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illard browning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33초

자외선 조사가 아선약 염색 직물의 색상 및 역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V Irradiation on the Col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atechu Dyed Fabrics)

  • 남기연;이정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009-1023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variations of catechu dyed fabrics under UV irradiation. Catechu dyed cotton and silk fabrics mordanted with Fe and Cu were irradiated with UV under dry and wet conditions, and then were evaluated on color chang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wing to UV irradiation, the K/S values of catechu dyed cotton fabrics increased until a certain amount of time but those of catechu-dyed silk fabrics increased continuously. Cu mordanting cotton fabrics showed the smallest changes due to the UV treatment, and silk fabrics mordanted with Fe showed the largest changes. Wetted fabrics were accelerated maillard browning by UV. Un-mordanted cotton fabrics treated with UV under dry conditions changed its YR color to Y, but changed its Y color to YR under wet conditions. However, mordanted cotton fabrics treated with UV didn't change their color. Dyed silk fabrics except those Fe mordanted and in wet conditions continued to keep their color after UV irradiation. Silk fabric mordanted with Fe under wet conditions changed its Y color to YR by UV irradiation. UV irradiation didn't affec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catechu-dyed cotton and silk fabrics in any significant way.

Melanoidin의 항산화성 및 항돌연변이원성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Characteristics of Melanoidin Related Products)

  • 최홍식;이창용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6-252
    • /
    • 1993
  • Melanoidins, as brown colored polymers, are formed through the diversified reaction systems of Maillard type and other reactions. Melanoidins are important components in relation to food quality and also are known to have antioxidative, mutagenic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Since these aspects have been extensively reviwed elsewhere, only the recent studies regarding to their antioxidative and antimutagenic activities are discussed in this review. Even though their mechanisms are not clearly identified, melanoidins or specific fractions isolated from their mixtures have shown varied antioxidative activities depending on the reaction systems and reaction conditions. Those activities presumely are derived from the complex functional properties of hydrogen / electron donors and metal chelating power,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ir reductone structure and others. It is considered that pyrolysate and other mutagens are formed by the given conditions in some cases during browning reaction, whereas melanoidins and their fractions have antimutagenic effects on chemical and other mutagens.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hip among the color intensity, antioxidative activity and antimutagenicity of melanoidins or their fractions. These suggest that the antimutagenicity of melanoidins could be attributed to their antioxidative properties, however, it might also be due to other factors, because the relevant responses for antimutagenicity are very complicate and not clear. Accordingly,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actual acitivities and mechanisms involved in antioxidation and (anti)mutagenicity of melanoidins by reaction systems / conditions and by the isolated fractions. And also,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evaluate the applications of melanoidins and their relevant effects to food and human health.

  • PDF

잣송이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igh-Sugar Fermented Pinus koraiensis Cone Extract)

  • 장기효;서정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40-1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식품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조된 잣송이 추출물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였다. 잣송이 추출물은 수분과 탄수화물이 구성성분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특히 대조군으로 사용된 매실 추출물보다 수분함량은 낮고 당 함량은 높아 유의적으로 높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갈색도와 색도는 모두 낮아 매실 추출물과 비교해 숙성 중 Maillard 갈변 반응의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았음을 시사해주었다. 잣송이 추출물은 매실 추출물보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의적으로 다르지 않았으나 유기산 함량과 갈변도는 1/10 수준으로 유의적으로 낮았고, 총환원력은 매실 추출물의 60% 수준으로 측정되었다. 그런데도 잣송이 추출물에서 매실 추출물과 유사한 높은 금속 소거능과 라디칼 소거 활성이 관찰되었다. 또한, 잣송이 추출물 속 플라보노이드 총량보다도 많은 양인 6.6 mM quercetin과 비교할 때 2배나 높은 SOD 유사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잣송이 추출물에 quercetin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플라보노이드가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주며, 플라보노이드 조성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해주었다. 본 연구는 잣송이 추출물이 제조법과 용도가 유사한 매실 추출물에 버금가는 항산화 활성을 부여하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당 함량과 낮은 유기산 함량으로 매실 추출물과는 관능적 측면에서 차별화될 수 있는 식품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팽화처리가 화분 및 이를 첨가한 밀엿강정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uffing treatmen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ee pollen and its addition to wheat flour-puff yeot-gangjeong)

