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ntenance Factor

검색결과 1,105건 처리시간 0.029초

벼 깨씨무늬병 발병정도에 따른 논토양, 벼알 및 볏짚에서의 무기성분 비교 (Comparisons of Inorganic Amounts in Paddy Field Soil, Rice Straw and Grain with Severity of Brown Spot Caused by Cochliobolus miyabeanus)

  • 예완해;박양호;김이열;탁정순;남영주;심홍식;김용기;연병렬
    • 식물병연구
    • /
    • 제15권1호
    • /
    • pp.41-45
    • /
    • 2009
  • 벼 깨씨무늬병 발병정도가 토양의 무기성분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구명하기 위하여 깨씨무늬병 발생이 많은 포장과 적은 포장의 식물체와 토양의 무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깨씨무늬병이 많이 발생한 포장 토양은 적게 발생한 포장의 토양에 비하여 유효인산, 치환성칼륨, 칼슘, 마그네슘, 유효규산의 함량이 현저히 낮았다. 그러나 나트륨의 함량은 높았으며, pH 값이나 유기물함량은 거의 유사한 수준이었다. 병발생이 많은 포장의 볏짚은 적은 포장의 볏짚에 비하여 Fe, Cu, T-N 및 $P_{2}O_{5}$의 함량이 낮았다. 병 발생이 많은 포장의 벼알은 경미한 포장의 벼알에 비하여 Fe, MgO, Zn및 Mn의 함량이 적었다. 논유 형별 발병정도는 사질답, 염해답 순으로 발병이 많았으며, 미숙답이 가장 발병이 적었으며, 보통답과 배수불량 답은 중간수준이였다. 질소시비수준별 발병정도는 무질소구가 가장 발병이 심하였고, 토양검정량 1.5배량과 농가 관행구에서는 병발생이 유의한 수준으로 적었으며, 토양 검정량의 0.5배, 토양검정량의 1.0배, 표준시비량처리가 중간수준으로 병이 발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하면 사질답등 작토층이 얕고 척박한 토양에서는 질소, 인산, 가리, 철 등 무기성분이 부족되지 않도록 균형시비하고 간척지답 등에서는 염분의 농도가 증가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깨씨무늬병을 가장 효율적으로 방제할 수 있는 방안이라 사료되었다.

SIVCP용 BLE 모듈의 배터리 수명시험 (Lifetime test of batteries for BLE modules for site identification of vessel's crews and passengers (SIVCP))

  • 권혁주;김민권;김윤식;이성근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7호
    • /
    • pp.754-759
    • /
    • 2015
  • 오늘날 선박 내 승선자의 위치인식과, 이를 모니터링을 하는 데 저 전력 근거리 통신시스템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저 전력 근거리 통신을 위해서 BLE, Zigbee 등과 같은 저 전력 통신 모듈이 이용되고 있다. 저 전력 통신 모듈은 1:N 통신이 가능하고, 휴대폰, 인체 등의 이동 물체에 탑재할 수 있어 각광을 받고 있다. 저 전력 통신모듈을 사용하는 데 있어서, 배터리의 용량이나 크기가 각각 시스템의 작동시간이나 통신모듈의 디자인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모듈은 가급적 작게 만들어져야 하고, 배터리는 모듈의 크기보다 더 작게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논문에서는 전송률 1/250 조건에서 데이터 시트와 방전특성 그래프를 참조하여 SIVCP용 BLE 모듈에 사용되고 있는 배터리의 이론 수명을 산출하고, 위와 동일한 전송률과 1/5000 전송률의 조건에서 각각 송전전류와 저속모드 전류를 검출하여 실험수명을 산출하며, 전송률을 1/25로 하여 수일 동안 고속 방전 장기 실험수명을 측정한다. 이와 같은 실험을 통하여, 배터리의 수명예측과 수명연장 방법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선박의 용도와 승객의 유형에 따른 적절한 배터리 선정에 활용하고자 한다. 모듈의 전송률과 배터리 크기 선정은 모듈의 설계비용의 감소, 배터리 유지관리 및 승객의 편의 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종합병원 근무 여성의 요통에 대한 요인 분석 (An Epidemiologic Study of Low Back Pain of Women Working at a General Hospital)

