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ware attack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3초

그래프 기반 이기종 위협정보 분석기술 연구 (A Study on Graph-Based Heterogeneous Threat Intelligence Analysis Technology)

  • 이예은;이태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4권3호
    • /
    • pp.417-430
    • /
    • 2024
  • 현대 기술의 발전과 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사이버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CTI(Cyber Threat Intelligence)의 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CTI는 과거의 사이버 위협 데이터에 기반하여 새로운 위협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만, 데이터의 복잡성과 공격 패턴의 변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분석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차원적 관계를 포괄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그래프 데이터의 활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악성코드 데이터를 대상으로 이기종 그래프를 구축하고, metapath2vec의 노드 임베딩 방법을 활용하여 사이버 공격 그룹을 더 효과적으로 식별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토폴로지 정보를 기존 악성코드 데이터에 추가로 활용하였을 때 탐지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사이버 보안 분야에 새로운 실질적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CTI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우스 Botnet 공격 유형 분석을 위한 클러스터링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lustering method for Analysis of Zeus Botnet Attack Types in the Cloud Environment)

  • 배원일;최석준;김성진;김형천;곽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20
    • /
    • 2017
  •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수요가 증가하는 반면에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위협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악성코드에 의한 공격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 내 상호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들이 감염 전파될 경우 다른 호스트의 리소스에도 영향을 끼쳐 개인정보 및 데이터의 삭제 등의 보안위협이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악성코드 분석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하는 악성코드 분석을 위해 k-means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이용한 제우스 봇넷의 공격 유형별 군집화 방안을 제안한다. 이는 클라우드 환경 내 발생되는 제우스 봇넷에 대하여 악성행위를 유형별로 군집화 함으로써 악성 유무를 판별할 수 있으며, 추후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제우스 봇넷 공격 대응을 목표로 한다.

인터넷 환경에서의 비정상행위 공격 탐지를 위한 위협관리 시스템 (Threat Management System for Anomaly Intrusion Detection in Internet Environment)

  • 김효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57-164
    • /
    • 2006
  • 최근에는 대부분의 인터넷 공격은 악성코드(Malware)에 의한 잘 알려지지 않은 제로데이 공격 형태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미 알려진 공격유형들에 대해서 탐지하는 오용탐지 기술로는 이러한 공격에 대응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공격 패턴들이 인터넷상에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정보 보호 기술로는 한계에 다다르게 되었고, 웹기반 서비스가 보편화됨에 따라 인터넷상에 노출된 웹 서비스가 주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터넷상의 트래픽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따른 이상 징후를 탐지하고 분석할 수 있는 비정상행위공격 탐지기술(Anomaly Intrusion Detection Technologies)을 포함하고 있는 위협관리 시스템(Threat Management System)을 제안한다.

  • PDF

LSTM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악성코드 API 분류 기술 연구 (Malware API Classification Technology Using LSTM Deep Learning Algorithm)

  • 김진하;박원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9-261
    • /
    • 2022
  • 최근 악성코드는 한 가지의 기법이 아닌 여러 기법들이 조합되고 합쳐지고 중요한 부분만 추출되어 새로운 악성코드들이 제작되고 변형되면서 점차적으로 공격 패턴이 다양해지고 공격 대상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기업들의 보안에서의 악성 행위로 인한 피해 사례는 시간이 지날수록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공격자들이 여러 악성코드를 조합하더라도 각 악성코드의 종류별로 API들은 반복적으로 사용되고 API들의 패턴들과 이름이 유사할 가능성이 높다. 그로 인해 본 논문은 악성코드에서 자주 사용되는 API의 패턴을 찾고 API의 의미와 유사도를 계산하여 어느 정도의 위험도가 있는지 판단하는 분류 기술을 제안한다.

  • PDF

명령 실행 모니터링과 딥 러닝을 이용한 파워셸 기반 악성코드 탐지 방법 (PowerShell-based Malware Detection Method Using Command Execution Monitoring and Deep Learning)

  • 이승현;문종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5호
    • /
    • pp.1197-1207
    • /
    • 2018
  • 파워셸은 닷넷 프레임워크를 기반에 둔, 커맨드 라인 셸이자 스크립트 언어로, 그 자체가 가진 다양한 기능 외에도 윈도우 운영체제 기본 탑재, 코드 은닉 및 지속의 수월함, 다양한 모의 침투 프레임워크 등 공격 도구로서 여러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파워셸을 이용하는 악성코드가 급증하고 있으나 기존의 악성코드 탐지 기법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파워셸에서 실행되는 명령들을 관찰할 수 있는 개선된 모니터링 기법과, Convolutional Neural Network(CNN)을 이용해 명령에서 특징을 추출하고 실행 순서에 따라 Recurrent Neural Network(RNN)에 전달하여 악성 여부를 판단하는 딥 러닝 기반의 분류 모델을 제안한다. 악성코드 공유 사이트에서 수집한 파워셸 기반 악성코드 1,916개와 난독화 탐지 연구에서 공개한 정상 스크립트 38,148개를 이용하여 제안한 모델을 5-fold 교차 검증으로 테스트한 결과, 약 97%의 True Positive Rate(TPR)와 1%의 False Positive Rate(FPR)로 모델이 악성코드를 효과적으로 탐지함을 보인다.

