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kgeolli fermentation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5초

인삼첨가량에 따른 살균 인삼막걸리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steurized Ginseng Makgeolli Add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 of Ginseng Powder)

  • 민진영;김나영;김업식;한명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57-765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ing mash and pasteurized ginseng Makgeolli add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ginseng powder. Total aerob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counts of mash added with 0, 1, 2, and 4% ginseng powder during 4 days of ferment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yeast count decreased. Viable cell count remarkably decreased after pasteurization. Pasteurized 4% ginseng Makgeolli (4.30) showed a higher pH than 0, 1, and 2 % ginseng Makgeolli (4.09, 4.08, and 4.06, respectively) after 15 days of aging. After aging, amylase activity of pasteurized Makgeolli decreased, and 0% and 1% ginseng Makgeolli (22.35, $21.55^{\circ}Brix$) showed higher Brix content than 4% ginseng Makgeolli ($20.15^{\circ}Brix$). Before aging, alcohol contents of 0, 1, 2, and 4% pasteurized ginseng Makgeolli were 5.80, 5.50, 5.20, and 5.10%, respectively. After 15 days of aging, 0% ginseng Makgeolli (7.00) showed higher alcohol content than 1, 2, and 4% ginseng Makgeolli (5.90, 5.80, and 5.60%,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show that 2% ginseng Makgeolli after 3 days of aging at $4^{\circ}C$ had the highest scores for taste (5.19), flavor (5.04), and overall acceptability (5.22) among the samples.

오디를 첨가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Mulberry during Fermentation)

  • 김은경;장윤혁;고재윤;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0호
    • /
    • pp.1682-168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오디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발효 7일째의 알코올 함량은 오디 막걸리(17.1%)와 대조군(17.0%)간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pH는 발효 1일째 급격히 감소한 후 완만한 증가를 보이며 발효 7일째 각각 4.48 및 4.51로 유사하게 나타났다. 총산은 두 시료 모두 발효 1일째에 급격히 증가하고, 그 이후 완만히 증가하였다. 총 균수, 효모 수, 유산균 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오디막걸리의 발효 7일째 총 균수, 효모 수, 유산균 수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L, a, b)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군과 오디 막걸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 중 glucose는 모든 막걸리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발효가 진행하면서 감소하였다. 유기산 함량은 succinic acid가 오디 막걸리와 대조군 모두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발효가 진행되면서 증가하였다. 오디막걸리와 대조군에서 검출된 47종의 휘발성 화합물 중 가장 많이 동정된 성분은 3-methyl-1-butanol이었다.

쌀의 품종, 쌀의 도정도, 누룩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The Qualities of Makgeolli (Korean Rice Wine) Made with Different Rice Cultivars, Milling Degrees of Rice, and Nuruks)

  • 이윤지;이해창;황금택;김동호;김현정;정창민;최윤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2호
    • /
    • pp.1785-179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전분원료의 종류, 쌀의 도정도, 누룩의 종류를 달리하여 담근 막걸리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밀가루는 쌀보다 조지방과 조단백 함량이 높았으며 수분함량은 낮았고, pH 및 총산함량은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기산은 각각 lactic acid와 succinic acid였으며, 총 유기산 함량은 각각 4.0~5.6 mg/mL와 3.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기산 함량이 더 많았다.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주된 유리당은 glucose였으며, 쌀과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총 유리당 함량은 각각 76.41~54.53 mg/mL와 67.75 mg/mL로 쌀로 담근 막걸리의 유리당 함량이 더 많았다. 색도는 쌀 품종별로는 차이가 없었으며,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의 b 값은 양의 값으로 황색이 진했다. 관능평가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담근 막걸리보다 기호도 점수가 더 높았다. 쌀의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분, 조지방, 조단백질, acetic acid의 함량은 감소하나, pH, 총산, 유리당, 색도에 있어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쌀의 도정도는 과실향을 제외한 기호도 점수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전통누룩과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pH는 각각 4.29~4.65와 4.20~4.23으로 전통누룩으로 만든 막걸리의 pH가 더 높았으며, 총 유기산 함량도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3.5~6.3 mg/mL)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2.3~4.3 mg/mL)보다 높았다. 총 유리당 함량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9.44~73.34 mg/mL)가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56.45~59.75 mg/mL)보다 많았다. 색도는 전통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보다 L, a, b 값이 높았으며, 관능적 기호도 점수는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가 더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쌀로 담근 막걸리가 밀가루로 만든 막걸리에 비해 품질이 우수한 것으로 보이나, 쌀의 품종에 의한 품질 차이는 없었다. 쌀의 도정도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은 향미의 관능적 특성 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도정을 많이 할수록 막걸리의 향미가 좋아졌다. 누룩 종류에 따른 막걸리의 품질 특성 분석 결과, 전통 누룩에 비해 개량누룩으로 담근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이 더 좋았다. 위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도정도가 높은 쌀을 전분질 원료로 하고 개량누룩을 사용하여 막걸리를 담근다면 품질이 우수한 막걸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이다.

