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alic acid

검색결과 746건 처리시간 0.034초

Chiral Pool Synthesis of N-Cbz-cis-(3R,4R)-3-methylamino-4-methylpiperidine from L-Malic acid

  • Hao, Bao-Yu;Liu, Jin-Qiang;Zhang, Wei-Han;Chen, Xin-Zh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4권5호
    • /
    • pp.1371-1377
    • /
    • 2013
  • A new synthetic route to N-Cbz-cis-(3R,4R)-3-methylamino-4-methylpiperidine, key intermediate for CP-690,550, was disclosed with L-malic acid as the chiral pool starting material. The title compound was obtained in 16 steps with a total yield of 26% and more than 98% ee.

Leuconostoc oenos의 생장률에 대한 사과산의 촉진 작용 (Malate Stimulation on Growth Rate of Leuconostoc oenos)

  • 이수오;박무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1-227
    • /
    • 1980
  • 포도당을 포함한 생장 배지속에 L-사과산을 첨가하면 Leuconostoc oenos균들의 생장률을 크게 촉진 시켰다. L-사과산은 동시에 C-젖산탈수소 효소(D-LDH)의 합성과 활성도를 촉진시켜 포도당에서 D-젖산의 생산을 빠르게 하였다. L-사과산 존재 하에서 이렇게 빨라진 포도당의 이용이 leuconostoc 균들의 생장률을 촉진시키는 것 같다.

  • PDF

유기산 첨가가 닭뼈(대퇴골) 스톡(stock)에 용출되는 무기질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rganic Acids on Mineral Extraction from Chicken Thigh Bone Stock)

  • 이승언;남출항구;대곡귀미자;최석현;한재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379-387
    • /
    • 2002
  •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조리 및 영양 생리작용을 가진 유기산을 닭뼈에 이용하여 조리할 때 산의 종류와 조리 시간에 따른 칼슘, 마그네슘, 인의 용출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칼슘, 마그네슘, 인의 용출량은 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고, 끓이는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같은 농도에서는 초산의 첨가군보다 구연산, 사과산의 첨가군이 많이 용출되었다. 2. 단백질과 총 유리아미노산의 용출량도 무기성분의 용출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유기산을 첨가하여 12시간 끓이면 무기성분뿐만 아니라 단백질, 아미노산의 용출량이 증가하는데, 이것은 유기산의 첨가로 인하여 가용화 상태가 된 뼈가 끓임으로써 한층 더 연해져 뼈 중의 성분이 용출되기 쉽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유기화합물 첨가제에 따른 철 기반 양극과 polyoxometalate 음극 기반 수계 레독스 흐름 전지의 성능 관계 (Performance Relationship of Iron-Based Anolyte According to Organic Compound Additives and Polyoxometalate-Based Catholyte in an Aqueous Redox Flow Battery)

  • 이서진;권병완
    • 공업화학
    • /
    • 제35권3호
    • /
    • pp.255-259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음극 활물질로 폴리옥소메탈레이트(polyoxometalate, POM)인 규소텅스텐산(tungstosilic acid, TSA)과 양극 활물질로 염화 철(iron chloride)을 사용하고, 지지 전해질 황산(H2SO4) 수용액을 이용한 수계 레독스 흐름 전지(redox flow battery, RFB)를 구성하였다. 운전 결과에 따르면 용량 저하와 낮은 에너지 효율을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양극 활물질에 유기화합물 첨가제인 말산(malic acid)를 첨가하여, 첨가제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과 셀 충방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말산은 염화 철 수용액에서 킬레이트제로 작용하였으며, 말산내 두 개의 카르복실기가 철 이온과 효과적으로 배위결합을 형성한다. 이는, 양극 활물질인 염화 철의 전해질 저항을 줄어들게 하여 화학적으로 안정화되어 용량과 에너지 효율의 증가를 이끌어냈다.

