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gnant pleural effusion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35초

Is There a Role for a Needle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under Local Anesthesia for Pleural Effusions?

  • Son, Ho Sung;Lee, Sung Ho;Darlong, Laleng Mawia;Jung, Jae Seong;Sun, Kyung;Kim, Kwang Taik;Kim, Hee Jung;Lee, Kanghoon;Lee, Seung Hun;Lee, Jong Tae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7권2호
    • /
    • pp.124-128
    • /
    • 2014
  • Background: A closed pleural biopsy is commonly performed for diagnosing patients exhibiting pleural effusion if prior thoracentesis is not diagnostic. However, the diagnostic yield of such biopsies is unsatisfactory. Instead, a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is more useful and less painful. Methods: We compared the diagnostic yield of needle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performed under local anesthesia with that of closed pleural biopsy. Sixty-seven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were randomized into groups A and B. Group A patients were subjected to closed pleural biopsies, and group B patients were subjected to pleural biopsies performed using needle thoracoscopy under local anesthesia. Results: The diagnostic yields and complication rate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The diagnostic yield was 55.6% in group A and 93.5% in group B (p<0.05).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developed in seven group A patients but not in any group B patients. Of the seven complications, five were pneumothorax and two were vasovagal syncope. Conclusion: Needle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under local anesthesia is a simple and safe procedure that has a high diagnostic yield. This procedure is recommended as a useful diagnostic modality if prior thoracentesis is non-diagnostic.

흉수 환자에서 Minithoracoscopy를 이용한 흉막 생검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Accuracy of 2-mm Minithoracoscopic Pleural Biopsy for Pleural Effusion)

  • 김우진;이희영;이성호;조성준;박원서;김자경;이승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7권2호
    • /
    • pp.138-142
    • /
    • 2004
  • 연구배경 : 삼출성 흉수의 원인을 알기위해 일반적으로 흉막천자를 통한 미생물학적, 세포학적 검사와 cope needle을 사용한 흉막생검이 사용되나, 통상적인 방법으로는 약 20%에서 원인 진단에 이르지 못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원인을 알 수 없는 삼출성 흉수환자에서 기존의 맹검적 흉막생검을 대신하여 2mm 흉강경을 시행한 경우의 진단적 정확성 및 합병증의 발생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2년 4월부터 2003년 8월까지 삼출성 흉수의 진단을 위해 강원대학교병원에 입원한 16세 이상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객담 검사 및 1회 이상의 흉수천자를 통한 미생물 배양검사, 세포진 검사 등을 통해 흉수의 원인을 알 수 없었던 환자를 대상으로, 2mm 흉강경을 이용하여 육안소견 및 병리소견을 확인하였다. 결 과 : 총 15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중앙연령은 56세(범위 21-77세), 남녀의 비율은 10:5였다. 흉강경 이전에 시행했던 흉수천자에서 11명(73.3%)이 림프구최다, 3명(20.0%)이 호중구최다, 1명(6.7%)이 호산구최다의 소견을 보였다. 흉강경을 통한 조직학적 검사를 통해서 12명(93.3%)의 환자에서 정확한 진단을 얻었으며, 이들의 진단은 결핵성 흉수가 8명(66.7%), 악성흉수가 4명(33.3%)이었고, 세균성농흉이 2명이었다. 흉강경으로 진단되지 않은 1명은 폐흡충증으로 최종 진단되었다. 시술과 관련된 합병증으로서 사망은 없었고, 새로 발생한 발열이 6명(40%), 기흉이 1명(6.7 %) 있었다. 결 론 : 원인을 알 수 없는 삼출성 흉수 환자에서 2mm 흉강경은 매우 정확도가 높고 안전한 검사로서, VATS보다 환자에게 부담을 적게 주면서 진단율을 높일 수 있다.

