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ejakgwa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2초

뽕잎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ejakgwa added Mulberry Leaf Powder)

  • 진소연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97-604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berry leaf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a Korean traditional cookie). Maejakgwa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mulberry leaf powder (in ratios of 0, 3, 6, 9 and 12% to the flour quantity).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stimated b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the total phenol content in mulberry leaf powder and maejakgwa. For analyz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bulk density and the pH of the dough, moisture contents, color, texture profile analysis and sensory evaluations were measured. The total phenol content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ulk density of the batter and the a values of maejakgwa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mulberry leaf powder, whereas the pH of the batter, L values and b values of the maejakgwa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mulberry leaf powder content. Finally, the results of the acceptance test indicated that maejakgwa containing 6% mulberry leaf powder had the highest scores.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mulberry leaf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consumer acceptability as well as the functionality of maejakgwa.

곰취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added Ligularia fischeri Powder)

  • 박인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05-61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prepared with Ligularia fischeri powder (0, 1, 3, 5, 7%) as a substitute for flour. The pH of maejakgwa dough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ponse to the addition of all levels of Ligularia fischeri powder. Spread factor values and water content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Ligularia fischeri powder. In addition, the Hunter color L, a and b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Ligularia fischeri powder. Furthermore, hardnes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 of Ligularia fischeri powder increase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content of Ligularia fischeri powder increased (p<0.05). Finally, the results of the sensory properties indicated that maejakgwa containing 3% Ligularia fischeri powder had the highest scor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igularia fischeri powder can be applied to maejakgwa in order to achieve high quality and functionality.

비파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Powder)

  • 조희숙;김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50-557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prepared with Eriobotrya japonica leaf powder (0, 1, 3, 5, 7%) substituted for flour. The pH and density of Maejakgwa dough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ponse to addition of all levels of E. japonica leaf powder. Furthermore, when spread factor values were compared among the groups, they were found to b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E. japonica leaf powder concentration. With increasing amounts of E. japonica leaf powder, L and a values decreased, whereas b value increased. In terms of textural characteristics, addition of E. japonica leaf powder increased hardness, cohesiveness, springiness, chewiness, and brittleness compared to control. Finally, the results of an acceptance test showed that Maejakgwa containing 5% E. japonica leaf powder had the highest scores.

매작과의 품질향상을 위한 당근가루 첨가효과 연구 (Effect of carrot powder for quality improvement of Maejakgwa)

  • 고현정;왕 거;한정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644-648
    • /
    • 2017
  • 전통 한과류 중 하나인 매작과의 품질특성 향상을 위해 밀가루 대비 당근가루를 0, 5, 10, 15, 20% 첨가하여 매작과를 제조하고 그 특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당근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매작과의 경도는 증가하였으나 바삭함에서는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근가루 첨가량에 비례하여 적색도와 황색도가 모두 증가하였으며, 특히 15% 이상 첨가할 경우, 색차(${\Delta}E$)가 크게 증가하였다. 매작과의 산화특성에서 당근가루 첨가에 따른 항산화효과는 저장 4일째부터 나타났으며, 특히 당근가루를 15% 이상 첨가할 경우, 대조군에 비해 과산화물가를 약 1/2로 낮출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당근가루 첨가 여부에 대한 선호는 뚜렷했으나, 20% 첨가군에서는 색에 대한 선호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결과적으로 15% 첨가군의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당근가루의 첨가는 매작과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모든 면에서 첨가량에 비례하여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산패 특성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모든 품질 특성에서 향상효과를 보였다.

참죽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Maejakgwa Added Cedrela sinensis Powder)

  • 진소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792-1798
    • /
    • 2013
  •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참죽을 분말을 첨가(0, 5, 10, 15, 20%)한 매작과를 제조하여 매작과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고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참죽 분말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16.31{\pm}0.93$ mg GAE/g이며, 이를 매작과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제조된 매작과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참죽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참죽 분말 첨가 매작과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반죽의 밀도는 참죽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감소하였다. 매작과의 수분함량과 부피는 매작과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매작과의 색도는 참죽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작과의 기호도 검사(전반적인 기호도, 향, 맛, 바삭함, 색)에서는 10% 참죽 매작과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참죽을 분말로 가공하여 저장성을 높이고, 매작과에 참죽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매작과의 기호도를 증가시켜 주고 동시에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매작과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죽분말을 첨가하여 매작과를 제조할 경우, 참죽 분말의 첨가량은 10%가 매작과의 관능적인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장 최적 조건으로 생각되며, 참죽 재배지에서 새로운 향토 특산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클로렐라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with Chlorella Powder)