사과주양조(釀造)에 있어서 Malo-Alcohol발효(醱酵)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 Malo-alcohol 발효균(醱酵菌)의 양조학적(釀造學的) 성질(性質)- (Studies on Malo-Alcoholic Fermentation in Brewing of Apple Wine -I. Zymological Properties of the Malo-alcoholic Yeast-)

  • 정기택;유대식;김재근;김찬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6-243
    • /
    • 1982
  • 사과주내의 과도(過度)한 산(酸)을 malo-alcohol 발효(醱酵)에 의해 감소(減少)시키기 위하여 사과산 분해능(分解能)이 강(强)한 효모(酵母) Schizosaccharomyces japonicus var. japonicus St-3의 이용성(利用性)을 양조학적(釀造學的) 측면(側面)에서 Schizosaccharomyces pombe 0-77과 비교(比較) 검토(檢討)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사과산 분해효모(分解酵母) Schiz. pombe와 Schiz. japonicus var. japonicus 를 첨가(添加)한 구(區)는 발효(醱酵) 13일(日)동안에 약 80%의 사과산을 분해(分解)하는데 반하여 무첨가구(區)는 발효(醱酵) 40일동안에 32%정도의 사과산을 분해(分解)하므로 malo-alcohol 발효효모(醱酵酵母)의 첨가(添加)가 사과산분해(分解)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천연배지(天然培地)에서는 Schiz. pombe 가 우수하였고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는 Schiz. japonicus var. japonicus가 양호(良好)하였다. 사과산 분해효모(分解酵母)에 의(依)한 malo-alcohol 발효(醱酵)에 가장 알맞는 온도(溫度)는 $20{\sim}30^{\circ}C$였으며 $SO_2$는 200 ppm까지 발효(醱酵)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Mg^{2+}$ 또는 특정(特定) 아미노산, 비타민, 유기산 등(等)의 첨가(添加)는 사과산의 분해(分解)를 촉진(促進)시켰다.

  • PDF

말로락틱 발효에 적합한 토착 Lactobacillus plantarum 분리 (Isolation of indigenous Lactobacillus plantarum for malolactic fermentation)

  • 허준;이찬미;박문국;정도연;엄태붕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69-176
    • /
    • 2015
  • 말로락틱 발효(MLF)은 유산균의 말로락틱 효소(Mle)에 의해 malic acid가 lactic acid로 전환되는 과정으로 와인 제조에 널리 사용된다. 전통 발효 식품으로부터 54개의 유산균을 분리한 다음 MLF 특성을 가진 균주를 선발하기 위해 Lactobacillus plantarum mle 유전자 서열의 보존 영역에 대한 primer 쌍을 제작했고, PCR을 통해 이 유전자를 함유한 4 종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들의 16S rRNA 염기서열과 생화학적 특성, rec gene 영역의 PCR을 수행하여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모두 동정되었다. 1,644 bp로 구성된 이들 mle 유전자의 분석 결과 JBE60 균주의 염기 서열은 JBE150, JBE160, JBE171 균주들과 96.7%, 아미노산 서열로는 99.5%가 일치했다. 에탄올 저항성을 확인한 결과 JBE60 균주가 10% 에탄올에 대한 저항성이 가장 높았다. MLF 활성을 확인한 결과 이들 균주는 평균 43%의 malic acid 감소를 보였으며 균주 간 분해율은 비슷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JBE60 균주가 와인용 MLF 종균으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olyethylene Film 두께에 따른 딸기의 MA(Modified Atmosphere) 저장 효과 (Effect of PE Film Thickness on MA (Modified Atmosphere) Storage of Strawberry)

  • 김종국;문광덕;손태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78-84
    • /
    • 1993
  • 딸기의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PE 필름포장에 의한 저장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각 두께의 PE 필름에 딸기를 저온저장하면서 포장내부의 기체조성변화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 그리고 여러 성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포장내 기체조성은 저장 초기에 급격히 변화하여 저장 14일 이후에는 $CO_2$농도 5~10%, $O_2$농도 1~3%를 유지하였다. 딸기의 중량감소율 및 부패율은 필름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적게 나타났으며 pH, 적정산도 및 당도는 저장 전기간을 통하여 약간의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PE 필름의 두께에 의한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과육의 경도는 PE 필름 포장에 의해 감소가 상당히 억제되었으며 과육의 a value 역시 PE 필름 포장에 의하여 감소가 억제되었다. 딸기의 유리당은 glucose 와 fructose가 비슷한 함량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저장중 다소 감소하였으나 필름의 두께에 따른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딸기의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sco-rbic acid, oxalic acid, tartaric acid 및 pyruvic acid의 순으로 그 함량이 많았으며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ascorbic acid는 저장중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oxalic acid와 tartaric acid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은 반면 pyruvic acid는 다소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이러한 유기산의 저장중 변화는 필름이 두꺼울수록 적게 나타났다. 저장을 위한 최적 필름두께는 0.08mm PE 필름으로 나타났다.

