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Energy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9초

해양 설비 시장에 관하여

  • 조갑래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11
    • /
    • 2003
  • This paper present a review of trends in world energy demand and a close outlook over the offshore market, especially in deepwater developments. The market requirements, characteristics and risks involved in the contract type of offshore projects are explained, followed by the strategic approaches of Korean main yards along with, the HHI's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innovative construction methodologies to be a competitive contractor.

  • PDF

대형 빌딩 전력 운영 최적화를 위한 빌딩 전력 관리 시스템 설계 (Design of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BEMS) for optimized operation)

  • 양민욱;김건중;권형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334-335
    • /
    • 2011
  • 국내에는 다양한 스마트 전력기기들이 충분히 개발되어 있는 상황으로 빌딩의 전력 관리 시스템(이하 BEMS)를 구축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인프라가 충분히 갖추어 있다. 하지만 기존 건물 내배선의 유연성 부족으로,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기 설비 구조 변경 공사를 통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그리고 빌딩의 대형화에 따라 전력 사용량이 커짐으로, 운영을 통한 효율성 관리 여지가 커지고 있다. 따라서 본 문에서는 빌딩 내 전력 배분의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전력 설비를 투자하고 이를 운영하기 위해 취득 데이터를 바탕으로 3상 급전 해석 코어를 설계하고 BEMS에 추가적으로 운영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설계한다.

  • PDF

재생을 통한 농어촌마을형(型) 공동생활 홈 조성 방향에 관한 연구 - 충북 괴산군 청천면 월문리 그룹 홈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Direction of Forming Rural and Fishing Village Type Community Living Home through Regeneration - With Focus on Community Living Home in Wolmunli, Cheongcheon-myeon, Goesan-gun, Chungbuk -)

  • 김승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21-28
    • /
    • 2013
  • Problems of housing, healthcare, social exchanges, and lonely feelings of vulnerable social groups such as the elderly living alone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should be resolved by guaranteeing minimum residential rights and levels to restore the sense of self-esteem and social stability and to maintain the rural communities and these should be the object of social interest and support. The housing problems of rural and fishing villages should be resolved not through supply to meet demand but by beginning with providing the ways to attain mutual interaction through the program that recognizes housing as merit goods to maintain the regional communities This research examines more minutely the problems caused by poor housing conditions of rural and fishing villages and attempts to present rural and fishing village type community living home as an alternative through regener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administrative support system should be built to support the community living home in its beginning, process, completion, and even post management. Second, education for reinforcing capabilities to help understand the community living home should continually conducted on the occupants, villag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Third, in order to expand the community living home, research and development should be made so that the zero-energy house, the alternative energy utilizing house, etc. can be widely used. In building community living home for vulnerable social groups in rural and fishing villages, practical alternatives suitable to the regional realities should be presented and practiced so that the community living home can be built to the satisfaction of all the villagers and the occupants,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presented through constant interest and monitoring.

무선 통신 기반 조선소 내 HSE 및 생산정보 관리 향상을 위한 작업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Work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for Improving HSE and Prod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Within a Shipyard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 심천식;염재선;김강호;정다슬;김환석;김동건;이동현;조예린;김병화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60권5호
    • /
    • pp.367-374
    • /
    • 2023
  •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ing, countries worldwide are developing technologies to digitize and automate various industrial sectors. Building smart factories not only reduces costs through improved process productivity but also allows for preemptive identification and removal of risk factors through the practice of Health, Safety, and Environment (HSE) management, thereby reducing industrial accident risks. In this study, we visualized pressure, temperature, power, and wind speed data measured in real-time via a monitoring GUI, enabling field managers and workers to easily access 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work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conduct economic analysis on per-unit basis, based on the digitization of production management elements and the tracking of required resources. By implementing HSE in shipyards, potential risk factors can be improved, and gas and electrical leaks can be identified, which are expected to reduce production costs.

점진적 샘플링과 정규 상호정보량을 이용한 온라인 기계학습 공조기 급기온도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Online Machine Learning Model for AHU Supply Air Temperature Prediction using Progressive Sampling and Normalized Mutual Information)

  • 추한경;신한솔;안기언;라선중;박철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4권6호
    • /
    • pp.63-69
    • /
    • 2018
  • The machine learning model can capture the dynamics of building systems with less inputs than the first principle based simulation model. The training data for developing a machine learning model are usually selected in a heuristic manner. In this study, the authors developed a machine learning model which can describe supply air temperature from an AHU in a real office building. For rational reduction of the training data, the progressive sampling method was used. It is found that even though the progressive sampling requires far less training data (n=60) than the offline regular sampling (n=1,799), the MBEs of both models are similar (2.6% vs. 5.4%). In addition, for the update of the machine learning model, the normalized mutual information (NMI) was applied. If the NMI between the simulation output and the measured data is less than 0.2, the model has to be updated. By the use of the NMI, the model can perform better prediction ($5.4%{\rightarrow}1.3%$).

