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gnet attachments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임플랜트지지 피개의치를 이용한 무치악환자의 구강회복 (Mandibular Implant-Retained Overdenture: A Case Report)

  • 이홍석;송광엽;김자영;이정준;박주미;안승근;박찬운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1호
    • /
    • pp.91-104
    • /
    • 2008
  • 최근에, 의치의 유지, 안정성, 지지를 개선시키기 위해 골유착 임플란트가 사용되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 하악에 두 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제작된 피개의치가 환자 보철에서 기능과 만족의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stud, magnet, 그리고 bar attachment를 포함하여 다양한 attachment 시스템을 사용해 임상적으로 예상 가능하고 효과적인 것이 증명되었다. 본 증례에서 2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가 무치하악의 치료를 위한 고려의 기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CAD/CAM system을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증례 (The implant overdenture on the edentulous mandible using CAD/CAM system: A case report)

  • 이시은;이소현;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66-73
    • /
    • 2015
  • 완전, 혹은 부분 무치악 환자의 가철성 보철물 수복치료에서 치아 상실에 따른 치조골 감소와 별형은 의치 사용에 어려움을 준다. 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가철성 보철물에 지지, 유지, 및 안정을 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에 사용되는 어태치먼트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환자의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어태치먼트를 선택해야 한다. 그 중 milled bar의 경우 임플란트 간 거리가 좁아서 기성 bar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또는 기성 bar보다 상부 구조물의 확고한 안정성과 지지를 얻고자 할 때 선택 된다. Milled bar는 cross arch stabilization을 이룰 수 있고, 저작 시 의치의 움직임이 없어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지만, 숙련된 기공과정을 요한다. 그러나 최근 CAD/CAM의 발전을 통해 milled bar의 제작이 간결해지고 적합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본 증례는 8개의 임플란트가 식립된 하악 완전 무치악의 알츠하이머 환자로 milled bar와 magnet을 이용한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전신병력이 양호해진 기간 동안 빠른 치료종결이 필요했기 때문에, 통법의 기공 작업을 CAD를 통해 시뮬레이션하여 복잡한 기공과정을 좀더 단순하게 하였고 이로써 치료 기간을 줄일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milled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제작하는 과정 중 CAD/CAM system을 적절히 사용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와 수에 따른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유지력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tention of Implant Overdenture According to the Shape and the Number of Magnetic Attachment)

  • 서민지;이준석;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169-181
    • /
    • 2008
  • 치과용 자석의 개선으로 자성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사용이 늘고 있다. 또한 여러 형태의 자성 어태치먼트가 개발되어 임상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시중에 판매되는 세 가지 형태의 임플란트용 자성 어태치먼트를 이용해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와 임플란트 수에 따른 임플란트 피개의치의 유지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식립된 임플란트가 1개인 경우를 1군, 2개인 경우 2군, 4개인 경우를 3군으로 하였고,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에 따라 flat type, cushion type, dome type으로 세분하였다. Instron으로 수직방향, 사선방향, 전후방향의 인장력을 가하여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에 따른 유지력의 차이, 힘의 방향에 따른 유지력의 차이, 자성 어태치먼트의 수에 따른 유지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임플란트의 수와 상관없이 수직력은 flat type이 가장 컸으며, 측방력은 dome type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임플란트가 1개일 때 flat type의 수직력이 전후방회전력보다 크게 나타났고, 임플란트가 2개일 때는 dome type과 flat type이, 임플란트가 4개일 때는 cushion type과 flat type에서 수직력이 전후방회전력보다 크게 나타났다. 3) 임플란트 수에 따른 유지력 측정결과, 자석의 형태에 상관없이 임플란트 수가 많을수록 유지력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큰 유지력이 필요한 환자에게는 flat type이, 유해한 수평력이 존재하는 환자에게는 dome type의 이용이 유리하고, 임플란트가 1개일 때 flat type, 2개일 때 dome type과 flat type, 임플란트가 4개일 때 cushion type과 flat type이 피개의치의 안정성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성 어태치먼트의 형태에 상관없이 임플란트의 수가 증가할수록 더 큰 유지력을 나타냈다. 따라서 임플란트 피개의치 사용 시 적절한 유지력과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 임플란트의 수와 자성 어태치먼트 형태의 고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하악 임플란트 오버덴쳐에서 어태치먼트 종류에 따른 응력분포 (The Influence of Attachment Type on the Distribution of Occlusal Force in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s)