Microbial Diversity of Commercial Makgeolli and Its Influence on the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Rice Sourdough, Jeung-Pyun

  • Park, Jaehyung;Seo, Ji Sun;Kim, Seul-Ah;Shin, So-Yeon;Park, Jong-Hyun;Han, Nam 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0호
    • /
    • pp.1736-1743
    • /
    • 2017
  • Sourdough is made by fermentation of dough by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yeast to improve bread properties like volume, flavor, and texture. A Korean traditional sourdough was made by fermenting rice flour with rice wine (makgeolli) and used to make sponge-like bread (jeung-pyu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icrobial diversity of makgeolli products and their influence on the organoleptic quality of jeung-pyun. Three commercial makgeolli were tested for jeung-pyun production, with each product exhibiting varied dough swelling rates and organoleptic qualities, and among them, J-product was ranked highest in texture and taste. Microbial analysis of the three makgeolli also showed a big difference in their population and diversity. J-product had the highest LAB and yeast counts, and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brevis, Leuconostoc pseudomenteroide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Using J-product, sourdough was fermented at $25^{\circ}C$, $30^{\circ}C$, and $35^{\circ}C$, and the microbial growth in and textural properties of jeung-pyun were examined by instrumental and sensory tests. At high temperature ($35^{\circ}C$), the rates of dough swelling and acidification were fast due to rapid microbial growth mainly caused by LAB, resulting in a short leavening time and soft and sour jeung-pyun. Sensory tests showed consumer preference for the soft and mild-sour jeung-pyun. This study shows that LAB in makgeolli play key roles in production of jeung-pyun, influencing the textural and sensory properties. For the production of high-quality jeung-pyun, development of LAB starters with high gas productivity and low acidity and establishment of an optimal fermentation procedure for rice dough are necessary.

감 착즙액 첨가량과 가수량에 따른 감막걸리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Makgeolli Based On The Amount Of Water And Persimmon Juice Added)

  • 권예슬;서예진;강주연;최현진;최한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5권4호
    • /
    • pp.158-164
    • /
    • 2024
  • With the steady growth in the scale of the domestic traditional liquor industry, the interest in makgeolli has also been increasing. As the demand for makgeolli increases, interest in manufacturing differentiated makgeolli by adding additional raw materials such as fruits is increasing. In this study, makgeolli with low storage persimmon juice was manufactured, and the sweet taste of persimmon was imparted without adding sweeteners. Unsweetened, high-quality persimmon makgeolli with an alcohol content of 15% or more was manufactured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Yeast was selected after producing fermented yeast by treating domestic isolated yeast and commercial yeast. Upon producing fermented yeast, persimmon makgeolli was manufactured by varying the amount of persimmon juice added to the fermented yea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makgeolli, the pH was 4.02-4.25, the total acid (citric acid, %) was 0.30-0.43, the amino acidity (glycine, %) range was 0.05-0.15, and the alcohol content (%) was 15.64-18.48.(p<0.05). Reducing sugar (%) was 1.82-12.68 and total sugar (%) was 1.41-10.42, exhibiting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amount of reducing sugar and total sugar and the amount of juice added increased (p<0.05). Considering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 sample with 50% persimmon juice added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residual sugar content, and the residual sugar cont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Therefore, 50% persimmon juice was added when making persimmon makgeolli. It is suitable for high-quality, non-sweetened persimmon makgeolli that preserves the taste of persimmon, which suits the consumers'taste.

발효 과일식초의 대사체 분석 및 향기 특성 (Metabolome Analysis and Aroma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Fruit Vinegar)

  • 최찬영;박은희;류수진;신우창;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16-424
    • /
    • 2018
  • 강원도에서 생산된 과일을 사용하여 식초를 제조하여, 초산 발효에 의하여 변화되는 주요 대사체 및 향기 성분을 조사하였다. 머루 복분자 식초에서는 초산 발효에 의하여 ${\text\tiny{L}}$-alanine의 함량 변화가 가장 크게 변화하였으며, 초산은 향기 성분 전체 함량 중 43%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초산 발효 후 ethyl acetate, isoamyl acetate 등의 에스테르 화합물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오미자 막걸리 식초의 경우 초산발효에 의하여 linalool, hexanoic acid 등이 생성되었고 테르펜류 화합물이 41.5%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머루 복분자 식초의 경우와 유사하게 ${\text\tiny{L}}$-alanine의 함량 변화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머루 복분자 식초에서는 ethyl acetate, 오미자 막걸리 식초에서는 감귤향을 내는 terpinel-4-ol, 꽃향기를 내는 ${\alpha}$-terpineol 등 테르펜류의 성분들이 각 식초의 향기 특성에 큰 영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식 쌀가루를 이용한 막편의 품질특성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pyeon Prepared with Dry Milled Rice Powder)

  • 조윤주;윤혜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35-24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pyeon prepared with dry milled rice powder. The makpyeon samples prepared with dry milled rice powder and various amount makgeolli (0% (CON), 25% (M25), 50% (M50), 75% (M75), 100% (M100)), and analyzed for moisture content, pH, Hunter's color value, TPA and sensory evaluation. The moisture content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makpyeon samples. The L-value, a-value resulted in that CON showed the highest and decreased with the amount of makgeolli. The b-value of makpyeon samples showed that CON was the lowest and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makgeolli. TPA resulted in that M100 showed the highest hardness and the lowest adhesive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gumminess of makpyeon samp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 Based on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the score of brightness, moistness, particle size and gloss of showed higher in CON that in makpyeon samples, firmness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makgeolli. Flavor attributes of liquor odor, sour odor, fermentation odor of makpyeon was stronger in makpyeon samples that in CON with the amount of makgeolli. Acceptance test resulted in makpyeon made with CON, 100% of makgeolli (M100) showed the significantly highest score in taste and overall acceptance.