  • 조희숙;김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667-673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lorella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a Korean traditional cookies). Maejakgwa was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chlorella powder (in ratios 0, 1, 2, 3, and 4% of flour quantity). The moisture, crude ash,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contents of used chlorella powder were 2.38, 7.25, 65.95, and 0.95% respectively. The pH of maejakgwa dough decreased significantly as the level of chlorella powder increased; however, density of the batter, spread factor values, and moisture contents of the groups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higher level of the chlorella powder. In addition, Hunter's color L, a, and b value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mounts of chlorella powder. In the texture meter test, hardness in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ntration of chlorella powder. Finally, maejakgwas containing 1~2% chlorella powder had the highest sensory evaluat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chlorella powder is a good ingredient for increasing consumer acceptability as well as functionality of maejakgwas.

쑥 첨가 매작과의 저장과정 중 항산화활성 및 품질특성 변화 (Change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Mugwort Powder during the Storage Period)

  • 김경희;김수정;윤미향;변명우;장순애;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5-34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항산화 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이 있는 쑥 분말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한과의 일종인 매작과를 0%, 1%, 3%, 5%로 제조한 후 $60{\pm}1^{\circ}C$에서 가속저장하면서 7일 간격으로 저장기간에 따른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품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매작과의 색도 측정 결과 쑥 분말 첨가에 따라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매작과의 경도는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쑥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색, 맛, 물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3% 쑥 분말 첨가 매작과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매작과의 산가 및 과산화물가의 경우 변화 양상이 동일하였고, 수치는 쑥 분말 첨가량이 높을수록 감소,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다. 수소공여능 측정 결과 쑥 분말 첨가에 의해 수소공여능이 증가하였으며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다. 저장기간의 미생물 변화 측정 결과, 무첨가군 및 쑥 분말 첨가군 모두에서 저장기간 동안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고 총 호기성 세균, 곰팡이 및 효모군은 쑥 분말 첨가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또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총 호기성 세균, 곰팡이 및 효모군이 매작과 모두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항미생물 효과가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항미생물 작용은 호기성 세균보다 곰팡이 및 효모군에서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매작과에 대한 쑥 분말의 첨가는 전반적인 기호도 및 항산화성, 미생물학적으로 저장성이 우수하여 매작과의 저장성 향상 및 맛 증진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다시마 용매추출물과 다시마 분말 첨가에 의한 매작과의 산화안정성 (The Oxidative Stability of Solvent Extracts of Sea Tangle Powder(STP)and Maejakgwa Made with STP)

  • 박복희;조희숙;김경희;김선숙;김현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2-45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Sea tangle powder(STP) solvent extracts as well as Maejakgwa made with STP. The STP solvent extracts were added to soybean oil at a quantity of 0.05%. The solvents used for extraction were methanol, ethanol, ethyl acetate, and petroleum ether. Soybean oil without added STP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and soybean oil samples containing 0.02% butylated hydroxy toluene(BHT) and $\alpha$-tocopherol were used as positive control, respectively. Each sample was stored at $50^{\circ}C$ for 30 days. The oxidation levels of these sample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ir acid values, peroxide values, and thiobarbituric acid(TBA) values. The soybean oil samples containing the STP extracts had lower oxidation levels than both the negative control and $\alpha$-tocopherol positive control, and the sample containing the 0.05% methanol extracts had the lowest oxidation. According to the Rancimat method, the methanol extract(320 min) and ethanol extract(316 min) demonstrated longer induction periods as, compared to the control(253 min), $\alpha$-tocopherol(255 min), and BHT(309 min) samples. For the Maejakgwa, acid values increased over the storage period, however, the samples made with STP had lower values than the control group. Peroxide values increased rapidly for 30 days and then decreased. The TBA values of the Maejakgwa samples made with 3% and 9% ST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15% STP sample and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soybean oil containing solvent extracts of STP and Maejakgwa made with STP were increased.

