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to-resistivity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Existence of a vortex-glass phase transition in an optimally doped BaFe1.8Co0.2As2 single crystal

  • Choi, Ki-Young;Kim, Kee Hoo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6-19
    • /
    • 2013
  • The magneto-resistivity and electric field-current density (E-J) curves were investigated up to a magnetic field 9 T in the optimally doped $BaFe_{1.8}Co_{0.2}As_2$ single crystal with a superconducting temperature ($T_c$) of 24.6 K. The E-J Scaling behaviors below and above vortex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_g$) were found, confirming the existence of the vortex glass phase transition. The critical exponents for the diverging spatial and time correlations at $T_g$, were obtained as v = $1.1{\pm}0.1$ and z = $4.5{\pm}0.3$, respectively. The obtained critical exponents a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predicted values of v ~ 1 - 2 and z > 4 within the 3D vortex glass theory.

Magnetic, Magneto-Optical, and Transport Properties of Ordered and Disordered 3d-Transition Metal Aluminide Films

  • Lee, Y.P.;Kim, K.W.;Rhee, J.Y.;Kudryavtsev, Y.V.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7권s1호
    • /
    • pp.1-6
    • /
    • 1998
  • The influence of the order-disorder structural transition on the magnetic and mageto-optical, and transport properties of Fe-Al and Co-Al alloy films has been investigated. The disordered states in the alloy films were prepared by vapor quenching deposition on glass substrates cooled by liquid nitrogen. The experimental study of the magento-optical properties of the ordered and disordered Fe-Al and Co-Al alloy films has been carried out in 1.05-5.0 eV energy range at room temperature. The transport properties have been measured in 2-300K temperature range with and without magnetic field of 0.5T. The influence of the order-disorder structural transition on the magnetic and magneto-optical properties was discussed by using the effective medium approximation and the structural defect approach. That on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resistivity was analyzed in a framework of the partial localization of the electronic states and the variable range hopping conductivity.

  • PDF

암반등급 평가를 위한 MT와 시추공 자료의 지구통계학적 복합해석 (Geostatistical Integration of MT and Borehole Data for RMR Evaluation)

  • 오석훈;정호준;이덕기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2호
    • /
    • pp.121-129
    • /
    • 2004
  • 터널 등과 같은 대규모의 토목공사에서 암반등급 평가에 이용되는 RMR값의 효율적인 추정을 위해 지구물리 탐사자료인 MT역산결과와 시추공에서 직접 얻어진 자료에 대해 지구통계학적 복합해석을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물리탐사를 통해 획득한 전기비저항 정보는 RMR 값과 정성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직접적인 일대일 대응은 부정확한 결과를 내놓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극복하고, RMR값이 공간적 연속성을 갖는 다는 점을 고려하여 지구통계학적 추정 기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T자료에 의한 전기비저항치와 시추공에서 얻어진 RMR값의 상관관계에 대한 평균 분포를 비선형적으로 구하고, RMR의 잔차에 대하여 공간적 해석을 적용하여 보다 실제적인 RMR의 분포를 얻고자 하였다. MT 탐사 결과의 비저항 분포를 2차 자료로 이용하여 1차 자료인 시추공에서 얻은 RMR값을 추정 해석하였다.

전기검층과 AMT 탐사자료를 이용한 양산지역의 2차원 투수계수분포 산출 (Estimation of Two-dimensional Distribution of Coefficient of Permeability from Electrical Logging and AMT Data in Yangsan Area)

  • 이태종;박남윤;추석연;이종호;고성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6권2호
    • /
    • pp.64-7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토목현장에서 필요로하는 여러 파라미터들 중에서 물리탐사가 제공할 수 있는 영역을 한걸음 더 넓히고자 투수계수 산출을 위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였다. 전기비저항과 투수계수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한 현장시험 결과 전기비저항검층과 수압시험(Lugeon test)에 의한 전기비저항-투수계수는 log-log 그래프상에서 반비례 관계를 만족하였다. 양산지역의 화강암과 안산암의 경우 $log(k){\approx}-0.85621\;log({\rho})+0.0031$ 의 관계를 보였으며 측선 상에서 수행된 AMT (Audio-frequency Magneto-Telluric) 탐사 결과와 이 식을 이용하여 전기비저항 단면을 2차원 투수계수 분포단면으로 변환하고 이를 지하수 유동모델링의 입력자료로 제공하였다.

