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t extract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28초

Ampelomyces의 생리적 특성 및 길항능력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Antagonistic Effect of Ampelomyces)

  • 김지영;이왕휴;김형무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209-216
    • /
    • 2009
  • 2005년 6월부터 2008년 5월까지 전북 장수, 전주 및 전남 장성 등에서 흰가루병에 걸린 44종의 기주식물을 채집하였으며, 12종의 식물에서 Ampelomyces의 중복기생이 확인되었다. Ampelomyces의 병자각의 형태는 대부분이 원형 또는 타원형이었으며, 같은 기주식물에서도 그 크기가 다양했고, 병자각의 색은 옅은 갈색에서 진한 갈색이었다. 봉선화, 고들빼기, 쥬키니호박, 삼잎국화 로부터 Ampelomyces 균을 분리하였고, 이 중 실험에 적합한 Ampelomyces 균주 12개를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된 12균주의 배양적 특성 및 영양요구를 조사한 결과 Malt extract agar에서 가장 생육이 좋았다. 삼투압이 Ampelomyces의 포자발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Czapek dox agar에 질소원인 NaCl 0.15M을 첨가한 배지에서 포자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Ampelomyces 분리 균의 길항 효과를 실험한 결과 다른 식물 병원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있었다. 분리한 균주는 식물체에 이상이 생기거나 병이 발생하지 않아서 Ampelomyces는 식물에 병원성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에 주로 사용된 균주 BSLAH16의 rDNA ITS 영역에 대한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 quisqualis 또는 Ampelomyces sp.로 동정 되었다.

한국에 자생하는 녹청균류의 기초 배양 특성 (Fundament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hlorociboria spp. Native to Korea)

  • 전성민;가강현;왕은진;유림;장영선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45-160
    • /
    • 2018
  • 녹청균류(Chlorociboria spp.)는 청록색 색소를 생산할 수 있는 연부후성 자낭균류로, 한국에 자생하는 녹청균류를 분리하여 다양한 배양 조건에서 균의 생장 특성과 세포외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비록 균사 생장 속도는 느렸지만, 시험 균주들은 malt extract agar (MEA) 배지를 제외한 potato dextrose agar (PDA)와 Sabouraud dextrose agar (SDA) 배지에서 비교적 잘 생장하였다. PDA와 SDA 배지 상에서 C. poutoensis의 청록색 색소 발현도는 C. aeruginascens 보다 높았다. 최적 생장 온도는 $20{\sim}25^{\circ}C$이며, $10^{\circ}C$보다 $30^{\circ}C$에서 생장력이 약했다. $10{\sim}20^{\circ}C$에서 모든 균주는 배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균사 생장력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정치배양 시 potato dextrose broth (PDB) 배지의 최적 생장 pH는 균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60일 배양체의 균체량이 가장 높게 나타난 균주는 NIFoS 579 ($114.3{\pm}5.1mg$)로, 비교적 넓은 pH 범위에서도 청록색 색소 발현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였다. 녹청균류의 모든 시험 균주은 cellulase와 laccase 활성을 나타냈으며, 다른 균주들보다 NIFoS 579의 효소 활성이 확연히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NIFoS 579는 청록색 천연 염료제로 이용 가능한 후보 균주라 생각한다.

무 시들음병균이 생산하는 Phytotoxin의 병원성 및 저항성에서 역할 (Role of a Phytotoxin Produc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 on Pathogenesis of and Resistance to the Fungus)

