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nagement green areas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과 호주의 지방자치단체의 대도시지역에 있어 녹지공급에 관한 비교 연구 -서울과 시드니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vision of Open Space by Local Government in Metropolitan Region Between Korea and Australia. - in the case of Seoul and Sydney Metropolitan Areas-)

  • 오병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33-149
    • /
    • 1996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open space planning between Australia and Korea by Local Governments Areas. Open space planning is carried out at the state and municipal level in Australia, but by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in Korea. This study is structured by reviewing the presemt phenomena of provision of open space in Sydney and Seoul, By measuring disparity in terms of open spaces by L. G. A. s an by comparing planning approaches between two cities, for example policy, government standards, government administration system in open space management. In this paper, the provision of parks in Sydney and Seoul are comparatively examined and geographically mapped, and multiple repression analysis is applied to measure the residuals from the line of e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1) During the last 1 dacade from '80 and '90. Sydney has increased the quantity of open spaces from ratio of 19.11ha/1000 to 22.33ha/1000 of parks, however Seoul decreased it by the ratio of 12.21$m^2$/person to 1012$m^2$ per person. 2) Sydney has more programs, such as Greenspace program, Metropolitan open space program etc. to increase and to distribute open spaces equally rather than Seoul which has less open spaces. 3) There exists patterned inequality in terms of open space provision in inner city and suburb between Sydney and Seoul. 4) Seoul requires more active polices to increase open spaces like Greenacre Program of New Jerrsey State, Double Open Space Pland of Tokyo or Green Space Program of Sydney.

  • PDF

미동산 산림환경 생태원 설계 (Design of Midongsan Ecological park)

  • 김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9-97
    • /
    • 2002
  • This report describes the first prize design of Midongsan Eco-park, which is located in Chungcheongbuk-do (North Chungcheong) province. Criteria of the winning design are as follows: 1) The design should include a neighborhood park as well as a portion of a green zone, in order to harmonize the area ecosystem, gradually assimilate the surroundings, and serve as an education tool for the public. 2) According to an analysis of area maps and a site-inspection, a preserved area, a buffer area, a restored area, and a developed area should be developed. In the buffer and restored areas, major facilities and activity spaces should be set up. 3) Observation trails should be accessible to visitors, and a variety of adventure programs should be available. 4) The eco-park should be designed to provide a habitat for the Gorani (Chinese water deer) which used to live around Midongsan. 5) For sensuous and vivid visitor experiences, diverse programs are to be designed to accommodate different seasons, visitor ages, and required time. Environment and eco-education are to be emphasized to maximize the effect of the eco-programs. 6) Optimal activities for visitors of different ages, optimal time intervals and eco-programs by age are also suggested. 7) Facilities are zoned into three sections according to level of development. Each section has a main area and supplementary areas for better understanding. 8) Nature-friendly arrangement of facilities and construction should minimize earthwork and adverse effects on the local ecology. Throughout the planning, the following things were learned: longer-term analysis including all season's observation is essential; planning, designing, bui Iding and managing should be based on this careful, extended observation. The contest should have taken plate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in order enable more detailed planing of the eco-park For improved management and activities, a volunteer system in linked with schools eco-institutions and NGOs should be developed with eco-interpreters.

일사량 감응 및 관수공급이 가능한 연소형 CO2 발생기 통합 제어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Combustion Type CO2 Generator with Solar Radiation Sensitiveness and Irrigation Supply)

  • 김응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17-622
    • /
    • 2018
  • 시설원예 하우스 내부의 공기 밀폐나 유동상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송풍기, 측창 개폐기의 동시제어는 $CO_2$ 농도 관리에 필수적이다. 현재 농업인구 감소에 따른 개인당 경작면적 증가로 자동화 시스템과 통합제어의 요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CO_2$발생기의 연료 및 연소공기 혼합비(공연비), 내 외부 환경에 따른 $CO_2$ 공급량의 제어와 $CO_2$ 공급에 있어 중요한 변수인 측정 개폐기와 같은 기존 설치기기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통합 제어시스템을 제안한다.