  • 박동구;안면환;안종철;김세동;서재성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4권2호
    • /
    • pp.186-196
    • /
    • 2007
  • 1991년 2월부터 8월까지 7개월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에 근무하는 여성 471명을 대상으로 요통 발생에 대한 역학적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배선원과 조리사 및 교환수에서 요통의 발생빈도가 타 직종에 비해 높았다. 2. 요통의 발생 빈도는 정신 신체 증상의 발현빈도에 주로 관계하였고 부분적으로는 미는 형태의 작업에 관계하였다. 3. 요통에 의한 근무의 지장정도는 드는 형태의 작업 혹은 육체적 노동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정신 신체증상의 발현빈도 및 근무에 대한 불만의 정도와 관계가 있었다. 4. 사소한 요부 손상 혹은 불안정성은 주로 걷는 작업이 긴 형태 혹은 육체적 노동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고, 사무적인 작업에서는 감소하였다. 또한 높은 연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부분적으로는 정신 신체증상의 발현빈도와 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설문지 조사를 통한 역학적 조사를 시행한 결과 요통의 발생 및 이로 인한 장애는 정신 신체적인 요소와 작업의 형태가 관계하여, 이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작업에 대한 인간공학적인 연구 등을 통한 보다 합리적인 접근법이 요구되고 정신적인 인자에 대한 보다 다각적인 접근이 요구되었다. 또한 요부손상은 연령 등의 생리적 요소가 관계하며 이에 대한 보다 합리적인 대처가 요구 되었다.

  • PDF

Prognostic Significance of Desmoglein 2 and Desmoglein 3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 Fang, Wang-Kai;Gu, Wei;Liao, Lian-Di;Chen, Bo;Wu, Zhi-Yong;Wu, Jian-Yi;Shen, Jian;Xu, Li-Yan;Li, En-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871-876
    • /
    • 2014
  • Objective: Desmogleins (DSGs) are major members among the desmosomal cadherins critically involved in cell-cell adhesion and the maintenance of normal tissue architecture in epithelia. Reports exploring links of DSG family member expression with cancers are few and var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atio of DSG2 and DSG3 mRNA expression in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tissue to normal tissue (T/N ratio) and evaluate correlations with clinical parameters. Methods: The mRNA expression of DSGs, as well as ${\gamma}$-catenin and desmoplakin, was detected by real-time quantitative RT-PCR in 85 cases of ESCC tissue specimens. Results: The expression level of DSG3 mRN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SG2 in ESCC specimens (p=0.000). DSG3 mRNA expression highly correlated with histological grade (p=0.009), whereas that of DSG2 did not significantly relate to any clinicopathologic parameter.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showed that only DSG3 expression had an impact on the survival curve, with negative DSG3 expression indicating worse survival (p=0.038).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demonstrated DSG3 to be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survival. Furthermore, correlation analysis demonstrated the mRNA level of DSG3 to highly correlate with those of ${\gamma}$-catenin and desmoplakin in ESCC samples (p=0.000), implying that the expression of desmosomal components might be regulated by the same upstream regulatory molecules. Conclusions: Our findings suggest that DSG3 may be involved in the progression of ESCC and serve as a prognostic marker, while expression of DSG2 cannot be used as a predictor of ESCC patient outcome.

노인운동의 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Process of Change Corresponding to the Stage of Change of Exercise in Elderly)

  • 전영자;김소인;이평숙;김순용;이숙자;박은숙;장성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54-365
    • /
    • 2000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hange exercise behave. This study will also classify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xcercise stages to which the elderly belong Also, to identify the processes of change which influence on the changes in exercise performed by the elderly. Methods: Convenient samples of 198 subjects over the age 60 in Seoul Korea(mean age=70) were selected from elderly communities and were all mentally conpetant older adul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1999 to May 30, 1999. The research instruments were measured the change in exercise (Marcus et al., 1992b), such as Stage of Change measure(Marcus et al,1992a).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Results: 1. According to the measure of change without missing data, 191 subjects were distributed each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50 subjects (26.1%), 7 subjects (3.6%), 52 subjects (27.2%), 4 subjects (2%), and 78 (40.8%) belonged to the precontemplation stage, the contemplation stage, the preparation stage, the action stage and the maintenace stage. 2.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6 factors of change were identified as appropriate processes of change and were named by the researchers. The names were; 'Supportive helping relationship', 'Self cognitive determination', 'Environmental reinforcement', Consciousness raising', Reinforcement of negative condition and 'Conversion of negative condition'. 3.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the 'Supportive helping relationship(F=22.04, p=.0001)', 'Self cognitive determination (F=50.87, p=.0001)', 'Reinforcement of negative condition(F=7.84,p=.0006)'. 4. Through the discrimina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Self cognitive determination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as one of the processes of change which can discrimiate the three stages of change (precontemplation, preparation, and maintenance). Also the next significant variable was Reinforcement of negative condition. Conclusion: The process of the dey change is one of concepts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known as strategies and the techniques people use as they go through the different stages of change. Even though this study is cross- sectional not longitudinal study, the finding of this study gives useful information for exercise intervention, by using this strategy of exercise for elderly in different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 PDF

