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licious bot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1초

DHCP를 이용한 악성 봇 치료 기법 (A Malicious Bot Curing Technique Using DHCP)

  • 김홍윤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11-118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악성 봇 치료 백신을 설치하지 않는 컴퓨터에게 DHCP 서버가 IP 주소를 제한적으로 공급하는 기법을 제안하여, 불편을 느낀 사용자들이 악성 봇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고자 한다. DHCP 서버는 IP 주소를 제한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사용자 컴퓨터에게 백신 설치 확인 요청을 한다. 이 기법은 특정 시스템이나 조직에 종속되지 않아서 효율적인 악성 봇 치료가 가능하다.

DNS 싱크홀 적용을 통한 악성봇 피해방지 기법 및 효과 (Preventing Botnet Damage Technique and It's Effect using Bot DNS Sinkhole)

  • 김영백;이동련;최중섭;염홍열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5권1호
    • /
    • pp.47-55
    • /
    • 2009
  • 악성봇은 해커에 의해 원격 조정되어 명령에 의해 스팸메일 발송, DDoS 공격 등의 악성행위를 수행하는 웜/바이러스 이다. 악성봇은 이전의 웜/바이러스와 달리 금전적인 이득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은 반면 감염사실을 피해자가 인지하기 쉽지 않아 피해가 심각한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해커의 명령을 전달하는 명령/제어 서버의 차단이 필요하다. 이 중 악성봇 DNS 싱크홀 기법이 국내에서 적용하고 있는 봇 대응 시스템으로, 본 논문의 목적은 이 방식의 효과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1년 이상의 장기간 동안 악성봇 및 Botnet 을 관찰하여 Bot 감염 PC의 감염 지속시간, Bot 명령/제어 서버의 특성 등을 파악하고, 악성봇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인 악성봇 DNS 싱크흘의 적용 결과를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웜샘플 분석 툴을 이용하여 자동 분석체계를 구축하였고, 이를 시스템화 하였다. 또한, 분석을 통해 현재 국내에서 적용되고 있는 봇 대응 시스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악성 Bot에 대한 악성코드 분석을 통한 탐지 및 대응방안 (Detection and Prevention Method by Analyzing Malignant Code of Malignant Bot)

  • 김소의;최두리;안병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199-207
    • /
    • 2013
  • 최근의 해킹은 초기의 단순한 호기심에서 이루어졌던 차원을 넘어서서 범죄적인 성향을 많이 띄고 있다. 그 일례로 최근 사용되고 있는 공격 기법인 악성 Bot을 들 수 있다. 악성 Bot은 악성 IRC Bot 중의 하나로 유포자의 명령에 따라 특정 IP 대역을 공격하여 사용자의 정보를 유출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악성 Bot의 한 종류인 shadowbot의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서 접근 방법 및 동작 과정 등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VM ware와 각종 분석 툴을 통해 분석을 진행한다. 둘째, 악성 Bot의 접근 방법과 동작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통한 가설을 세워 그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안한다. 성능평가는 제안한 대응 방안을 직접 적용시켜 실제로 악성 Bot에 감염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시공간 정보를 사용한 개선된 트윗 봇 검출 (Improved Tweet Bot Detection Using Spatio-Temporal Information)

  • 김효상;신원용;김동건;조재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885-2891
    • /
    • 2015
  •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하나인 트위터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 블로그인데, 트위터의 개방적 구조로 인해 자동화 프로그램인 트윗 봇이 많이 생성되고 있다. 이 트윗 봇은 적법한 봇과 악성 봇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 악성 봇은 일반 사용자들에게 많은 양의 스팸 정보나 유해한 컨텐츠를 배포하기 때문에 트윗 봇을 검출하는 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시간적 정보를 활용하여 사람과 트윗 봇을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들의 고 정밀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공간 태그된 트윗 정보를 활용하여 트위터 사용자들의 정확한 위치와 트윗 전송시각을 알아낸 후, 각 사용자의 시공간 엔트로피를 계산하여 트윗 봇을 검출하는 개선된 두 단계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주요 결과로써, 시간 정보만을 이용한 기존 연구결과보다 각 신뢰도별 봇 검출 확률 및 거짓 경보 확률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난다.

모티베이션 이론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 내 부정행위 탐지 (Detecting malicious behaviors in MMORPG by applying motivation theory)

  • 이재혁;강성욱;김휘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9-78
    • /
    • 2015
  • 온라인 게임 산업이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경제적 이득을 목적으로 한 악성 행위가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게임 내 악성 행위 중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게임 봇 탐지를 위한 모티베이션 기반 ERG 이론을 적용한 탐지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에 연구된 행위 기반 탐지 기법들이 특정 행위들을 특성치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면, 본 논문에서는 모티베이션 이론을 적용하여 행위 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제 MMORPG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본 결과, 온라인 게임 내에서도 정상 사용자는 실제 세계와 마찬가지로 모티베이션과 관련된 ERG 이론이 잘 적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에, 게임 봇은 정상 사용자와 다르게 특정 목적을 위한 행동 패턴이 나타나기 때문에 모티베이션 이론을 적용하여 탐지할 경우 정상 사용자와는 다른 행동 패턴을 보이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ERG 이론을 적용한 봇 탐지 방법을 국내 7위의 규모의 게임에 적용하여 봇 제재 리스트와 교차 분석한 결과, 99.74% 의 정확도로 정상 사용자와 봇을 분류할 수 있었다.