발효울금 분말 첨가가 매작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ajakgwa added with Fermented Turmeric Powder)

  • 최수남;최은희;유승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3-231
    • /
    • 201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quiring into the effects on shelf-lif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jakgwa. This study also regards to the use fermented turmeric powder at varying concentrations in the recipe.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fermented turmeric powder, crude fat, carbohydrate, crude protein, and crude ash was decreased. Viewed division compared to the freeze-dried turmeric curcumin content wa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due to the increase of mineral content. With an increased of the amount of fermented turmeric powder used in Majakgwa recipes, the pH of the doug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led group. The acid value of Maejakgwa was lowered down, and most effectively controled when adding Turmeric power by 3~6%, and the peroxide value shows high antioxidant ability from the initial storagr period when adding 6%. TBA value appears to have the highest antioxidant ability, when adding 6%, showing lower increasing rate than that of sample group added 0~3% Turmeric powder. When added 9% or more, however, it shows higher TBA value comparing with normal Maejakgwa, the reference group, which indicates on the contrary that the antioxidant ability is lowering. The bitter taste, exterior color, incense of Turmeric, solidity, and crispy level of Maejakgwa with fermented Turmeric powder have been increased significantly as per increase of fermented Turmeric powder, and the sample group added with 9% have shown the best result in the overall taste level. It is anticipated that adding 6~9% of fermented Turmeric powder can increase the storage capability to give the best taste level and effective antioxidant ability by minimizing the off-flavor and bitter taste, through the research as above, which would be the most appropriate blending ratio of Turmeric powder for producing Maejakgwa.

굽는 방법으로 제조한 견과종실류 첨가 매작과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Maejackwa Containing Nuts and Seeds Prepared by Baking Method)

  • 정해정;김성준;백정은;성대경;송화연;이진영;김규흔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11-81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오븐에서 굽는 방법으로 매작과를 제조하고 질감 개선 및 기능성 향상을 위하여 몇 종류의 견과종실류를 첨가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보고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 정도를 살펴보았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단백질, 조지방 및 회분 함량은 대조군보다 첨가군이 높게 나타났다. 유탕처리한 대조군의 지방함량은 오븐구이한 견과종실류 첨가군의 지방함량보다 더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캐슈넛 첨가군이 73.48로 가장 높아 밝은 색을 띠었다.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아몬드 첨가군이 (+)의 값을 보였고 그 외 첨가군은 (-)의 값을 나타내어 녹색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아몬드, 캐슈넛 및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매작과의 경도는 캐슈넛, 코코넛,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표면색은 코코넛 첨가군과 대조군이 낮게 나타난 반면,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고소한 맛은 해바라기씨 첨가군과 캐슈넛 첨가군이 높게 평가되었으며 대조군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단단한 정도는 대조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견과류 첨가군은 비슷한 정도의 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바삭한 정도는 아몬드 첨가군, 대조군 및 해바라기씨 첨가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코코넛 첨가군이 가장 낮은 점수로 평가되었으며 느끼한 정도는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뒷맛은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기호도 검사 결과 아몬드 > 캐슈넛 > 코코넛 > 해바라기씨 > 대조군 순으로 아몬드 첨가군을 가장선호하였고 대조군을 가장 좋아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견과종실류 첨가 매작과를 $60^{\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며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코코넛과 캐슈넛 첨가군은 저장기간을 통하여 과산화물가의 변화가 거의 없어 지방산화에 안정함을 보여주었고 아몬드 첨가군과 해바라기씨 첨가군은 저장기간에 따라 계속 증가하여 저장 30일 후에는 해바라기씨 첨가군의 산패가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탕처리한 대조군의 경우 해바라기씨 첨가군을 제외한 다른 시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산가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시료군에서 점차 증가하였고 저장 30일후에는 해바라기씨 첨가군이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어 과산화물가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관능적인 측면과 저장안정성 측면을 모두 고려한다면 아몬드 또는 캐슈넛 첨가 매작과가 바람직할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