하악골 후방이동 수술후 기도 공간과 두개 및 경추 각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AIRWAY SPACE AND CRANIAL, CERVICAL ANGULATION AFTER MANDIBULAR SETBACK OPERATION)

  • 장현호;김재승;이충국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6권2호
    • /
    • pp.115-131
    • /
    • 2000
  • In the study of craniofacial deformity, it is very important that identifying the factor which can affect the morphology and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morphology, because it can not only improve the comprehension of growth and developmental process but also be applied in growth prediction and treatment modality. Several investigators have already mentioned the characterstics of head posture and airway space in relations to morphologic difference. But it is very meaningful work in clar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morphology, head posture and airway space that observing the change of head posture after morplologic change caused by operation and the change of airway space after same procedure. To investigate above correlation, I selected normal group which is consisted of 43 adults and mandibular prognathism group which is consisted of 47 adults who had been operated by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and were followed up more than 1 year. With their lateral skull radiograghs, reference lines which can evaluate each measuring points and areas without effect of postural change were first determined. And using above reference lines, change of airway space, positional change of tongue and hyoid, change of cranial and cervical angulations were measur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change of head posture, the position of tongue and hyoid neighboring to pharynx is more closely related to the reference line of cervical column than to reference line of cranium. 2. After mandibular setback operation, the airway dimension was decreased to 81.6% of preoperative state at 1 month postoperatively and was slightly increased to 89.7% at 1 year postoperatively. 3. Posterior movement of tongue plays important role in decrease of airway dimension and inferior movement of hyoid was closely correlated with posterior movement of tongue. 4. Postoperative anterior movement of mandible, namely, morphologic relapse had correlation with relapse phenomenon of airway dimension. 5. Craniocervical angulation increased postoperatively. Especially in the postoperative early state, there was increased foreward inclination of cervical angulation rather than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But at postoperative 1 year it was observed that cervical inclination was returned to preoperative state and cranial angulation was increased gradually. 6. Increase rate of airway dimension was correlated with the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from postoperative 1 month to 1 year. In conclusion, relapse tendency of airway dimension following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was found after mandibular setback operation and it is considered that increase of cranial angulation is one of compensatory mechanism in airway maintenance.

  • PDF

초고층 건축물 거주환경성능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Index of Dwelling Environment Performance at Skyscraper)

  • 박현구;양승희;고성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79-89
    • /
    • 2009
  • 과밀 도심의 주거공간 확보 해결책으로 2000년 초부터 도심지내 토지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초고층 건축물의 건설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새로운 주거유형의 하나로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도심 주거시설로써 초고층 건축물의 필요성은 과밀화 현상의 해결 효과와 함께 도시의 상징을 표현하는 랜드마크로서의 의미가 높다. 그러나 무분별한 초고층 건축물의 시공은 거주자의 생활환경을 보장해주지 못하며, 설계, 시설기준 등이 명확하게 규정되지 않는 한 위험요소를 항상 내포하고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이제 초고층 건축물은 단순한 이미지와 상징성을 떠나 미래의 주거공간을 구성하는 도시의 새로운 대안으로서 도시와 건축의 유기적인 상호관계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건축물의 거주환경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AHP 분석을 통해 각 영역/범주별 평가항목 및 평가지표를 정립하고, 향후 초고층 건축물 계획시 거주환경성능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세계유산 등재대상 함양 남계서원의 경관보존관리방안 (Measures to Implements the Landscap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n the Seowon Hamyang Namgye inscribed on the World Heritage List)