  • 이지예;서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306-312
    • /
    • 2022
  • 화분을 열처리 가공 원료로 활용하기 위해 압력을 달리하여 팽화처리 화분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팽화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화분은 수분함량이 감소하고 갈변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화분의 항산화 활성의 경우, 극성지수가 다른 3종 용매로 얻은 물, 에탄올, 헥산 추출물 모두 총 환원력과 DPPH라디칼 소거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극성용매로 얻은 추출물에서 활성이 현저히 높았다. 실험군 중 상대적으로 약한 팽화처리 조건(2.5 kgf/cm2)으로 제조한 화분도 생화분보다 물 추출물에서 3배, 에탄올 추출물에서 5배 이상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 결과는 팽화처리 후 수분감소로 인한 농축효과뿐 아니라 가속화된 메일라드 갈변반응으로 환원성 물질이 생성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 조건에서 팽화처리된 화분으로 제조한 밀엿강정은 생화분 첨가군과 비교하여 낮은 L, a, b 값과 적정산도, 높은 pH와 항산화 활성을 보여 팽화처리 화분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이 결과는, 팽화화분이 보유한 메일라드 반응산물(MRP)의 항산화 활성이 밀엿강정에 실질적으로 부여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조직후 산화방지 효과는 뚜렷이 관찰되지 않았는데, 이는 강정 제조 시 사용한 당용액이 강정과 산소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밀엿강정에서 확인된 항산화 활성을 고려하면, 본 연구 결과는 팽화처리 화분을 첨가한 가공식품의 경우 열처리 직후보다 저장 중 산화안정성이 기대되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Maltol, Kojic Acid, Levulinic Acid, Furfural, 5-Hydroxymethyl Furfural과 Pyrazine의 항산화작용 (Antioxidant Activity of Maltol, Kojic Acid, Levulinic Acid, Furfural, 5- Hydroxymethyl Furfural, and Pyrazine)

  • 이범홍;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65-270
    • /
    • 1982
  • 마이얄 갈색화반응의 중요한 중간생성체로 알려진 maltol, kojic acid, levulinic acid, furfural, 5-hydroxymethyl furfural(5-HMF)와 pryazine의 항산화작용을 조사하였다. 각 화합물의 작용은 이들 화합물의 0.01M의 농도로 들어있는 콩기름 기질들과 실험대조기질의 유도기간의 길이를 비교함으로써 추정하였다. 기질들은 $45.0{\pm}1.0^{\circ}C$에서 30일간 저장되었으며, 이들 기질의 과산화물값이 60 meq/kg oil가 되는데 소요된 시간으로써 그 기질의 유도기간으로 삼았다. 실험대조기질, kojic acid, 5-HMF, furfural, maltol, levulinic acid와 pyrazine의 유도기간은 각각 468, 592, 510, 498, 486, 450와 402시간 였었다. Kojic acid는 뚜렷한 산화방지작용을 갖고 있는 반면에 furfural와 5-HMF는 약한 작용을, maltol은 아주 약한 작용을 갖고 있었다. 한편, pryazine과 levulinic acid는 산화촉진작용을 보였었다. Pryazine은 뚜렷한 촉진작용을 보였으나, levulinic acid의 산화촉진작용은 매우 미약했었다.

  • PDF

볶음과정에서의 참깨의 물리화학적 특성변화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esame with Roasting Temperature)

  • 김현위;정소영;우순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137-1143
    • /
    • 1999
  • 볶음참깨 및 참기름 제조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하여 볶음온도$(110^{\circ}C{\sim}230^{\circ}C)$변화에 따른 참깨의 물리적 변화 및 화학적 변화를 알아보았다. 볶음참깨의 물리적 특성에 있어서 수분함량, 부피변화, 착유수율, 참깨박함량 및 색도는 $170^{\circ}C$이상에서 유의적으로 변하였고, 참깨박 중의 지방함량 및 단백질함량은 약간 변화하였다. 착유수율과 관능적 특성을 고려할 때 볶음최적온도는 $220^{\circ}C$로 판단된다. Arginine, serine, threonine, lysine, cystine, tyrosine 등의 총아미노산과 대부분의 유리아미노산, 그리고 유리당 중의 sucrose는 $170^{\circ}C$$190^{\circ}C$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당과 아미노산 함량의 감소는 볶음참깨의 갈색색소 및 고소한 맛과 풍미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측한다. 이러한 반응은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 수분이 적고, 기름함량이 많은 식품계에서 당과 아미노화합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열분해반응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청국장을 첨가한 카스테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astella with Chungkukjang)