가로수 식재체계 수립 (Establishment of Roadside Tree Planting System in Kangnung)

  • 박용진;김태경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93-103
    • /
    • 2000
  • This research is to propose a rational criterion of the selection and the management f the roadside trees, and to establish the planting design and system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the roadside environment. All of the roadside trees in each objective courses in Kangnung, and the soil disposition, hardness of the soil in the planting areas have been investigated. Also, we have surveyed the kinds of the trees which kandgnung inhabitants want.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Most of roadsides have trees, but they need the introduction of shrubs or ground covering plants according to the locations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We have selected nineteen species in regard to the roadside tree criterion and the growing conditions living in Kangnung. It is desirable that we make banding style planting space between each roadside tree to improve the low ratio of green coverage. We have found out that Ligustrum obtusifolium, Buxus micropnylla, Euonymus japonica,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Phyllostachys nigro and Rosa rugosa, ect. are suitable. In order to soften and weaken the rigidity of the hard substances on a paved roadside, the climbers such as the perennial herbaceous flowering and hedera rhombea should be preferred rather than annual herbaceous flowering because of curtailment of expenditure. To posses a systematical greenery frame in kangnung, we have planned a planting design system that would expand the greenery space every year. Moreover, we have to make a plan to overcome space restrictions. We have established a flexible plan considering the roadside conditions and the improved standard planting methods with an ultimate aim to create a special roadside view.

  • PDF

A Comprehensive Approach to Posttraumatic Lymphedema Surgical Treatment

  • Nicolas Pereira;Vanessa Onate;Ricardo Roa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50권4호
    • /
    • pp.422-431
    • /
    • 2023
  • Background Posttraumatic lymphedema (PTL) is sparsely described in the literatu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omprehensive approach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PTL using lymphovenous anastomosis (LVA) and lymphatic vessels free flap, reporting our experience in the management of early-stage lymphedema. Method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was performed between October 2017 and July 2022. Functional assessment with magnetic resonance lymphangiography and indocyanine green lymphography was performed. Patients with lymphedema and functional lymphatic channels were included. Cases with limited soft tissue damage were proposed for LVA, and those with acute or prior soft tissue damage needing skin reconstruction were proposed for superficial circumflex iliac artery perforator lymphatic vessels free flap (SCIP-LV) to treat or prevent lymphedema. Primary and secondary outcomes were limb volume reduction and quality of life (QoL) improvement, respectively. Follow-up was at least 1 year. Results Twenty-eight patients were operated using this approach during the study period. LVA were performed in 12 patients; mean reduction of excess volume (REV) was 58.82% and the improvement in QoL was 49.25%. SCIP-LV was performed in seven patients with no flap failure; mean REV was 58.77% and the improvement QoL was 50.9%. Nine patients with acute injury in lymphatic critical areas were reconstructed with SCIP-LV as a preventive approach and no lymphedema was detected. Conclusion Our comprehensive approach provides an organized way to treat patients with PTL, or at risk of developing it, to have satisfactory results and improve their QoL.

조경관점의 녹색건축 인증기준에 대한 방향 정립 (A Study on the Right Direction of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Architecture)