  • 성채련;조인호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5권4호
    • /
    • pp.375-390
    • /
    • 2009
  •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이공 사이에 2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4종류의 어태치먼트를 사용한 하악 오버덴쳐를 제작하여 유한요소 모델을 만들고 여기에 3가지 하중 조건을 가하여 유한요소 해석 프로그램인 ANSYS 10.0을 이용하여 어태치먼트 종류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골과 보철물 및 임플란트와 골 사이 계면에 발생하는 최대 응력의 크기와 응력 분포양상을 분석하였다. 하악골체의 전체적인 골격구조에서 치아 부분은 오버덴쳐로 모델을 형성하였고 오버덴쳐와 하악골 사이에 2mm 두께의 점막을 삽입하였다. 임플란트 오버덴쳐의 유한요소 모델은 ball and socket, Locator, magnet, bar의 각각 4가지 형태를 제작하였다. 고정체의 식립 위치는 양측 이공 전방이고, 경계 조건 중 고정점은 하악각 부위와 모형의 최후방 절점들을 고정점으로 설정하였다. 하중조건은 오버덴쳐의 좌측 제 2소구치에서 제 2대구치 편측 부위에 170N의 하중을, 좌 우측 제 2소구치에서 제 2대구치 양측 부위에 170N의 하중을, $90^{\circ}$수직 방향, $45^{\circ}$경사, 그리고 $0^{\circ}$ 수평 방향으로 가하였다. 결과 분석시 모든 하중방향에서 응력의 크기는 bar에서 임플란트나 오버덴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계면에서의 응력은 모든 어태치먼트에서 비슷한 응력분포가 나타났다. Ball and socket, Locator, magnet에서는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 응력의 분포도에서는 4종류의 어태치먼트 모두 임플란트 치경부에서 응력이 집중된 양상을 보였으며 bar타입에서는 bar의 중앙에 응력이 크게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어태치먼트의 종류에 따라 응력분포의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어태치먼트의 선정 시 응력집중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설계와 선택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악관절의 자기공명영상과 시상단층 방사선촬영상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MAGNETIC RESONANCE IMAGE AND SECTOGRAPH OF HUMAN TNJ)

  • 이성복;최대균;최부병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9-270
    • /
    • 1993
  • For understanding of anatomy, physiology, and diseases of human TMJ, it is required to evaluate quantitatively the movement of the disc and condyle head of mandible. The histologic section of cadaver TMJ were examined, and the magnification of the MR image and its details of anatomy were evaluated. And then a quantitative analytic method, by comparing the Sectograph and the MR image of vital human TMJ, was proposed. For this study, 15 subjects(Male, 24~35years) were selected from a prosthodontic examination randomly, and each subject’s five interocclusal rubber registration records were made on the ICP, and 5, 10, 15, and 20mmjaw opening positions. All subjects were radiographed with a Denar Quint Sectograph Image System(Denar Corp., USA), and imaged with a MRP-20EX MR Image System(0.2T, Permanent Magnet Type, Hitachi Medical Corp., Japan) using an 100mm diameter bilateral type surface coil. These images were traced on the acetate tracing paper,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n comparison of the histologic section of autopsy specimen with the MR image at the same section, the size(dimension) of MR image was 70% of the real one. It was possible to recognize the shape of articular disc, anterior and posterior attachments, and adjacent soft tissues, because of the excellent reproducibility of anatomical structure. 2. When we compared the amount of joint space on MR image with that of joint space on sectograph, the amount of joint space on sectograph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joint space on MR image, except at the top of condylar head. 3. The position of minimum joint space on sectograph at intercuspal position didn't coincide with the middle position of articular disc on MR image, and was approximately in the anterior third of posterior band of articular disc. 4. The amount of condylar movement on MR image at opening movement was greater than that of articular disc movement. From Intercuspal position to 5mm jaw-opening movement, the condylar movement showed hinge one, and over the range 5mm jaw-opening it suggested hinge & translatory one. 5. In terms of area variation of articular disc measured on MR image in sagittal plane, the area of posterior b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Jaw opening, but the area of anterior band decreased converse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