호산구성 흉막유출의 임상상과 진단적 의의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agnostic Utility of Eosinophilic Pleural Effusion)

  • 노길환;강수정;윤종욱;황정혜;함형석;임영희;강은해;안창혁;서지영;정만표;김호중;권오정;이종헌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33-739
    • /
    • 2000
  • 배경 및 방법 : 호산구성 흉막유출의 원인질환과 흉수 내 호산구의 진단적 의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1999년 1월부터 12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흉막유출로 첫번째 흉강천자를 시행 받은 446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전체 환자의 남녀 비율은 3 : 2 였고 연령의 중앙값은 57.0세 였으며 전체 흉막유출 환자중 호산구성 흉막유출은 446명 중 24명(5.4%)에서 조사되었다. 전체 환자들의 질환 분포를 보면 악성종양에 의한 흉막유출 226명(50.7%), 폐렴성 76명(17.0%), 결핵성 53명(11.9%)순으로 상기 3개질환이 전체의 80%를 차지했다. 2) 호산구성 흉망유출 원인 중 악성종양으로 인한 경우는 13명(54%)에서 조사되었고 비호산구성 흉막유출과 비교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54.2% vs 50.5%, p=0.725). 3) 호산구성 흉막유출 환자들의 말초 혈액내 평균 호산구 수는 5.5%로 흉수 내 호산구 수와 연관이 없었고, 악성종양에 의한 흉수의 호산구 수는 31.2%로 양성질환에 의한 흉수의 호산구 26.1%와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다(p=0.597). 4) 2번 이상 흉강 천자를 시행 받은 234명의 환자에서 반복 천자시 비호산구성 흉악유출에서 호산구성 흉막유출로 변하는 빈도는 6.4%(15명)로 조사되었다. 결론 : 호산구성 흉막유출은 전 흉막유출의 약 5%에서 발생하며, 원인 질환, 말초 혈액내 호산구 수, 반복적 천자와 무관하였다. 흉막유출에서 호산구가 증가하여도 특별한 진단을 시사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Tc-99m MDP 골 스캔에서 우연히 발견된 악성 심낭 삼출 (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Incidentally Detected by Tc-99m MDP Bone Scintigraphy)

  • 임석태;손명희;곽재용;임창열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91-292
    • /
    • 2001
  • We report a case of malignant pericardial effusion originated from adenocarcinoma of the lung incidentally diagnosed by bone scintigraphy, prior to echocardiographic detection. A 76 year-old man with adenocarcinoma of the lung underwent Tc-99m MDP bone scintigraphy to evaluate skeletal metastasis. Anterior images of the chest of the bone scintigraphy unexpectedly showed diffuse increased activity in the region of the heart surrounded by an oval-shaped band of increased activity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cardiac silhouette (Fig. 1). There was no evidence of bony metastasis. Pericardial effusion was confirmed by echocardiography (Fig. 2) and malignant cells were revealed by subsequent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pericardial fluid. Bone scintigraphy using Tc-99m phosphate compounds is commonly used to detect bony metastasis in cancer patients. Tc-99m phosphate compounds occasionally accumulate in extra-osseous sites, including $pleural^{1,2)},\;pericardial^{3,4)},\;and\;ascitic\;fluids^{5,6)}$.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ir accumulation in serous effusions should strongly suggest $malignancy^{1-6)}$. The exact mechanism for accumulation of Tc-99m phosphate compounds in serous effusions is unclear. Several investigators have proposed that the radiopharmaceuticals exuded directly from peripheral vessels to the serous cavity due to increased vascularity and vascular permeability, and bleeding by disruption of blood vessels due to cancerous $infiltration^{5,6)}$.

  • PDF

삼출성흉수에서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1 Proteion의 진단적 유용성 (Diagnostic Utility of Pleural Fluid Soluble Triggering Receptor Expressed on Myeloid Cells 1 Protein in Patients with Exudative Pleural Effusion)

  • 심윤수;이진화;천은미;장중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6호
    • /
    • pp.499-505
    • /
    • 2007
  • 배 경: TREM-1은 중성구, 단핵구, 대식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세포표면수용체로, 세균에 의해 그 발현이 증가하여 여러 염증전달물질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저자들은 삼출성흉수를 가진 환자의 혈청과 흉수에서 soluble (s) TREM-1을 측정하여 흉수의 원인진단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3년 3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삼출성흉수로 입원한 환자 45명을 대상으로 하여, 혈청과 흉수에서 human sTREM-1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점적법(immunoblot assay)으로 sTREM-1을 측정하였다. 원인질환에 따라 결핵성, 부폐렴성, 악성흉수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결 과: 혈청 sTREM-1은 원인질환 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흉수 sTREM-1은 원인질환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11), 특히 부폐렴성흉수의 sTREM-1이 결핵성흉수와(p<0.05) 악성흉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부폐렴성흉수를 진단하는 데 흉수 sTREM-1의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ROC 곡선을 그린 결과 곡선밑면적은 0.818이고 (p=0.001), 흉수 sTREM-1의 cutoff 값을 103.5pg/mL로 하였을 때 민감도가 73%, 특이도가 81%이었다. 결 론: 흉수의 sTREM-1은 삼출성흉수 중 부폐렴성흉수를 진단하는 유용한 지표로 판단된다.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서 결핵균 항원 자극에 의한 흉수 세포의 IFN-γ 분비 검사의 유용성 (The Utility of Pleural Fluid Cell IFN-γ Production Assay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us Pleurisy)

