꺽지의 난은 1.3mg%로 나타나 쏘가리 보다 꺽지 난의 함량이 높았다. 난의 carotenoid 조성은 쏘가리 $\beta$-carotene 27.4%, zeaxanthin 25.7%, diatoxanthin 23.8%였고, 꺽지는 $\beta$-carotene 27.4%, zeaxanthin 25.3%, diatoxanthin 22.4%로 나타나 모두 $\beta$-carotene, zeaxanthin, diatoxanthin 이 주성분으로 함유 되어 있었으며 그외 cynthiaxanthin, lutein 및 cryptoxanthin 등이 함유되어 있었다 동일한 농어과의 쏘가리와 꺽지 표피 및 난의 carotenoid 조성은 서로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배합사료 내 색소 원료에 따른 비단잉어 홍백C(yprinus carpio) 치어의 성장과 체색 변화 (Effect of Dietary Carotenoids Sources on Growth and Skin Color of Red- and White-colored Fancy Carp Cyprinus carpio var. koi)

  • 김이오;이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90-795
    • /
    • 2014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arotenoids sources on growth and skin color of red- and white-colored fancy carp Cyprinus carpio var. koi. Nine experimental diets (designated as Con, CP, PA, SP, OP, MB, TO, BE and PO) were formulated to contain Carophyll Pink, red paprika, Spirulina, Opuntia, mandarin bark, tomato, beet and Porphyra, respectively. Each experimental diet was fed to two replicate groups of fish (22.9 g/fish) to visual satiation three times a day for 8 weeks. Weight gain and feed efficiency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Spirulina or Opuntia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the control diet (P<0.05). The values of $a^*$, $L^*$ and $b^*$ of fish skin were significantly changed by dietary carotenoids sources (P<0.05). The $a^*$ values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Carophyll Pink, red paprika and Spirulina were higher than those of fish fed other diets (P<0.05). The skin total carotenoids of fish fed the diets containing Spirulina and Opuntia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s (P>0.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dietary inclusion of red paprika and Spirulina pacifica could increase the skin redness of red- and white-colored fancy carp.

어머니의 임신기 동안 식품섭취와 영유아의 아토피피부염 유무와의 관계 (Comparison of Maternal Food Intakes during Pregnancy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topic Dermatitis)

  • 이희진;안강모;한영신;정상진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8권2호
    • /
    • pp.141-154
    • /
    • 2012
  • The prevalence of atopic dermatitis (AD), chronic cutaneous disease, has increased rapidly worldwide. Since AD is the most common disease affecting infants, maternal food intake during pregnancy as well as lactation is importan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maternal food intake during pregnancy between mothers having children with or without AD. One hundred forty-eight mothers with children aged under 2 years with AD (AD group, n=74) or without AD (non-AD group, n=74) were included in the study. Diet during pregnancy was examined using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status of mothers' food consumption during pregnancy between the AD and non-AD groups. Mothers in the AD group consumed significantly less white fish (P<0.05), carrot & pumpkin (P<0.01), walnut & pine nut (P<0.05), mandarin & orange (P<0.05), and peach (P<0.05) than those in the non-AD group. As food frequenc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1/month, 1~3/month, 1~6/week, and 1~3/day, lower consumption of carrot & pumpkin (Odds Ratio (OR)=6.67, 95% Confidence Interval (CI)=1.98~22.44), tomato (OR=5.11, 95% CI=1.62~16.08), mandarin & orange (OR=8.64, 95% CI=1.59~46.81), and walnut & pine nut (OR=3.85, 95% CI=1.26~11.77) increased the risk of childhood AD. According to the results, maternal food intakes during pregnanc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AD and non-AD groups.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food intake and prevalence of AD in children.

전라북도 지역의 주요 특산물 중 식품에 대한 조사 (A Survey on Foods of Principal Products in Jeollabukdo Area)

  • 김정옥;최차란;신말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5권5
    • /
    • pp.493-503
    • /
    • 2005
  • This surve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specialities which cultivated importantly in Jeollabukdo area in order to understand food culture of this area. Foods in speciality were divided into 4 groups, agricultural, aquatic, animal and the others products. Total number of 93 species of specialities, including 40 species of agricultural products, 29 species of aquatic products, 8 species of animal products and 16 species of the miscellaneous products, were identified from Jeollabukdo area. Especially, there were various fruits and vegetables among agricultural products and fishes among aquatic products in this region. Rice, pepper, pear, Mandarin fish, beef, pine mushroom, lentinus edodes and honey were determined as specialities in Jeollabukdo area. Various aquatic products were specialities in Gochang, Gunsan, Buan and Gimje region. Fruits, mushrooms, wild edible greens and animal products were specialities in Muju, Jangsu, Jeongeup and Jinan. Sweet fish, cat fish and freshwater crab were caught off in Sumjin river region only such as Namwon, Sunchang and Imsil, Recently, pumpkin(Cucurbita maxima) and paprika were determined as specialities in Jeollabukdo. In case of aquatic products, mushrooms and wild edible greens, their wild type products decreased, while cultivated type increased Commercialization by brand naming of agricultural and animal products were rapidly increasing. The kinds of specialities in Jeollabukdo area were changing by the influence of geographical, religious and social factors.