  • 최종희;문영숙;김동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8-135
    • /
    • 2013
  • 본 연구는 세계유산 등재대상 함양 남계서원의 유산 가치를 구명하기 위해 문화적 맥락을 고려한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경관보존 및 관리방안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서원 일원의 보호구역 설정은 남계서원의 입지특성과 배향인물과 관련된 장소, 풍영루를 중심으로 가시권 분석, 현 문화재 보호구역 및 현상변경영향검토구역 및 토지이용 현황 등을 고려하였다. 특히 서원의 조망경관은 원경인 백암산과 더불어 대봉산의 천황봉이 가시되며, 근경의 대규모 방음벽과 송전탑 등이 조망경관의 저해 요소로 작용함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서원의 원형경관회복을 위해서는 세계유산의 진정성, 완전성 등의 가치를 충족시키기 위한 보존관리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진정성(authenticity)과 완전성(integrity)을 적용한 서원의 식재 실태 (The Planting of a Seowon(書院) Made to the Authenticity and Integrity Status)

  • 이원호;이소현;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1-42
    • /
    • 2013
  • 본 논문은 최근 세계문화유산 등재 추진 중에 있는 서원의 조경 공간 및 그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을 도출한 후 새롭게 도입된 수목에 대한 실태와 유형변화를 규명하고, 등재에 있어서 중요가치인 진정성과 완전성 측면으로 조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각종 고문헌에서 나타난 수목으로는 복사나무, 매실나무, 버드나무 등 10종이었다. 공간별 식재현황으로는 수종에 따라 어느 정도의 규칙성을 보였는데, 향나무, 배롱나무, 대나무(오죽) 등 3종류는 주로 서원의 본질적 공간(경내)에 위치하고, 느티나무, 버드나무는 주로 서비스 공간(경외)에 위치했다. 공간 구분 없이 위치하는 수종으로는 향나무, 은행나무 등 5종류로 이 수종은 전국 서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서원의 대표적 수목이라고 할 수 있다. 유한한 생장력을 가진 식물은 서원의 역사를 증명하는 요소이며, 배향인물(配享人物)이 선호했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부여되므로 진정성 측면에 부합한다. 수년간에 걸쳐 수행된 정비사업은 원형을 훼손시켰으며, 철저한 고증을 거치지 않고 무분별하게 식재된 수목으로 인하여 본질적 공간의 존재감을 약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본래 가지고 있던 기능이 변화된 현재의 시점을 반영한 사적의 본 모습을 갖추어 나가 다양한 장소의 역사성을 잘 드러낼 수 있도록 보존해야 할 것이다. 이는 식물을 대상으로 한정된 것으로 향후 건축물 등 공간적 차원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 총체적인 공간구성에 대하여 본질적 가치를 판단하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BCF1 생쥐 배반포기 유래 배아간세포 작성에 관한 연구 (Maintenance and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ial Embryonic Cell Lines from Mouse Blastocysts)

  • 이재원;이훈택;정길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35-244
    • /
    • 1995
  • 생쥐 배반포기 내부세포괴를 체외에서 분리 배양하여 분화가 억제된 내부세포괴 유래 증식세포를 미분화 상태에서 무한히 증식할 수 있는 전능성을 지닌 배아간세포(embryonic stem cell : ES cell)로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BCF1 생쥐 배반포를 10% FCS, 0.1mM nonessential amino acid, 0.1mM sodium pyruvate, 0.1mM 2-mercaptoethanol과 1,000U/ml LIF(세포분확억제인자)가 첨가된 DMEM 기초배양액에 mitomycin-C를 처리한 STO 단층배양세포에서 배양하여 분화가 억제된 내부세포괴 유래의 배아간세포를 분리하였다. 배반포를 STO 단층배양세포에서 4일간 배양하여 내부세포괴세포를 신선한 STO 단층배양세포에서 약 5일 간격으로 반복하여 계대배양을 실시하였다. 5차 계대배양후 뚜렷한 분화 양상없이 배양된 미분화 세포군에 대한 alkaline phosphatase (AP)염색과 체외분화능 검색을 실시한 결과 적색의 미분화 AP 양성반응이 확인되었으며 체외에서 배분화 형성이 유도됨에 따라 배양된 배아간세포주의 다능성 배아간세포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