  • 박재석;김윤섭;지영구;이계영;최주영;조성애;조상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2호
    • /
    • pp.186-192
    • /
    • 2005
  • 연구배경 : 결핵균 항원자극에 의한 흉수 세포의 $IFN-{\gamma}$ 분비검사가 결핵성 흉막염과 다른 원인의 흉수의 감별진단에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39명의 결핵성 흉막염 환자와 비결핵성 흉수를 보인 26명의 환자(부폐렴성 흉수 13명, 암성 흉수 13명)들의 흉수세포를 분리하여 배양하면서 PPD와 PHA로 24시간 자극한 후 배양상층액의 $IFN-{\gamma}$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1) 결핵성 흉수의 ADA 활성도 및 $IFN-{\gamma}$ 농도는 비결핵성 흉수보다 높았다(p < 0.01). 2) PPD로 흉수세포들을 자극하였을 때 분비되는 $IFN-{\gamma}$ 농도는 결핵성 흉수($755,266{\pm}886,636pg/ml$)에서 비결핵성 흉수($3,509{\pm}6,980pg/ml$)보다 높았다(p<0.01).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기준을 $IFN-{\gamma}$ 농도가 10,000 pg/ml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을 경우 민감도는 97.4%, 특이도는 92.3%였다. 3) PPD 자극에 의한 흉수세포의 $IFN-{\gamma}$ 분비를 PHA로 자극하였을 때의 $IFN-{\gamma}$ 분비에 대한 비로 비교하였을 때 결핵성 흉수($59{\pm}85$)에서 비결핵성 흉수($5{\pm}18$)보다 높았다(p<0.01).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기준을 PPD/PHA 비가 5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을 경우 민감도는 76.9%, 특이도는 92.3%였다. 결 론 : 결핵균 항원 자극에 의한 흉수세포 $IFN-{\gamma}$ 분비검사는 결핵성 흉막염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비디오 흉강경: 흉부질환의 진단과 치료;90례 보고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VATS] in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oracic Diaseas; Report of 90 Cases)

  • 백만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6권6호
    • /
    • pp.475-482
    • /
    • 1993
  • 90 patients[75 men and 15 women] with the thoracic disease underwent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VATS] during the period March 1992 to February 1993. The thoracic disease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f spontaneous pneumothorax and general thoracic patients and they were 66 and 24, respectively.The mean size of the tumor resected was 4.3 $\pm$ 2.0 cm x 3.3 $\pm$ 1.1 cm x 2.7 $\pm$ 1.0 cm. The mean time of anesthesia and operation were 90.0 $\pm$ 19.9 min and 43.7 $\pm$ 13.1 min in spontaneous pneumothorax group and 123.3 $\pm$ 40.3 min and 62.8 $\pm$ 32.2 min in general thoracic group. The mean period of postoperative chest tube drainage and hospital stay were 5.0$\pm$ 5.5 days and 6.6 $\pm$ 7.4 days in spontaneous pneumothorax group and 3.5$\pm$ 1.6 days and 9.5 $\pm$ 6.1 days in general thoracic group. The indications of VATS were 71 pleural disease[78.9%: 66 spontaneous pneumothorax; 3 pleural effusions ; 1 pleural paragonimus westermanii cyst; 1 malignant pleural tumor with metastasis to the lung], 9 mediastinal disease[10.0%: 5 benign neurogenic tumor; 2 pericardial cyst; 1 benign cystic teratoma; 1 undifferentiated carcinoma], 8 pulmonary parenchymal disease[8.9%: 3 infectious disease ; 3 interstitial disease ; 2 malignant tumor ], and 2 traumatic cases of exploration and removal of hematoma[2.2%]. The applicated objectives of VATS were diagnostic[ 7 ], therapeutic[ 67 ] and both[ 16 ] and the performed procedures were pleurodesis[ 66 ], wedge resection of lung[ 59 ], parietal pleurectomy[ 11 ], removal of benign tumor[ 9 ], excision and/or biopsy of tumor[ 4 ], pleural biopsy and aspiration of pleural fluid[ 3 ] and exploration of hemothorax and removal of hematoma in traumatic 2 patients. The complication rate was 24.2%[ 16/66 ] in the spontaneous pneumothorax group and 8.3%[ 2/24 ] in the general thoracic group and so overally 20.0%[ 18/90 ]. The mortality within postoperative 30 days was 2.2%[ 2/90 ], including 1 acute renal failure and 1 respiratory failure due to rapid progression of pneumonia. The conversion rate to open thoracotomy during VATS was 5.6%[ 5/90 ], including 2 immediate postoperative massive air leakage, 1 giant bullae, 1 malignant pleural tumor with metastasis to lung and 1 pulmonary malignancy. The successful cure rate of VATS was 75.8%[ 50/66 ] in the spontaneous pneumothorax group and 76.5%[ 13/17 ] in the general thoracic group and the successful diagnostic rate was 100%[ 7/7 ]. In conclusion, although prospective trials should be progressed to define the precise role of VATS, the VATS carries a low morbidity and mortality and high diagnostic and therapeutic success rate and now can be effectively applicated to the surgical treatment of the extensive thoracic disease.