InSb 자속계의 제작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 of an InSb Mognetic Flvxmeter)

  • 윤재강;유용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8
    • /
    • 1975
  • Hall효과의 이용으로, 자계의 세기 또는 자속을 계측할 수 있는 자속계의 제조 및 특성조사를 시도하였다. Hall계수가 큰 InSb의 단결품을 Bridgemann법에 의하여 제작하고, 자장내에서 자계의 세기와 기전력 또는 전류를 계측한 결과, 만족할만한 감도와 직선적인 특성곡선을 얻었으며, 유사한 연구결과와 비교할때, 좋은 결과임을 알게 되었다. An Insb magnetic fluxmeter was made of InSb Single Crystal that was grown by Bridgemannmethods and then purified by vapor cone refining method. We investigated some properties of the InSb magneto fluxmeter. It was found that the resistivity and the Hall Coefficient of this single Crystal Were 4.4X10-2Ω and 4.5cm3/Coul, respectively, at room temperature. The Characteristic Curve of the InSb magnetic fluxmeter between the magnetic field the Hall voltage, with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element a Parameter, had good lineanty i.e., We obtained a linear Calibration Curve of the flwmeter. The fluxmeter erved the purpose well enough up to 5 k-gaus.

  • PDF

Electron Transport and Magneto-optical Properties of Magnetic Shape-memory $Ni_2NnGa$ Alloy

  • Lee, Y.P.;Lee, S.J.;Kim, C.O.;Jin, X.S.;Zhou, Y.;Kudryavtsev, Y.V.;Rhee, J.Y.
    • Journal of Korean Vacuum Science & 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12-15
    • /
    • 2002
  • The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magneto-optical and transport ones, of Ni$_2$MnG$_2$ alloy in the martensitic and austenitic states were investigated. The dependence of the temperature coefficient of resistivity on temperature shows kinks at the structural and ferro-para magnetic transitions. Electron-magnon and electron-phonon scattering are analyzed to be the dominant scattering mechanisms of the Ni$_2$MnG$_2$ alloy in the martensitic and austenitic states, respectively. The experimental real parts of the off-diagonal components of the dielectric function present two sharp peaks, one at 1.9 eV and the other at 3.2 eV, and a broad shoulder at 3.5 eV, all are identified by the band-structure calculations. These peak positions are coincident with those in the corresponding optical-conductivity spectrum, which is thought to originate from the single-spin state in Ni$_2$MnG$_2$ alloy.

  • PDF

종합적 물리탐사에 의한 파쇄대 및 심부 지하수 탐사 (Frture mapping and deep-seated ground water exploration in the crystalline rocks by integrated geophysical techniques)

  • 정승환;김정호;조인기;전정수
    • 지질공학
    • /
    • 제2권2호
    • /
    • pp.113-130
    • /
    • 1992
  • 지하 심부에 발달된 파쇄대 및 단층등은 지하수의 유통통로가 되어 심부 지하수 개발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지표에서 지하 파쇄대 및 단층을 탐지함은 심부 지하수 개발 대책 수립에 대단히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물리탐사법의 확립을 위해 경주 보문 관관단지내에서 다수의 물리탐사법을 동원하여 종합적인 탐사를 실시 그 자료를 해석하였다. 경주지역은 자력탐사, VLF 전자탐사, 쌍극자 배열 전기탐사, CSAMT 탐사등이 실시되었다. 자려탐사의 목적은 관입암으로 추정되는 화성암의 분포상황의 파악에 VLF 전자탐사는 지표천부의 파쇄대의 탐지에 있다. 쌍극자 배열 전기탐사는 비교적 천부으 비저항 분포 및 단층 파쇄대의 탐지에 CSAMT 탐사는 비교적 심부까지의 비저항 분포 및 단층 파쇄층 탐지에 있다. 경주지역 탐사자료의 종합적인 해석 결과 자력탐사에 의해 퇴적암 하부에 발달하는 화강암의 분포상황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VLF 탐사로써 지표천부의 다수의 파쇄대를 확인하였다. 자력탐사와 전기탐사 그리고 전기탐사의 종합적인 해석에 의해 거의 남북 방향으로 달리는 구조선 및 비저항 분포 상태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에 의하여 시추가 추천되었다.