  • 심선아;김진철;장경수;최용호;김흥태;최경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5호
    • /
    • pp.626-632
    • /
    • 2013
  • 무 시들음병에 대한 저항성 검정 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실험하는 과정에서 병원균인 Fusarium oxysporum f. sp. raphani가 무 유묘에 독성(phytotoxicity)을 일으키는 독소(phytotoxin)를 생산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F. oxysporum f. sp. raphani KR1 균주는 여러 배지 중 malt extract broth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그리고 $25^{\circ}C$에서 14일 동안 150rpm으로 진탕배양하였을 때 가장 많은 독소를 생산하였다. 무에 대한 독성 반응을 이용하여 F. oxysporum f. sp. raphani의 배양액으로부터 phytotoxin을 분리하였다. 그리고 Mass와 NMR Spectroscopy 분석을 통하여 이 화합물은 fusaric acid로 동정되었다. 독소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fusaric acid를 무, 양배추, 브로콜리 등 F. oxysporum f. sp. raphani의 기주 및 비기주 배추과 작물에 대한 독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Fusaric aicd는 무 유묘에 대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을 보였으며, F. oxysporum f. sp. raphani에 대한 감수성 품종뿐만 아니라 저항성 품종에 대해서도 유사한 정도의 독성을 나타냈다. 그리고 F. oxysporum f. sp. raphani가 생산하는 fusaric acid는 병원균의 비기주 배추과 작물인 양배추와 브로콜리에 대해서도 강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들 결과는 이 독소가 병원성 관련 독소이나 비기주 특이적 독소이며, 무 시들음병 저항성 검정에서 이 독소가 제거된 포자현탁액을 접종원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Peniophora sp. JS17 유래 멜라닌 탈색 효소 생산을 위한 배지 조성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a Composition on the Production of Melanin Bleaching Enzyme from Peniophora sp. JS17)

  • 손민정;김연희;남수완;전숭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50-258
    • /
    • 2019
  • 삼림지역의 고목에서 분리한 Peniophora sp. JS17 균주는 사람 머리카락 유래 멜라닌을 탈색하는 세포 외 분비효소를 생산했다. JS17 균주는 laccase 및 manganese peroxidase 활성을 나타냈지만 lignin peroxidase 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본 균주를 회분배양한 결과 멜라닌 탈색 활성은 laccase 활성으로부터 유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eniophora sp. JS17 균사체로부터 멜라닌 탈색 효소를 생산하기 위한 배지 조건을 조사하였다. 다양한 합성 배지 중에서 minimal medium (2% glucose, 0.2% malt extract, 0.1% $KH_2PO_4$, 0.4% $MgSO_4{\cdot}7H_2O$)이 가장 높은 lacc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Laccase 생산에 대한 배양 조건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minimal medium의 조성 중에서 탄소원 및 질소원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다양한 탄소원 및 질소원 중에서 각각 2% xylose 및 0.4% tryptone의 경우에 가장 높은 laccase 활성을 나타내었다. Ammonium sulfate 침전 및 Hitrap Q Sepharose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한 효소는 SDS-PAGE에서 약 70 kDa의 분자량 부근에 2종류의 isozyme 형태로 존재 하였다. 멜라닌 탈색율은 HBT 및 syringaldehyde의 존재하에서 48시간 만에 각각 77% 및 55%를 나타내었고, mediator가 없는 조건에서는 9%의 멜라닌 탈색율을 나타내었다.

흰목이 균사체 배양 적합 조건 설정 (Suitable Conditions for Mycelial Culture of Tremella fuciformis)

  • 이은지;박혜성;이찬중;공원식;구창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흰목이 균사배양을 위한 최적조건을 분석하였다. 흰목이균주(KMCC04674) 균사체의 대량 배양에 효율적인 영양원 선발을 위하여 M9 기본배지에탄소원 fructose 등 21종, 무기질소원 $(NH_4)_2C_2O_4$, 등 7종, 유기질소원 peptone 등 7종, 아미노산 asparagine 등 14종, 그리고 유기산 acetic acid 등 8종을 각각 1%씩 그리고, 무기염류 KCl 등 13종을 1 mM 농도로 첨가하여 각각에 대한 균사체의 생육을 조사하였다. 또한 선발된 영양성분들에 대한 최적 농도를 알기 위하여 0.1%에서 4.0%까지 배지에 첨가하고 배양 후 흰목이 균사체생육정도를 조사하였다. 그결과, 균사체의 대량배양을 위한 생육최적조건은 온도 $25^{\circ}C$, pH5, 탄소원 4.0% mannitol, 유기질소원 1.0% malt extract, 무기질소원 3.0% $NH_4H_2PO_4$, 아미노산 1.0% glutamic acid, 무기염류는 5mM $CaCl_2$ 그리고유기산 0.5% gluconic acid였다.

무리우산버섯의 생리적 특성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Kuehneromyces mutabilis.)