  • 차욱진;남정칠;양건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5-56
    • /
    • 2016
  • 본 연구는 현재 시행 중인 "녹색건축물 조성지원법"의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평가 기준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아울러 2012년 11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3년간 녹색건축통합운영시스템(G-SEED)에서 인증 받은 총 78개의 건축물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현재 시행 중인 녹색건축 인증제도에 대해 네 가지의 논점을 도출하였다. 논점 1, 조경분야의 평가항목인 생태분야는 이산화탄소 저감에 확실한 성과를 보이는 항목이다. 이에 생태분야는 8개의 건축물에서 필수평가 항목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논점 2, 조경분야는 전문성이 매우 뛰어난 분야이다. 타 분야에서 조경분야를 평가한다는 것은 올바른 평가를 저해하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생태분야의 평가는 조경전문가에 의한 평가를 하여야 한다. 그리고 타 항목 중 "기존대지의 생태학적 가치"의 평가와 같은 조경분야와 밀접한 항목의 평가는 조경분야에서도 평가에 참여하여야 한다. 논점 3, 조경 식재에 의한 에너지 저감 및 온도저감의 우수성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밝혀졌다. 이에 조경 식재의 에너지 저감에 대한 평가항목이 추가되어야 한다. 논점 4, 유지 관리분야에 수목관리항목이 신설되어야 한다. 2013년 "녹색건축조성지원법"이 제정 시행된 녹색건축인증제도는 건축물의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한 실효적인 제도임에 틀림없다. 이 법은 특별법의 성격으로 건축법의 우위에 있어,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꼭 지켜야 하는 법이다. 이러한 법 체제 아래 건축분야에서는 이 법과 관련된 많은 연구 및 다양한 제품의 생산으로 건축의 또 다른 먹거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조경 분야에서는 "녹색건축조성지원법"에 대해 건축 분야에 비해 관심이 저조하였던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녹색건축인증제도에 대한 조경분야의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조경 산업계에서도 더욱 큰 관심을 가져 이와 관련된 제품의 생산 등으로 조경의 업역 확대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용담호의 홍수터 적용을 위한 문제점 및 이점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n the water quality challenges and benefits of buffer zone application to Yongdam reservoir, Republic of Korea)

  • ;최혜선;전민수;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74-283
    • /
    • 2023
  • 자연기반해법 중 하나인 홍수터는 블루-그린 네트워크로서 유역의 환경, 사회 및 경제적 이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용담호 지류의 수질에 대한 홍수터의 적용 효과를 평가하였다. 특히, 홍수터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파악하고 제시하였다. 2021년 9월부터 2022년 4월까지 용담호 내 총 6개 지점에서 수질 및 토양 시료를 채취하였다. 수질 분석 결과, 모니터링 지점 중 상전면 갈현리 하류(SG_W_D2)에서 탁도, 총 부유물질(TSS),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총인(TP), 총질소(TN) 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9월과 10에 실시된 샘플링은 녹조발생에 기여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토양 오염도 분석을 통해 모든 농경지에서 높은 TN및 TP 농도를 보여 농경지의 영양물질 축적량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TN 농도는 정천면 월평리 농경지(JW_S_A), 주천면 신양리(JS_S_A) 순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낮은 곳은 상전면 갈현리 원지반(SG_S_O)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홍수터 유형 중 II-A 유형, II-B 유형, III 유형은 블루-그린네트워크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초기 홍수터의 경우 블루-그린네트워크를 고려하지 않아 설계가 부실 및 성능이 저하되는 결과가 초래되기에, 이러한 홍수터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블루-그린 네트워크를 고려한 설계 개선 및 보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홍수터 설계시 활용 가능할 것을 사료된다.

소나무림내 인위적 간섭에 따른 딱정벌레류 곤충 군집의 초기 변화에 관한 연구 (Initial Change of Coleopteran Insect Community Affected by Anthropogenic Disturbances within Pine tree Forest)

  • 노승진;손재덕;전준형;배관호;김현섭;박상욱;변봉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39-551
    • /
    • 2015
  • 본 연구는 산림 내에서 수종갱신 및 천연갱신 등의 산림시업을 실시한 이후 딱정벌레류 곤충분포상의 변화 양상을 군집수준으로 조사 분석하여 종다양성이 증대되는 시업방법의 구명을 통해 산림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효과적인 관리기법을 제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2012년, 강원도 삼척군 하장면 일대의 소나무림 갱신임지 내에서 5개의 임업시업 방법별로 처리한 후 동일지점에서 2013년 7월부터 10월까지 딱정벌레류 곤충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목적상 갱신임지 유형별로 딱정벌레류를 정량조사하기 위해 45일 간격으로 린드그렌 퍼넬트랩을 이용하여 채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인 딱정벌레류의 분류군별 다양도 및 풍부도를 중심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딱정벌레류는 총 40과 156종 1,112개체가 조사되었다. 조사 초기 단계에서 각 처리방법별 뚜렷한 밀도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다양도 및 풍부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 중 대상개벌을 실시한 구간에서 비교적 높은 밀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Sentinel-2 위성영상과 SRTM DEM을 활용한 연안습지 탐지: 서해안 곰소만을 사례로 (Detection of the Coastal Wetlands Using the Sentinel-2 Satellite Image and the SRTM DEM Acquired in Gomsoman Bay, West Coasts of South Korea)