하.폐수 고도처리 기술개발사업 추진배경과 개발방향 (The Background and Direction of R&D Project for Advanced Technology of Wastewater Treatment and Reuse)

  • 김지태;황혜영;홍병표;변홍식
    • 멤브레인
    • /
    • 제21권3호
    • /
    • pp.277-289
    • /
    • 2011
  • 1980년대 이후 국내 하 폐수 처리시설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하수도 보급률이 90%에 이를 만큼 비약적으로 확충되었다. 21세기 들어 물 부족에 대비한 대체수자원 확보, 기후변화 등 지구환경문제에 대비한 에너지 절감 및 생산, 하천 호소의 지속적인 수질개선 요구 등 사회적 환경적 영향 요소를 감안할 때 더욱 고도화된 선진 하 폐수 처리기술이 필수적이다. 신개념 처리기술은 수질유해물질 및 독성관리기술 등 초고도 처리기술, 맞춤형 재이용기술, 에너지 절감 회수 활용 기술을 유기적으로 조합 연계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선진 처리기술은 국내 수질환경개선은 물론 개도국을 중심으로 급성장세를 보이는 국제 환경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의 토대가 될 것이므로 글로벌 탑 수준을 지향하는 하 폐수 고도처리 기술개발 사업에서는 상기 기술 분야를 중점 개발하고자 한다. 본 사업단은 방류수 고품질화. 재이용 기술 분야, 에너지자립 분야, 통합관리 분야로 구분, 향후 1단계 5개년(2011-2015) 사업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공동주택의 실별 제어환기 도입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Study on Installation of Individual Room Control Ventilation in Apartment House)

  • 김정엽;신현준;권용일;윤영우;조춘식
    • 대한설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설비공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02-507
    • /
    • 2009
  • Trend of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applied to apartment house is introduced and feasibility study on installation of the individual room control ventilation as energy-saving method is carried out through field experiment. While initial cost of installation for the individual room control ventilation increases, the running cost is lower than the individual household control ventilation due to automatic flow rate control and reduction of fan power, and the management cost also decreases due to extension of use life of components. As the results of field experiment on $115m^2$-type apartment house, the individual room control ventilation could save the amount of 1,459.5Wh/day when compared with the individual room control ventilation

  • PDF

CNN-LSTM 딥러닝 기반 캠퍼스 전력 예측 모델 최적화 단계 제시 (Proposal of a Step-by-Step Optimized Campus Power Forecast Model using CNN-LSTM Deep Learning)

  • 김예인;이세은;권용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8-15
    • /
    • 2020
  • 딥러닝을 사용한 예측 방법은 동일한 예측 모델과 파라미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데이터셋의 특성에 따라 결과가 일정하지 않다. 예를 들면, 데이터셋 A에 최적화된 예측 모델 X를 다른 특성을 가진 데이터셋 B에 적용하면 데이터셋 A와 같이 좋은 예측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높은 정확도를 갖는 예측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셋의 성격을 고려하여 예측 모델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하루 대학 캠퍼스 전력사용량을 1시간 단위로 예측하기 위해 데이터셋의 특성이 고려된 예측 모델이 도출되는 일련의 방법을 단계적으로 제시한다. 데이터 전처리 과정을 시작으로, 이상치 제거와 데이터셋 분류 과정 그리고 합성곱 신경망과 장기-단기 기억 신경망이 결합된 알고리즘(CNN-LSTM: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Long Short-Term Memory Networks) 기반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과정을 소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예측 모델은, 각 시간별 24개 포인트에서 2%의 평균 절대비율 오차(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를 보인다. 단순히 예측 알고리즘만을 적용한 모델과는 달리, 단계적 방법을 통해 최적화된 예측 모델을 사용하여 단일 전력 입력 변수만을 사용해서 높은 예측 정확도를 도출한다. 이 예측 모델은 모바일 에너지관리시스템(Energy Management System: EMS)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 관리자나 소비자에게 최적의 전력사용 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며 전력 사용 효율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측정 및 관리 개선 방안 제시 (A Proposal for Improving the Measurement and Management of Unit Water Content in In-Situ Concrete)

  • 윤자연;장효준;이태규;최형길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19-32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단위수량 규정을 조사하고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평가하였다. 콘크리트 품질을 타이틀로 하여 핵심 단어 시각화했을 때 단위수량이 높은 중요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단위수량 관리 및 단위수량 측정 방법에서 한국과 일본 간 상대적으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장에 반입된 콘크리트의 단위수량을 단위용적질량법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현장에서 임의로 채취한 샘플에서 단위수량이 불균일하고 가변적이며, 단위수량이 적정 단위수량 기준을 초과하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의 품질관리를 위해서는 레미콘 업체, 건설업체, 검사관이 단위수량에 대한 엄격한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며, 명확한 단위수량 측정 매뉴얼 제공과 철저한 교육, 주기적인 현장 점검 등 보다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노후 공동주택 개선여부 의사결정을 위한 공동주택 분류체계 개발 (Multi-family Housing Complex Breakdown Structure for Decision Making on Rehabilitation)

  • 홍태훈;김현중;구충완;박성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01-109
    • /
    • 2011
  •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변화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면서, 국내 외에서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특히, 국내 주거용 건축물 사용단계의 에너지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 생애주기에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노후 공동주택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공동주택의 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의 중요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공동주택의 개선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에너지 절감에 대한 부분은 주요 고려사항으로 반영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하기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 지원도구 역시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공동주택 개선여부의사결정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는 첫 단계로서, 유사 특성을 지닌 공동주택 단지간의 군집을 형성하는 분류체계를 구축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의사결정나무를 활용하여 공동주택 단지 특성 및 전력, 가스, 지역난방 에너지 사용량 기반의 군집을 형성했다. 향후 본 연구의 결과를 더욱 발전시켜 공동주택 개선단계에서의 의사결정 시 에너지 사용량을 고려사항으로 반영함으로써, 노후 공동주택 개선을 통한 에너지 절감 및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