  • PDF

결핵성 늑막삼출과 비결핵성 늑막삼출에서의 가용성 Interleukin-2 수용체의 농도 (Soluble Interleukin-2 Receptor(sIL-2R) Levels in Patients Tuberculous Pleurisy VS Nontuberculous Pleurisy)

  • 임현옥;함종렬;심대석;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2호
    • /
    • pp.135-143
    • /
    • 1994
  • 연구목적 : 혈청 sIL-2R 농도는 T세포의 면역활성화가 관여되는 육아종성질환, 장기이식, 자가면역질환에서, 또한 혈액종양 및 림프세망내 피계종양등에서 증가 한다고 알려져있다. 최근 결핵환자에서도 질병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혈청 및 흉강 삼출액에서 sIL-2R 농도의 증가를 보고하고 있다. 임상에서 결핵성 흉강삼출과 악성 흉강삼출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를 경험하게 되는데 흉강삼출액에서 sIL-2R 농도 측정이 이들 질환의 감별에 도움이 될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늑막조직검사에서 결핵성으로 확인된 12명의 결핵성 흉강삼출액환자와 32명의 비결핵성 흉강 삼출액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및 흉강삼출액에서 sIL-2R 농도를 측정하였다. 방법 : 대상환자의 늑막삼출액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과 동시에 채취한 혈청을 $-70^{\circ}C$에 보관한 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가용성 IL-2수용체 농도 측정은 Cellfree(r) IL-2R test kit(T-cell sciences Inc., Cambridge, MA, USA)를 이용하였다. 측정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IL-2R 분자의 두가지 항원 결정기(epitope)에 대한 단일 항체를 이용한 샌드위치 ELISA 검사로 측정하였다. 결과 : 1) 늑막삼출액의 sIL-2R 농도는 비결핵성 늑막삼출환자군보다 결핵성 늑막삼출환자군에서 높았다(p<0.005). 2) 늑막삼출액에서 감별진단 기준을 sIL-2R 농도 5,000u/ml로 할 경우 결핵성 늑막삼출환자군을 악성 늑막삼출환자군과 비교시 민감도는 84.6%, 특이도는 99.9%였다. 3) 혈청 sIL-2R 농도는 결핵성 늑막삼출환자군에서 세균성 늑막 삼출환자군보다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p<0.05), 악성 늑막 삼출환자군 및 늑막여출액환자군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4) 결핵성 늑막삼출환자군에서 sIL-2R 농도는 혈청에서보다 늑막삼출액에서 더 높았다(p<0.005). 결론 : 결핵성 늑막삼출에서 늑막삼출액내의 sIL-2R 농도는 감별기준 5,000 u/ml로 사용할 경우 결핵성 늑막삼출과 비결핵성 늑막삼출의 감별진단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 PDF

삼출성 흉막액에서 응고 및 섬유소 용해계에 관한 연구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in Exudative Pleural Effusions)