  • 채정기;황태익;서승현;김현석;장경수;문형률;강민아;박병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2년도 제9차 국제심포지움 및 추계정기학술발표회
    • /
    • pp.61-61
    • /
    • 2002
  • 무리우산버섯(Kuehneromyces mutabilis)의 온도별 균사생장을 조사한 결과, 균사생장온도는 4~32$^{\circ}C$였으며, 최적 균사생장 온도는 $25^{\circ}C$였고, $25^{\circ}C$~32$^{\circ}C$에서도 비교적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다. pH별 균사생장도를 조사한 결과는 pH가 4.0, 5.0, 6.0, 7.0, 8.0으로 조절된 YMPG(Yeast Malt Peptone Glucose) 배지에서 균사생장을 조사한 결과 최적 pH는 5.0이 었고, 6.0, 7.0 순으로 균사생장이 양호하였던 반면, 8.0에서는 균사생장이 극히 불량하였다. 아위버섯의 균사생장을 위한 최적 배지조성은 7종의 탄소원을 각각 1%(w/w)농도로 첨가하여 배지를 조제하여 균사생장도를 조사한 결과 glucose, mannose 첨가구에서 균사생장이 가장 양호하였고, frctose, trehalose, starch, dextrin, lactose 순으로 균사생장이 비교적 양호하였던 반면, 다른 탄소원에서는 불량하였다. 질소원별 균사 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6종의 질소원을 각각 1% (w/v)농도로 첨가하여 배지를 조제하여 균사생장도를 조사질소원별 균사생장량을 조사한 결과 yeast extract와 peptone 첨가구에서 균사생장량이 매우 양호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보면 무리우산버섯의 최적온도는 25~32$^{\circ}C$, 최적 pH는 5.0~6.0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정 영양원은 기본배지로 선발된 YMPG에 탄소원은 mannose, glucose, 질소원은 yeast extract와 peptone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 PDF

Micrococcus sp. HJ19에서 체외분비 단백질 분해효소의 생산조건과 효소특성 (Production Condi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rotease from Micrococcus sp. HJ-19)

  • 차인태;오용식;조운동;임채성;이제관;이오석;노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69-73
    • /
    • 2009
  • 단백질 분해효소는 아미노산 간에 존재하는 공유결합인 펩티드 결합을 절단하는 효소이며,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판매되는 효소이다. 해양 심층수로부터 분리된 Micrococcus sp. HJ19의 체외분비 단백질 분해효소를 생산하는 최적의 배지조건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배지로 변형 STY 배지(1% tryptone, 0.15% yeast extract, 0.01% NaCl, 여과살균한 바닷물)를 사용하였다. 탄소원으로 포도당보다 갈락토오스를 사용하였을 때 1.3배로 높은 활성을 보여주었으며, 질소원으로는 casamino acid를 사용하였을 때 가장 낮은 활성을 보여준 반면, 맥아추출물을 사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생산된 체외단백질 분해효소는 $35^{\circ}C$에서 최적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최적 pH는 8.5로 판명되었다.

Mycological Characteristics of Nine Unrecorded Yeasts from Flowers in the Orchard of Yesan-gun, Chungcheongnam-do and Hanbat Arboretum in Daejeon City, Korea

  • Han, Sang-Min;Hyun, Se-Hee;Shin, Ja-Won;Kim, Ha-Kun;Lee, Jong-Soo
    • 한국균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31-234
    • /
    • 2014
  • Six unrecorded yeasts, Cryptococcus festucosus 41-3, Cryptococcus heveanensis 56-4, Debaryomyces nepalensis 95-4, Issatchenkia occidentalis 142-1, Dioszegia zsoltii 39-1, and Kwoniella europala 47-2 were screened from 108 yeasts isolated from flowers and fruits in orchards of Yesan-gun, Chungcheongnam-do, Korea. The morph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se unrecorded yeasts were investigated. They had various shapes, including ellipsoidal, globose, and oval, and also had budding mode in vegetable reproduction, except I. occidentalis 142-1 (fission mode). K. europaea 47-2 only formed pseudomycelium. D. zsoliti 39-1 did not grow in yeast extract-malt extract medium, potato dextrose medium, and vitamin-free medium. C. festucosus 41-3 grew well in 5% NaCl-containing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medium and had a growth pH range of 7.0~10.0. Three unrecorded yeasts Ogataea polymorpha HB45-1, Rhodotonula hinnulla HB62-2, and Cryptococcus rajasthanensis HB80-4 were screened from 51 yeasts isolated from flowers in Hanbat arboretum in Daejeon city, Korea. They were globose in shape and did not form pseudomycelium. In addition, O. polymorpha HB45-1 and C. rajasthanensis HB80-4 had budding mode in vegetable reproduction. All of them grew well in vitamin-free medium and C. rajasthanesis HB80-4 also grew in 50% glucose and 5% NaCl-containing YPD medium.