  • 정윤재;김경섭;박인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2-63
    • /
    • 2021
  • 기존 연구에서는 연안습지를 탐지하기 위해 위성/항공 영상의 다중분광 밴드로부터 산출한 식생지수 또는 토지피복도를 활용하였으나, 단일 센서만을 활용할 경우 토지피복정보와 지형정보를 동시에 고려하는 것에 한계가 있어 높은 정확도의 연안습지 탐지 및 대규모 연안습지 관리 업무 수행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해안 곰소만 지역을 촬영한 Sentinel-2 위성영상의 다중분광 밴드와 디지털 지형 모델인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DEM(Digital Elevation Model)을 사용하여 서해안 곰소만의 대규모 연안습지를 다음의 과정을 통해 탐지하였다. 우선 Sentinel-2 위성영상의 Green 및 근적외선 밴드를 활용하여 정규수분지수 영상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정규수분지수 영상에서 픽셀의 밝기값 0.2를 임계치로 설정하여 물과 육지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으며, SRTM DEM에서 픽셀의 밝기값 0을 임계치로 설정하여 해수면 아래와 해수면 위를 구분하는 이진화 영상을 제작하였다. 최종적으로는 두 장의 이진화 영상에 중첩 분석을 적용하여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한 이진화 영상 기반 연안습지 지도의 정확도는 94%로서 매우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연안습지가 아닌 내륙습지, 산지습지 등은 탐지되지 않아서 연안습지 관리 업무에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충북지역 주산지 수박, 멜론에서의 바이러스 발생현황 (Incidence of Virus Diseases in Major Cultivated Areas of Watermelon and Melon in Chungbuk Province)

  • 한종우;박영욱;윤철구;이석호;정택구;최홍수;김미경
    • 식물병연구
    • /
    • 제29권1호
    • /
    • pp.88-93
    • /
    • 2023
  • 충북지역 수박과 멜론재배지에서 2020년부터 2021년까지 시료를 채집하여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으로 유전자 진단을 실시해 바이러스 발생현황을 조사하였다. 2020년 수박에서는 정식 전 접목묘에 대해 바이러스를 검정했을 때 음성군과 진천군 두 곳에서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CGMMV)만이 각각 8%의 감염률을 보였다. 6월에는 진천군과 음성군 모두에서 watermelon mosaic virus (WMV), CGMMV, cucurbit aphid-borne yellows virus (CABYV)가 공통적으로 검출되었으며, 감염률은 진천군이 WMV 3.7%, CGMMV 11.1%, CABYV 3.7%이었고 음성군은 WMV 15.8%, CGMMV 33.3%, CABYV 3.5%로 음성군이 진천군에 비해 WMV와 CGMMV 감염률이 높았다.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월별로 수박재배지에서 바이러스를 검정했을 때 3월에는 음성군과 진천군 모두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으며, 4월에는 진천군에서 CGMMV 1.6%, 음성군에서는 WMV 0.4%, CGMMV 38.5% 발생하였다. 5월에는 진천군에서 cucumber mosaic virus (CMV) 35%, CGMMV 10%, 음성군에서는 CMV 20.9%, CGMMV 29% 발생하였다. 충북지역에서 수박 바이러스 조사기간 동안 zucchini yellow mosaic virus (ZYMV)와 cucurbit chlorotic yellows virus (CCYV)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2020년에는 발생되지 않았던 CMV가 2021년도에 발생하였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 멜론재배지에서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CABYV와 CCYV 발생을 조사했을 때 CABYV는 조사기간 동안 음성군과 진천군 모두에서 발생되었고 감염률은 53.9-92.2%였다. CCYV는 2020년에 음성군에서만 20.8% 2021년에는 진천군에서만 2.7% 발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