  • 류정선;이홍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5권6호
    • /
    • pp.1214-1222
    • /
    • 1998
  • 연구배경 :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l(PAI-1) 항원은 섬유소 용해에 관여하는 tissue type plasmingen activator(t-PA)를 억제하여 흉막액에 존재하는 섬유소가 용해되는 것을 억제하며 결국 흉막액의 응고를 촉진하게되며 패혈증 환자의 혈장에서 PAI-1 항원과 관계된 섬유소 용해능의 활성용 업종의 정도와 관계가 알려져 있슴으로 본 연구에서 흉막액내 염증 정도와 흉막액의 섬유소 용해 및 응고농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첫 흉막천자 후 얻어지는 검체와 검사 당일 환자의 혈액 3.8% citrate tube에 모은 후 즉시 2,000 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하였고 상층액을 분리하여 검사할 때까지 영하 $20^{\circ}C$에 보관하였다. 흉막액내 염증을 나타내는 지표로 흉막액의 포도당, LDH, pH, 총 단백질을, 염증세포의 침윤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다형핵 백혈구, 림프구 및 총 백혈구를 측정하였고 혈액의 염증을 나타내는 지표로 호중구, 피브리노겐을 측정하였다. 흉막액의 섬유소 용해 및 응고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D-dimer, PAI-1 항원,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를 측정하였으며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는 30예 이었고 평균 연령은 51.4세 이었다. 흉막액의 원인 질환으로는 결핵성 흉막액 : 14예, 악성 흉막액 : 10예, 부폐렴성 흉막액 : 6예 이었다. D-dimer, PAI-1 항원,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는 흉막액에서 혈장치 보다 의의있게 높았으며 혈장치와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 혈장 PAI-1 항원과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는 원인질환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흉막액의 D-dimer와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는 원인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흉막액 PAI-1 항원은 결핵성 흉막액에서 악성 및 부폐렴성 흉막액 보다 의의있게 높았다. 흉막액 염증의 경중에 따른 D-dimer(p=0.85), PAI-1 항원 (p=0.35) 및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p=0.66)의 차이는 없었다. 흉막액 다형핵 백혈구, 림프구 및 총 백혈구수와 흉막액 트롬빈-항트롬빈 III 복합체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흉막 염증시 PAI-1 항원의 국소적 생성 가능성이 높았으며, 흉막액 염증 정도와 흉막액 D-dimer, PAI-1 항원 및 트롬빈 항트롬빈 III 복합체의 농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흉막 염증시 흉막내로 유입된 염증 세포는 PAI-1 항원과는 무관하게 섬유소 용해 및 응고 과정에 관여한다고 생각된다. 흉막액 D-dimer와 흉막액 PAI-1 항원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아 이는 PAI-1 항원 이외의 다른 요인이 섬유소 용해 및 응고에 관여하고 있음을 암시하여주는 소견으로 생각된다.

  • PDF

원발성 흉막중피종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Study on Mesothelioma of the Pleura)

  • 심태선;김호중;최형석;이혁표;서지영;김영환;심영수;김건열;한용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8권2호
    • /
    • pp.135-142
    • /
    • 1991
  • We reviewed 15 cases of mesothelioma of the pleura, of which three cases were localized benign form and 12 cases were malignant diffuse form. The tumors were distributed equally in both sexes, and occured most commonly in fifth to seventh decades. The history of exposure to asbestos was present in only one case. The chief complaints were mainly chest pain and dyspnea. Associated symptoms were cough, sputum, hemoptysis, weight loss, anorexia, chill. On physical examination, unilateral, decreased breathing sound was main feature. The simple chest radiograph showed masses in all localized mesotheliomas (100%) and in 2 diffuse mesotheliomas (17%). 8 cases of diffuse mesotheliomas (67%) showed unilateral pleural effusions. Pleural effusions were mainly bloody (67%), and almost all were exudates. In all localized mesotheliomas, final diagnosis was made by open thoracotomy. In diffuse mesotheliomas, final diagnosis was made by open thoracotomy in 7 cases, chest wall mass biopsy in 2 cases, thoracoscopic biopsy in 1 case, pleural biopsy in 1 case, and pleural biopsy combined with axillary lymph node biopsy in 1 case. Localized mesotheliomas were treated by simple excision with good prognosis. In diffuse mesotheliomas, surgical treatment (pleuropneumonectomy, pleurectomy), chemotherapy, or radiotherapy, alone or in combination, were used with dismal prognosis. The prognostic factors were not found due to the small number of cases, incomplete follow up, and early drop ou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