Cultural characteristics of Cordyceps militaris strain 'Yedang 3' on various media and nutritional conditions

  • Lee, Byung-Joo;Lee, Mi-Ae;Kim, Yong-Gyun;Lee, Kwang-Won;Choi, Young-Sang;Lee, Byung-Eui;Song, Ho-Yeon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4-130
    • /
    • 2013
  •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nd nutritional requirement such as temperature, pH, different media, carbon, nitrogen, and carbon-to-nitrogen ratio on the mycelial growth of Cordyceps militaris strain 'Yedang 3' were studied.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growth of mycelium were $20-25^{\circ}C$ and pH 6-7, respectively. Out of ten media tested, mushroom complete media (MCM) was the best medium for fast mycelial growth, and Sabouraud's dextrose agar yeast extract (SDAY), malt extract yeast extract agar (YMA) also were favored. The color and shape of colonies varied in different media. The best carbon sources for mycelial growth were fructose, mannitol, and sucrose, whereas the best nitrogen sources were tryptone and peptone. However, mycelia grew slowly in inorganic nitrogen compounds such as $NH_4Cl$, $(NH_4)_2SO_4$, $NH_4NO_3$, and $NaNO_3$. The optimum C:N ratio observed on the culture media was 30-40 range. These results provided basic information on cultur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ve growth and might be useful for spawn production in Cordyceps militaris.

2조 및 6조대맥의 생육, 수량 및 품질특성 비교조사 (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Malting Quality Characters of Two Row and Six Row Barley)

  • 조장환;남중현;이은섭;홍병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1-48
    • /
    • 1982
  • 맥주나 위스키용 원맥 확보를 위하여 맥주맥과 대과맥의 생육, 수량 및 품질특성을 비교하고 아울러 맥주맥의 질적 개선을 위하여 일본의 맥주맥의 특성과 비교 조사를 하였든 바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맥주맥의 출수기는 대과맥보다 빠르고 성숙기는 대맥과 비슷하나 과맥보다는 빠르며 등숙일수는 비슷하였다. 2. 대과맥품종은 추파성이나 맥주맥품종은 춘파성이고 내한성이 약하며 단일반응에 대과맥보다 둔감한 편이었다. 3. 간장은 대과맥에 비하여 맥주맥품종이 짧으며 수장은 훨씬 길다. 4. 수량구성요소중 m_2당 수수가 많고 천립중은 무거우나 수당립수가 적으며 수량은 맥종간에 차이가 적어 비슷하였다. 5. 품질중에 있어서 맥주맥은 대과맥에 비하여 발아율, 발아세가 좋으며 단백질 함?이 낮았다. 또한 맥아수량율, Extract맥즙, Extract수량, Kolback 지수, 효소력도 좋을 것으로 알려졌다. 6조대맥은 맥주용이나 위스키용으로 외국에서 이용되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등숙기간이 짧고 등숙이 불량하여 모든 품질특성이 맥주맥보다 불리하여 양조효율이 낮을 것으로 보였다. 6. 검사규격에서 맥주맥은 천립중이 무거운데도 불구하고 대과맥에 비하여 각등급에서 정립율이 오히려 낮고 피해립, 이종맥 등의 최고한도비율은 낮았다. 7. 한국과 일본의 맥주맥의 생육특성은 대체로 비슷하며 한국이 일본품종보다 m_2당 수수가 많으며 등숙은 기상적으로 보아 일본의 맥주맥품종이 맥아수량율이 낮으나 발아율, 발아세가 좋고 Extract 맥즙, Extract가 많으며 Kolback 지수와 효소력이 높아 전체 품질면에서 좋았다. 8. 한국의 맥주맥 검사규격을 발아세와 정립율이 낮고 쇄맥, 피해립, 이상맥, 이물 등의 최고한도가 높아 품질적으로 매우 불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