봇넷 탐지를 위한 네트워크 세션 분석 (Network Session Analysis For BotNet Detection)

  • 박종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2689-2694
    • /
    • 2012
  • 최근의 사이버 공격은 경쟁사에 대한 DDoS(Distributed Denial of Service)공격과 기밀정보 유출, 일반 사용자들의 금융정보 유출 광고성 스팸메일의 대량 발송 등 불법 행위를 통해 경제적 이득을 취하려는 형태로 바뀌어가고 있다. 그 중심에 있는 봇넷은 봇이라 불리는 감염된 호스트들의 네트워크로서 최근 발생하는 많은 사이버 공격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봇넷은 수많은 변종과 다양한 탐지 회피 기술로 무장하고 전 세계 네트워크 전반에 걸쳐 그 세력을 확장해 가고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봇넷 대응 솔루션은 대부분 시그네처 기반 탐지 방법을 이용하거나, 극히 제한적인 지역의 봇넷를 탐지하고 있어, 총괄적 봇넷 대응에는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봇넷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IRC(Internet Relay Chat) 통신 세션에서 서버와 연결하는 채널과의 관계 분석을 통하여 봇에 감염된 호스트와 연결된 IRC서버 채널을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인터넷 채팅 환경에서 악성 Bot 탐색 시스템 (A System for Detecting Malicious Bot in Internet Relay Chat)

  • 이동훈;하경휘;최진우;우종우;박재우;손기욱;박춘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457-459
    • /
    • 2004
  • 최근 악성코드들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는 악성코드와 해킹기법이 결합된 형태이며 기존의 악성코드들 보다 더욱 공격 성향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악성코드에는 대표적으로 IRC를 이용하는 Bot 계열 악성 코드들이 있으며 해킹과 결합되어 그 피해 또한 스팸성 악성코드들보다 심각하다. 또한 이러한 악성코드들은 다양한 변종이 신속하게 제작 및 유포되고 있어, 백신을 이용한 방어만으로는 적절히 대처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RC를 이용하는 공격성 악성코드들을 분석하고, 이들 악성코드들을 효과적으로 탐색하여 감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악성 Bot 탐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하여 기술한다.

  • PDF

지리적 공간과 장치 정보를 사용한 개선된 트윗 봇 검출 (Improved Tweet Bot Detection Using Geo-Location and Device Information)

  • 이알찬;서고은;신원용;김동건;조재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878-2884
    • /
    • 2015
  •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중 하나인 트위터는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마이크로 블로그인데, 트위터의 개방적 구조로 인해 자동화 프로그램인 트윗 봇이 많이 생성되고 있다. 이 트윗 봇은 적법한 봇과 악성 봇으로 분류되는데, 이 중 악성 봇은 일반 사용자들에게 많은 양의 스팸 정보나 유해한 컨텐츠를 배포하기 때문에 트윗 봇을 검출하는 작업은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시간적 정보를 활용하여 사람과 트윗 봇을 분류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사용자들의 고 정밀 위치 정보를 알려주는 공간 태그된 트윗 정보를 활용하여 트위터 사용자들의 정확한 위치를 알아낸다. 그리고, 각 사용자의 공간 변수에 대한 엔트로피 값 및 사용자의 장치 정보를 사용하여 새로운 봇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주요 결과로써, 시간 정보만을 이용한 기존 연구결과보다 각 신뢰도별 봇 검출 확률 및 거짓 경보 확률이 모두 우수하게 나타난다.

엔트로피를 이용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탐지에 효과적인 특징 생성 방법 연구 (An Effective Feature Generation Method for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Detection using Entropy)

  • 김태훈;서기택;이영훈;임종인;문종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63-73
    • /
    • 2010
  • 최근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의 근원인 악성 봇 프로그램이 널리 유포되고 있으며 보안이 유지되지 않는 PC를 통하여 악성 봇이 설치된 PC의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를 통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이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 금품을 요구하는 사례도 발견되었다. 따라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패킷 헤더의 속성에 대해 불확실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엔트로피를 이용하는,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탐지에 효과적인 특정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DARPA 2000 데이터셋과 직접 실험을 통해 구성한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데이터셋에 대해 향상된 엔트로피 수식과 효율적인 엔트로피 계산 기법, 다양한 엔트로피 특징 값을 사용하는 제안 기법을 적용해보고 베이지안 네트워크 분류기를 이용하여 분류함으로써 제안하는 방법이 효과적인지를 검증해 본다.

형태소 분석을 통한 악성 댓글 필터링 방안 (A Filtering Method of Malicious Comments Through Morpheme Analysis)

  • 하예람;천준석;왕인서;박민욱;우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50-761
    • /
    • 2021
  • 인터넷 기사에 대한 댓글은 토론 및 소통 등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악성 댓글은 사람의 목숨을 앗아가는 정도로 심각한 문제이다. 이런 측면에서 악성 댓글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현재 채택되고 있는 금칙어 바탕의 댓글 필터 방안은, 특히 한글 댓글의 경우 효과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형태소 분석을 통해 비속어 형태소와 존대어 형태소를 구별함으로써 댓글 필터링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들 두 형태소를 바탕으로 댓글 건전도를 계산하고, 또한 건전도를 바탕으로 한 댓글 충격량 계산방법을 여럿 제안한다. 악성 댓글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포털에서 수행되고 있는 클린봇보다 재현율이 37.93% 포인트 개선되었으며 F-지수 값은 47.66 포인트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에 따르면, 형태소 분석을 기초로 한 새로운 필터 방법이 금칙어를 바탕으로 한 방법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