  • PDF

혼합배양에 의한 산머루주의 감산발효 최적조건 (Optimal Condition for Deacidification Fermentation of Wild Grape Wine by Mixed Culture)

  • 김성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1권1호
    • /
    • pp.17-23
    • /
    • 2008
  • 본 연구는 산머루를 이용한 과실주의 발효시 원료 등에서 기인한 강한 산미에 의한 과실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것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혼합균주의 접종에 의한 알코올 발효 과정중 다양한 혼합배양 조건으로 감산발효를 시도하였다. 산머루 알코올 발효균주로 사용된 Saccharomyces sp. SMR-3 배양구에 Schizosaccharomyces pombe와 Schizosaccharomyces japonicus를 각각의 감산발효균주로 접종 후 혼합배양 한 결과, 산머루 알코올 발효균주 Saccharomyces sp. SMR-3에 Schizosaccharomyces pombe를 $22^{\circ}C$, 12일간 혼합 배양한 처리구가 알코올 함량 $15.8{\pm}0.2%$로 최대였고, 산도 $0.44{\pm}0.02%$, 총 유기산 함량 $648.96{\pm}7.14mg%$ , malic acid $99.30{\pm}1.24mg%$ 로 가장 낮게 나타나, 알코올 발효균주 단독으로 배양한 처리구 보다 알코올 함량은 2% 이상 높았고, 산도는 51.65%, 총 유기산은 48.02% 및 malic acid는 81.12%의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최적의 감산발효 조건으로 나타났다.

매실의 성숙중 향기 성분과 유기산의 변화 (Change of Flavor Components and Organic Acids during Maturation of Korean Apricot)

  • 손영아;신승렬;김광수
    • 식품산업과 영양
    • /
    • 제7권2호
    • /
    • pp.40-44
    • /
    • 2002
  • 매실의 향기성분은 50여종 중 알콜류가 benzyl alcohol, linalool, 1,6-octadien-3-ol, n-haxanol 등 10종, aldehyde류가 2-hexenal, benzaldehyde, n-hexanal 등 3종, acid류가 butandeionic acid, acetic acid, 2종, 2-iodo-hexane 등 hydrocarbon류가 5종, butanedioic acid-diethyl estet를 포함한 ester류가 3종, B-ionone을 포함한 ketone류가 3종 그리고 기타 성분이 2종이었다. 매실이 성숙함에 따라 향기성분의 수가 증가하고 그 함량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매실의 비휘발성 유기산의 조성은 succinic, fumaric, oxalic, malic, tartaric 및 citric acid이었다. 매실이 비휘발성 유기산은 성숙 초기에는 malic acid와 oxal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Citric acid의 함량이 증가한 반면에 대부분의 유기산은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휘발성 유기산은 성숙중에 formic acid함량은 감소하고 butyric acid의 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총 유기산의 함량은 매실 성숙에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황색종 담배의 시비량 및 토양조건에 따른 비휘발성 유기산 및 지방산 함량변화 (Effect of Fertilizer Rate and Soil condition on Nonvolatile Organic and Higher Fatty Acids of Flue-cured Tobacco.)

  • 정기철;최정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1-158
    • /
    • 1992
  • Fiel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alk position, compound fertilizer application rate (N-P2O5-K2O : 10-10-20 : 75, 100, 125kg/03), paddy and upland soil and varieties, NC82 &KF103, on nonvolatile organic and higher fatty acids of flue-cured tobacco. Followed by stalk position, malic, citric, malonic and succinic acid content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stalk position, but oleic and linoleic acid contents were decreased with higher stalk position. The higher application rate of compound fertilizer results in increasing citric, malic, malonic and succinic acid contents, but the contents of higher fatty acids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ertilizer application rate. The cured leaf cultivated in paddy soil was higher citric and malic acid contents than in upland soil, but the contents of higher fatty acids have no difference between paddy and upland soil. The variety of KF103 was higher citric and linoleic acid contents than that of NC82, but the contents of higher fatty acids have no difference between variet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