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rofibril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5초

풍화작용에 의한 정상모발의 형태학적 변화 (Morphological Change of Men's Hair Shaft by Weathering)

  • 홍완성;장병수;임도선;박상옥;여성문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1호
    • /
    • pp.11-20
    • /
    • 2000
  • 성인 남성의 모발에서 정상 모간과 자연상태에서 손상된 모간의 외부형태와 미세구조적 변화를 광학현미경과 주사 및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상 모간은 모소피층, 모피질, 모수질 등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모소피층은 $5\sim7$개의 모소피세들이 중첩되어 모피질과 모수질을 둘러싸고 있고, 길게 신장되어 모피질을 둘러싸고 있는 소피세포의 두께는 약 $0.4{\mu}m$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세포사이에는 약 $25{\mu}m$의 세포사이 막복합체가 관찰되었다. 모피질은 잘 발달되어 각질화세포(cornified cell)들로 치밀하게 채워져 있었고, 각질화세포는 직경이 약 $0.5\sim0.8{\mu}m$인 구형 또는 타원형의 macrofibril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이들은 약 8 nm 두께의 가는 microfibril이 동심원상의 규칙적인 형태로 배열되어 있었다. 그리고 macrofibril사이에는 약 $0.5{\mu}m$ 크기의 직경을 가진 구형의 melanin과립들이 고르게 산재되어 관찰되었다. 모수질은 공기가 채워져 있었고, 직경이 약 $16{\mu}m$의 구형의 형태로 모간의 전체 직경에 1/5정도를 차지하고 있었다. 풍화에 의해 손상된 모간은 모소피층이 박리되어 있었으며, 모피질세포의 세포질도 손상되어 melanin과립들이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것인 확인되었다. 조직표본상에서 모소피층의 박리과정은 모소피 사이에 공포가 형성되고, 이어서 모소피의 가장자리가 떨어져 나가고, 박리되지 많은 부위는 절단되었다. 모소피가 탈락되어 모피질이 노출된 부위에서는 각질화세포내에 존재하는 macrofibril이 각각 분리되고, 인접된 macrofibril사이에 공기가 채워지게 어 모간의 풍화과정은 더욱 촉진되었다. 그리고 노출된 macrofibril사이에서 탈락 직전의 melanin과립들이 산재되어 관찰되었다.

  • PDF

커트 도구에 따른 모발 절단면의 형태학적 특성 (Morpholgical Characteristics of Hair Section According to Cutting Tools)

  • 이귀영;노정애;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8권4호
    • /
    • pp.347-351
    • /
    • 2008
  • 본 연구는 레이저, 클리퍼, 가위 등의 커트도구를 사용하여 모발절단면의 형태학적 특성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레이저(razer)를 사용해서 절단된 모발의 단면은 모발 끝이 한쪽 방향으로 예리하고 뾰족하게 형성되었고 모발의 잘린 면이 얇아지면서 모발의 바깥쪽 부위로 휘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위(scissors)를 사용하여 절단된 모발의 횡단면은 비교적 깨끗하게 관찰되었다. 이는 가위와 사람의 손힘이 일정하게 주어짐에 따라 모발의 절단면이 찌그러지거나 눌림 현상 없이 모발형태가 변형되지 않고 절단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클리퍼(clipper)를 사용해서 절단된 모발 횡단면의 큐티클층은 손상되지 않고 고르게 잘려 나갔으나 피질(cortex)은 섬유성 단백질인 거대원섬유 (macrofibril)들이 매끄럽게 잘려나가지 않고 모발단면의 중간위치에서 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클리퍼의 날이 전기적인 힘에 의해서 고속으로 움직이면서 모발을 순간적으로 절단하면서 생기는 자국으로 나타났다.