지능형 악성코드의 이메일 전파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E-mail Propagation of Intelligent Malware)

  • 이은섭;김영곤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89-194
    • /
    • 2020
  • 대부분의 사이버 침해사고는 악성코드를 이용한 APT 공격들에 의해 발생하고 있다. 해커들은 공격 대상에 침투하기 위해 이메일 시스템에 메계체로 한다. 내부로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메일을 이용하고, 장기간에 걸쳐 수집된 취약점을 이용해 데이터베이스를 파괴하고, 시스템 운영방해 및 랜섬웨어(Ransomware)를 통해서 개인정보를 불법으로 취득하고 있다. 이처럼 이메일시스템은 가장 친근하고 편리하지만 동시에 보안의 사각지대에서 운영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사고가 발생한다면 기업 및 사회 전체에 큰 피해를 줄 수 있다. 이번 연구는 기업내에서 운영 중인 이메일 시스템에 대한 보안 구성을 강화하여 APT 공격으로부터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PC를 이용한 스마트폰 악성코드 대응 (Response Guide of Smart-Phone Malware Using PC)

  • 윤풍식;한승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835-1841
    • /
    • 2013
  •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함에 따라 스마트폰 악성코드, 좀비 스마트폰등의 스마트폰을 겨냥한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폰에 대한 보안은 PC보안 보다 더 취약하며, 스마트폰에 대한 공격은 날이 갈수록 다양해지고 있으며 좀비 스마트폰의 경우 좀비 PC보다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PC에서 DDoS 공격과 스마트폰 DDoS공격 및 악성코드를 비교 분석하고 데이터망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용자가 직접 스마트폰의 패킷을 확인하는 방법과 스마트PC폰에 대한 악성코드들을 PC를 이용하여 탐지 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며 스마트폰 DDoS 공격과 악성코드에 관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블록체인과 딥러닝을 이용한 악성코드 탐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licious Code Detection Using Blockchain and Deep Learning)

  • 이덕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0권2호
    • /
    • pp.39-46
    • /
    • 2021
  • 최근 맬웨어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시그니처 기반 안티 바이러스 솔루션은 제로 데이 공격 및 랜섬웨어와 같은 새로운 위협에 취약하다. 그럼에도 많은 기업은 문제점을 인식하고, 다중 엔드 포인트 보안 전략의 일부로 서명 기반 안티 바이러스 솔루션을 유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안티 바이러스 솔루션으로 블록 체인과 딥 러닝 기술을 이용한 솔루션을 제안한다. 기존 DB 서버를 통해 업데이트되는 바이러스 백신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탐지 유닛을 보완하고, 다양한 샘플과 형태를 사용하여 딥 러닝 용 DB 대신 블록 체인을 구성하여 신규 악성 코드 및 위조 악성 코드 탐지율을 높이는 방법을 제안한다.

Windows Update 및 Automatic Updates의 설계 오류 분석 및 해결 방안 (Analysis of Design Error in Windows Update and Automatic Updates, and the Solutions)

  • 김윤주;윤영태;강성문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107-115
    • /
    • 2006
  •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보안패치 적용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윈도우즈 업데이트(Windows Update)와 자동 업데이트(Automatic Updates)의 적용 대상 보안패치 검색 모듈에서 설계상의 오류가 발견되었고, WFP(Windows File Protection)에 대한 우회 방법이 공개되었다. 이로 인해 취약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보안패치 검색이 되지 않도록 하는 보안패치 가장 공격이 가능함을 입증하고, 위협 시나리오를 구성한다. 그리고 보안패치 검색 모듈의 설계상 오류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 PDF

악성코드 탐지를 위한 실시간 통합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time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the Detection Malware)

  • 김효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317-318
    • /
    • 2013
  • 최근에 발생한 3.20 사이버테러와 6.25 사이버테러와 같이 특정 방송사와 금융권 전산망을 마비시키고 임직원 시스템을 망가뜨려 못쓰게 만드는 피해 유형이 발생되고 있다. 이런 사이버 공격에 사용되는 악성코드에 대해서 탐지에서 분석 그리고 검증 단계를 통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필터를 통해 악성코드를 추출하고 차단하는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악성코드를 탐지하는 엔진들의 분석 및 검증 현황을 확인하고 실시간 통계 모듈에서 수집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향후 보안 정책 방향 및 미래 예측을 계획할 수 있는 실시간 악성코드 분석 통합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