  • PDF

철광산 지역에서의 물리탐사 기술 적용 연구 (A Geophysical Survey of an Iron Mine Site)

  • 김기연;오석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75-587
    • /
    • 2013
  • 철광산 지역의 매장량 평가를 위해 전기 및 전자탐사 방식의 물리탐사를 수행하였다. 철광산 조사에 적합한 물리탐사 기법을 결정하고 연구지역의 지질정보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대상 지역의 시추 코어와 노두 파편으로부터 획득한 암석 코어를 분석하였다. 획득한 코어에 대해 비중, 밀도, 공극률, 비저항, P파 속도 등 5가지 물성을 측정한 결과, 자철광체가 전기적 특성에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확인하고 전기 탐사를 수행하기로 결정하였다. 전기비저항 탐사는 기존의 연구들을 통해서 적용 기법들이 다양하고 해상도 또한 높은 편이 알려져 있어 철광산의 조사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심부에서는 해상도가 낮으며 탐사의 수행도 어렵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전기비저항 탐사를 보완하기 위해 물리탐사법 중 비교적 깊은 탐사심도를 가지는 MT (MagnetoTelluric) 탐사를 추가적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MT 탐사의 천부 정보에 대한 취약성을 보완하기 위해 인공송신원을 사용하는 CSMT (Controlled Source MT) 탐사를 추가적으로 실시하였다. 전기 및 전자탐사를 통해 채광이 이루어진 광산 하부에 저비저항체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향후 추가적인 이용 가치를 확인하였다.

전기비저항 및 전자탐사를 이용한 저수지 하부에 주입된 그라우트 재료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grout material injected under a reservoir using electrical and electromagnetic surveys)

  • Suzuki, Koichi;Oyama, Takahiro;Kawashima, Fumiharu;Tsukada, Tomoyuki;Jyomori, Akira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1호
    • /
    • pp.69-79
    • /
    • 2010
  • 저수지의 누수를 막기 위하여 저수지 가에 시추공을 뚫어 대량의 시멘트 현탁액(그라우트)을 주입한 후, 이 시멘트 현탁액이 저수지 하부로 얼마나 침투 했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모니터링이 수행되었다. 암석 코아 시료 실험을 통하여 사용된 시멘트 현탁액의 전기비저항은 이 지역의 지하수의 전기비저항에 비해 월등히 작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따라서 시멘트 현탁액으로 그라우팅 판 부분은 전기비저항이 현저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지구물리학적인 탐사 방법들이 이 저수지의 울 저류 성능의 개선 효과를 평가하는데 적합할 것이라고 기대된다. 그라우팅을 하는 동안 총 7측선의 전기비저항탐사와 두 측선의 인공 송신원 AMT (CSAMT)탐사가 저수지 안의 측선을 따라 시멘트 현탁액의 침투 현황을 모니터링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기비저항 자료의 2차원 역산결과 $10\;{\Omega}m$ 또는 그 이하의 극히 낮은 비저항값을 갖는 영역이 관측되었다. 이 영역은 시멘트 현탁액으로 채워진 파쇄대로 추정된다. 비저항값의 변화율을 보여주는 단면들을 살펴본 결과 그라우팅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비저항의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 점차적으로 심부로 확장되어가는 세 곳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위치들은 그라우팅 시추공에서 수행된 Lugeon시험에서 높은 투수생을 나타낸 곳과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우리는 저수지위에서 실시완 전기비저항과 CSAMT탐사를 통하여 전기비저항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링 자료는 향후 그라우팅 계획에 반영될 수 있을 것이다.

인공송신원 가청주파수 자기지전류 탐사를 이용한 제주 동남부의 전기비저항 구조 및 지하수 분포 조사 (Geoelectrical Structure and Groundwater Distribution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Jeju Island Revealed by Controlled Source Audio-frequency Magneto Telluric (CSAMT) survey)

  • 양준모;권병두;이희순;송성호;박계순;이규상
    • 자원환경지질
    • /
    • 제40권1호
    • /
    • pp.67-85
    • /
    • 2007
  • 제주도 동남부의 전기비저항 구조 및 지하수 분포 형태를 조사하기 위해 제주도 중산간에서 남동방향으로 해안 지역을 횡단하는 두 측선에 대해 인공송신원 자기지전류탐사를 수행하였다. 측점들이 위치한 지질학적 상황을 고려하여 세 종류의 일차원 역산 기법을 도입하였고, 해석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각 역산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 과정으로부터 도출된 제주 동남부의 개략적인 전기비저항 구조는 고비저항-저비저항-보다 저비저항을 갖는 3층 구조였다. 역산 결과와 측점 부근의 심부 시추 자료의 비교를 통해 제주도 동남부의 각 층별 암상이 개략적으로 추정되었다: 지질학적 층서의 관점에서 제 1층과 2층은 두께 100-250m의 현무암층에, 제 3층은 서귀포층 및 U층에 대응하는데, 서귀포층의 두께는 조사심도가 충분히 깊지 않고 서귀포층과 U층의 전기비저항 차이가 작기 때문에 추정할 수 없었다. 그러나 주대수층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서귀포층은 제주도 동남부 지역의 경우 중산간 지역부터 해안 지역까지 뚜렷한 공간적 연속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