미용을 위한 일상적인 열처리에 의해서 손상된 모발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Damaged Hair Shaft by Daily Treatment of Heat for a Beautiful Face)

  • 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3호
    • /
    • pp.215-222
    • /
    • 2003
  • 모발의 관리와 미용을 위해 일상생활에서 $40{\sim}170^{\circ}C$의 온도로 가해진 열에 의해 손상된 모발의 외부형태와 미세구조를 주사전자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오랜 기간 동안 헤어드라이기를 사용하였을 때 모발에는 다음과 같은 형태적 변화가 일어나서 손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첫째, 소피의 바깥층을 이루고 있는 비늘이 들떠지는데 이것은 소피세포의 세포사이 막복합체가 분리가 되면서 일어났다. 이어서 모발의 소피층은 떨어져 나가고 피질이 노출되었다. 이차적으로 피질의 각화세포들은 macrofibrl 사이가 찧어지면서 공기 중에 노출되었고 이들 사이에 멜라닌과립들이 산재되어 있었다. 결과적으로 건조한 고열의 바람은 모발의 수분을 제거시키고 모발을 딱딱하게 만들어 탄력성을 상실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국, 손상된 모발은 거칠고 불규칙한 표면을 나타내며 광택을 상실하게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견사의 탄성적성질에 관한 연구 II. 인장속도 및 팽윤에 따른 파괴강신도의 변화 (Reological Studies on Cocoon Filament II. Changes of strength and elongation at breaking related to the stretching speed and swelling degree)

  • 남중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05-112
    • /
    • 1972
  • 팽윤견사를 수중에서 인장시킬 경우, 인장속도 및 팽윤정도의 차이가 견사의 하중신장곡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인장시험은 Tensilon을 사용하였고, 절단시 강도, 신도 및 인장저항도를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팽윤견사의 절단강도는 인장속도의 증가와 더부러 높아지나 절단신도는 감소하였다. 2. 견사를 팽윤(90$^{\circ}$, 15분)시켜 저속(4mm/분)으로 인장하면 견사의 macrofibril의 분리절단상태가 chart 상에 기록되었다. 3. 9$0^{\circ}C$로 장시간 팽윤처리(60분)하면 절단강도는 현저히 감소하고, 절단신도는 증가의 경향을 보였다. 4. 초기인장저항도는 인장속도 및 팽윤정도의 차이에 의하여 영향된다. 즉 고속인장은 초기인장저항도를 높이지만 팽윤도의 증가는 감소시켰다.

  • PDF

자외선 조사에 따른 모발의 물리화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Change of Human Hair Shaft Following Radiation with Ultraviolet)

  • 장병수;나수경;이귀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6권2호
    • /
    • pp.109-118
    • /
    • 2006
  • 자외선 B를 사람의 두피에서 채취한 모발에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동안 각각 조사한 후 모발의 미세구조적인 변화 과정과 모발 단백질의 분해에 의한 원소 성분의 함량 변화를 전자현미경 및 에너지분산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외선에 6시간 조사된 모발에서 모발 표면은 중첩된 큐티클층이 분리되어 있거나 부러져있는 상태로 나타났다. 큐티클세포의 내큐티클에는 직경이 30nm에서부터 700nm크기의 공포를 형성하고 있었다. 자외선에 12시간 조사된 모발에서 피질은 치밀하게 배열되어 있는 각화세포의 세포막이 파괴되어 공포가 형성되었는데 공포는 세포막을 따가서 일렬로 배열되어 있었다. 또한, 멜라닌 과립과 접촉하고 있는 거대원섬유에서 공포가 형성되어 멜라닌 과립과 분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시기에도 멜라닌 과립의 모양이나 크기의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자외선에 24시간 조사된 모발에서 큐티클세포들은 절단된 상태로 관찰되었고 세포질의 내큐티클에 형성된 공포들은 인접해 형성된 공포들과 융합되었다. 자외선에 48시간 조사된 모발은 표면이 거칠게 나타났고, 큐티클의 안쪽 층에 있는 세포에서부터 형성된 공로로 인해 위쪽에 있는 큐티클 세포는 들뜨면서 조각나 떨어져 나갔다. 자외선 조사를 받아 손상된 모발의 원소성분을 에너지 분산 분광분석기로 분석한 결과 정상모발 보다 산소성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황의 성분은 감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