  • 이경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4-249
    • /
    • 2006
  • 밀가루의 10%, 20%, 30%를 청국장으로 대체한 카스테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텍스처 특성, 관능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청국장 첨가는 카스테라의 비용적과 팽화율을 감소시켰는데 청국장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비용적과 팽화율은 더 낮아져 30%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의 비용적과 팽화율이 가장 낮았다. 또한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는 밀가루만 사용한 대조군 카스테라에 비해 수분함량은 낮아지고 단백질함량은 증가하였는데 30%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는 가장 낮은 수분함량과 가장 높은 단백질 함량을 나타내었다. 카스테라의 내부 색도는 청국장 첨가시 명도가 낮아졌으며 청국장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더욱 낮아졌다. 카스테라의 견고성은 20%, 30%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가 다른 카스테라에 비해 높았다. 관능검사 결과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의 표면 및 내부의 색은 대조군 카스테라에 비해 진했다. 20%, 30% 청국장 사용 카스테라는 다른 카스테라에 비해 단 향미는 약하고 고소한 향미는 강했으며 더 무겁고 덜 부드럽게 느껴졌다. 카스테라의 전반적인 수용도는 청국장 첨가에 의해 감소되지 않아 전반적인 수용도를 고려할 때 밀가루의 30%를 청국장으로 대체 가능한 것으로 생각된다.

A combination of postmortem ageing and sous vide cooking following by blowtorching and oven roasting for improving the eating quality and acceptance of low quality grade Hanwoo striploin

  • Jwa, Seung-Hoon;Kim, Yong-An;Hoa, Van-Ba;Hwang, In-H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8호
    • /
    • pp.1339-1351
    • /
    • 2020
  • Objective: It is well recognized that beef cuts from a low quality grade are usually associated with tougher, drier and less flavorful. Thus, the present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combined effects of postmortem ageing and sous vide (SV) cooking followed by oven roasting or blowtorching on the eating quality of low quality grade Hanwoo beef striploins. Methods: Hanwoo beef striploins (quality grade 3) obtained from 36 month-old Hanwoo steers were used, and the samples were chiller aged for 0 and 14 d at 4℃. After ageing, the samples were prepared into 2.5-cm steaks which were then SV cooked at 55℃ for 5 h and then raised to 60℃ for 1 h, and thereafter the SV-cooked the steaks were further roasted in oven for 20 min (SV+OV) or blowtorched (SV+TC) for 2 min. The cooked samples were analyzed for microbiological quality, browning index, Wanrner-Bratzler shear force (WBSF), aroma flavor compounds and sensory properties. Results: The SV cooking significantly reduced the WBSF values in beef samples (p<0.05). Blowtorching after SV cooking led to a browner surface of the beef steaks (p<0.05). The samples treated with SV+OV or SV+TC exhibited higher levels of Maillard reaction-derived aroma flavor compounds such as; pyrazines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compared to those just SV cooked. More especially, the SV+OV- or SV+TC- treated samples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compared to those just SV cooked (p<0.05). Ageing beef for 14 d significantly improved the tenderness by reducing the WBSF and increasing the tenderness scores. Conclusion: Thus, the combination of postmortem ageing and SV cooking followed by additional treatments (blowtorching or oven roasting)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eating quality especially tenderness and flavor as well as overall acceptability of low grade Hanwoo beef.

Wine quality grading by near infrared spectroscopy.