Exopolysaccharide Produced by Pediococcus acidilactici M76 Isolated from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 Song, Young-Ran;Jeong, Do-Youn;Cha, Youn-Soo;Baik, Sa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5호
    • /
    • pp.681-688
    • /
    • 2013
  • This work is aimed to increase knowledge of the functional exopolysaccharide (EPS) from lactic acid bacteria (LAB) in makgeolli, a Korean fermented rice wine. Among LAB strains isolated from makgeolli, strain M76 was selected as a functional strain producing a bioactive EPS, based on its antioxidative activity on the DPPH radical. The 16S rRNA gene sequencing analysis showed a high sequence similarity (99.0%) with P. acidilactici, but had different biochemical properties with the already known P. acidilactici type strains in the aspect of carbohydrates utilization. The obtained P. acidilactici M76 produced a soluble EPS above 2 g/l. One-step chromatography using gel filtration after ethanol precipitation from the supernatant of P. acidilactici M76 was enough to obtain purified EPS with a single peak, showing a molecular mass of approximately 67 kDa. Componential and structural analyses of EPS by TLC, HPLC, and FT-IR indicated that the EPS is a glucan, consisting of glucose units. The purified EPS had antioxidant activity on the DPPH radical of 45.8% at a concentration of 1 mg/ml. The purified EPS also showed proliferative effect on the pancreatic RIN-m5F cell line and remarkable protection activity on alloxan-induced cytotoxicity. This potent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PS by LAB in makgeolli ma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functionality of makgeolli.

Rhizopus oryzae CCS01로 제조된 쌀누룩을 이용한 곡류 막걸리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ereal Makgeolli Rice Nuruk Prepared Rhizopus oryzae CCS01)

  • 조현국;서원택;이주영;조계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1002-100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시판누룩에서 분리한 Rhizopus oryzae CCS01로 쌀누룩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곡류 막걸리 제조하였다. R. oryzae CCS01로 제조한 쌀누룩은 시판누룩보다 탄수화물 함량은 높았으나, 수분 및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함량은 낮았고 당화력은 약 2.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R. oryzae CCS01로 제조된 쌀누룩으로 제조한 막걸리는 pH와 알코올 함량은 시판누룩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당도 및 산도, 젖산균수, 효모균수, 갈변도는 낮게 나타났다. 특히 쌀누룩으로 제조한 찹쌀(GUR) 막걸리의 경우 다른 막걸리들 보다 알코올 함량이 가장 높았다. 이 결과로 R. oryzae CCS01로 제조된 쌀누룩을 이용하여 새로운 곡류 막걸리 제조가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로니아를 첨가한 막걸리의 발효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Containing Aronia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 박미정;김형국;최경근;구본열;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7-35
    • /
    • 2016
  • 아로니아 첨가량을 0.3, 0.8, 1.3 및 1.9%로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pH는 발효과정 중 모든 실험군에서 감소하여 발효 6일에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 pH는 3.49-3.74였다. 당도는 담금 직후에는 $1.31-2.75^{\circ}Bx$로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아로니아 첨가율이 증가할수록 높았다. 발효 2일째 7.96-8.53으로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그 이후부터 최종 발효일까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산도는 담금 직후 발효 6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 비해서 아로니아를 첨가함에 따라 산도가 증가되었고 최종발효 14일에는 0.50-0.62%로 나타났다. 알코올 함량은 최종 발효 14일까지 완만히 증가하였고, 11.97-14.13의 분포를 나타내었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아로니아 첨가군에서 알코올 함량이 높았다. 아미노산은 막걸리를 담금 직후에는 1.57-2.22%에서 최종발효 14일에는 5.86-6.92%로 나타났으며 아로니아 1.9%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환원당은 발효 2일째까지 증가하다가 4일 후부터 감소되었으며, 최종발효시점에 1.67-1.97%로 나타내었다. 총균수와 효모수는 모든 시험구가 발효 4일째 최대값을 나타내었고 이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담금 직후부터 최종 발효시까지 증가하였으며, 아로니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평가결과에서 색은 아로니아 1.9% 첨가군에서, 단맛은 아로니아 1.3% 첨가군에서, 신맛과 쓴맛은 아로니아 1.9% 첨가군에서 높게 나왔으며. 목넘김(목에 넘어가는 느낌)과 종합적 기호도가 아로니아 1.3% 첨가군에서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고, 아로니아 막걸리의 개발 상품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