  • PDF

Introduction of bacterial and viral pathogens from imported ornamental finfish in South Korea

  • Choi, Hee Jae;Hur, Jun Wook;Cho, Jae Bum;Park, Kwan Ha;Jung, Hye Jin;Kang, Yue Ja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2호
    • /
    • pp.5.1-5.9
    • /
    • 2019
  • Background: Live fish import may lead to the unintended introduction of pathogens. We examined the monthly distribution of microbial pathogens in ornamental finfish imported into South Korea over a 6-month period. Results: Vibrio alginolyticus was detected in one lemon damsel in June and July; V. vulnificus was detected in one lemon damsel, one caerulean damsel, and one pearl-spot chromis and one ocellaris clownfish in July, April, and May, respectively; Photobacterium damselae was detected in one ocellaris clownfish and one caerulean damsel in June and July, respectively; V. anguillarum was detected in one pearl-spot chromis in February; V. harveyi was detected in one ocellaris clownfish and two mandarin fish in February and April, respectively; Yersinia ruckeri was detected in a pearlscale goldfish group in June and July and in two colored carp groups in July; and Lactococcus garvieae was detected in a lemon damsel group and a sutchi catfish group in July and May, respectively. European catfish virus, the only viral pathogen detected, was found in two sutchi catfish groups in May. Conclusion: This study is the first to identify pathogenic specie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pathogens (non-quarantine diseases) in imported ornamental finfish.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various pathogens with the potential to harm indigenous fish populations can accompany ornamental finfish imported into South Korea.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 의 초기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Early Life History of the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Perciformes: Centropomidae))

  • 이완옥;장선일;이종윤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0
    • /
    • 1998
  •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의 양식과 자원증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초기생활사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친어는 1996년 6월부터 1997년 7월까지 소양호 중류(강원도 춘천시 북산면 물노리)에서 채집하였다. 성숙된 암컷에 HCG나 GnRH - a 호르몬을 복강 주사하여 배란을 유도하였고, 건도법으로 수정하였다. 수정란은 분리되었으며, 약한 침성란이었고, 0.50~0.70mm의 커다란 유구가 난황 중앙에 한개 있었다. 수정 직후 난의 크기는 1.70~2.10mm였으나, 배반이 형성될때는 물을 흡수하여 2.20~2.66mm로 커졌다. 수정 1시간 후에 배반을 형성하기 시작하였고, 1시간 30분 후에는 난할이 시작되었다. 이 후 난내 발생은 수온 $21{\sim}24^{\circ}C$에서 약 50분 간격으로 계속 진행되었다. 수정 131시간 30분 후에는 부화되었는데, 부화자어의 크기는 전장 5.86~6.85mm였고, 난황의 표면과 꼬리 부분의 복부에는 많은 흑색소포가 발달되었다. 부화 3일 후에는 전장 6.98~7.60mm로 자랐고, 단황은 대부분 흡수되었으며, 이빨이 발달되었다. 부화 15일 후에는 전장 10.10~12.90mm였으며, 머리에 가시와 이빨이 매우 발달되었고, 모든 지느러미가 정수에 도달하는 후기자어기(postlarvae stage)가 되었다. 부화 25일 후에는 전장15.30~23.80mm로 성장하였고, 체형과 반문이 성체와 유사해졌다. 부화 5개월 이후에는 전장 154.00~175.02mm, 체중 49.32~82.67g까지 성장하였다.

  • PDF

소양호에 서식하는 쏘가리 Siniperca scherzeri의 성숙과 산란 특성 (Maturity and Spawning of Korean Mandarin Fish, Siniperca scherzeri in Soyangho Lake)

  • 신아리;박희원;이완옥;송미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4-91
    • /
    • 2018
  • 본 논문은 소양호에 서식하는 내수면어업의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성숙과 산란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본 논문에 사용된 쏘가리는 2014년 4월부터 11월까지 정치망과 자망을 통해 채집하였고, 암컷이 204개체로 전장범위는 113~365 mm이었고, 수컷은 197개체로 전장 범위가 140~342 mm이었다. 산란기가 시작되는 5월의 수온은 $15^{\circ}C$를 나타냈으며, 점진적으로 높아져 7월에 $26^{\circ}C$를 나타내었다. 암컷의 생식소 숙도지수(GSI)는 5월에서 7월까지 각각 2.3%, 4.6%, 3.1%로 나타났고, 수컷의 경우 8.0%, 6.6%, 4.5%로 나타났다. 난소 조직은 5월에 많은 수의 샘플이 중숙으로 관찰되었으며 6월에는 대다수가 성숙, 7월에는 완숙 및 방란으로 관찰되었다. 정소 조직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5월에는 대다수가 중숙, 6월에는 성숙, 7월에는 방중으로 관찰되었다. 월별 성숙도와 생식소 숙도지수 (GSI), 생식소의 조직관찰을 통한 분석결과, 소양호에 서식하는 쏘가리의 산란기는 5월에서 6월로 추정되었다. 또한 군성숙도를 분석한 결과, 암컷 쏘가리의 50% 성숙체장은 245.16 mm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