  • Dambergs, Robert G.;Kambouris, Ambrosias;Schumacher, Nathan;Francis, I. Leigh;Esler, Michael B.;Gishen, Mark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근적외분광분석학회 2001년도 NIR-2001
    • /
    • pp.1253-1253
    • /
    • 2001
  • The ability to accurately assess wine quality is important during the wine making process, particularly when allocating batches of wines to styles determined by consumer requirements. Grape payments are often determined by the quality category of the wine that is produced from them. Wine quality, in terms of sensory characteristics, is normally a subjective measure, performed by experienced winemakers, wine competition judges or winetasting panellists. By nature, such assessments can be biased by individual preferences and may be subject to day-to-day variation. Taste and aroma compounds are often present in concentrations below the detection limit of near infrared (NIR) spectroscopy but the more abundant organic compounds offer potential for objective quality grading by this technique. Samples were drawn from one of Australia's major wine shows and from BRL Hardy's post-vintage wine quality allocation tastings. The samples were scanned in transmission mode with a FOSS NIR Systems 6500, over the wavelength range 400-2500 ㎚.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the Vision chemometrics package. With samples from the allocation tastings, the best correlations between NIR spectra and tasting data were obtained with dry red wines. These calibrations used loadings in the wavelengths related to anthocyanins, ethanol and possibly tannins. Anthocyanins are a group of compounds responsible for colour in red wines - restricting the wavelengths to those relating to anthocyanins produced calibrations of similar accuracy to those using the full wavelength range. This was particularly marked with Merlot, a variety that tends to have relatively lower anthocyanin levels than Cabernet Sauvignon and Shiraz. For dry white wines, calibrations appeared to be more dependent on ethanol characteristics of the spectrum, implying that quality correlated with fruit maturity. The correlations between NIR spectra and sensory data obtained using the wine show samples were less significant in general. This may be related to the fact that within most classes in the show, the samples may span vintages, glowing areas and winemaking styles, even though they may be made from only one grape variety. For dry red wines, the best calibrations were obtained with a class of Pinot Noir - a variety that tends to be produced in limited areas in Australia and would represent the least matrix variation. Good correlations were obtained with a tawny port class - these wines are sweet, fortified wines, that are aged for long periods in wooden barrels. During the ageing process Maillard browning compounds are formed and the water is lost through the barrels in preference to ethanol, producing “concentrated” darkly coloured wines with high alcohol content. These calibrations indicated heaviest loadings in the water regions of the spectrum, suggesting that “concentration” of the wines was important, whilst the visible and alcohol regions of the spectrum also featured as important factors. NIR calibrations based on sensory scores will always be difficult to obtain due to variation between individual winetasters. Nevertheless, these results warrant further investigation and may provide valuable Insight into the main parameters affecting wine quality.

  • PDF

황국곰팡이를 이용한 갈색거저리 발효액의 특성 및 조미소재 이용가능성 탐색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enebrio molitor fermented liquids using Aspergillus oryzae as a flavoring material)

  • 이지원;손양주;황인경;박효남;김수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6-295
    • /
    • 2017
  • 갈색거저리 유충의 새로운 조리 및 가공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황국곰팡이(Aspergillus oryzae)을 이용한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단백질분해효소 역가가 높은 갈색거저리 고지를 제조(황국곰팡이 1% 농도, 48시간 배양)한 후 소금물 담금 처리를 달리하여 90일 동안 숙성한 발효액 변화 양상을 관찰하였다. 염도가 낮았던 L군에서는 발효액의 효소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단백질 및 탄수화물 분해산물이 많이 생성되었다. 특히 갈색거저리 열풍건조분 함량이 많은 LN군에서 단백질분해효소 활성도의 증가로 총 질소 및 아미노 질소 함량이 숙성 기간 중 가장 높았다(p<0.05). 90일 동안 숙성한 LN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2426.92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p<0.05) 이 중 감칠맛에 영향을 주는 글루탐산이 15.16%를 차지하였고, 7점 척도의 관능검사 결과 단맛(3.53점), 구수한맛(4.30점), 전체기호도(4.90점)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 쌀가루를 첨가한 A군에서는 숙성함에 따라 아밀레이스 활성도가 높아져 총 당 및 환원당이 증가하였으나, 관능적 측면에서 쌀가루 첨가 유무보다는 소금 농도가 낮은 L군에서 더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p<0.05). 모든 실험군에서 산도는 1% 미만으로 나타나 식용하기에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보이며, LN은 관능 기호도가 우수했던 것과 함께 아미노산과 환원당과의 메일라드 반응을 통한 갈색도 증가와 향의 강도 증가를 보여 본 연구가 갈색거저리 유충을 활용한 저염 조미소재 개발의 기초 연구 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