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robenthic invertebrat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3초

송악산 주변 조간대 저서 대형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과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Species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Invertebrate Inhabiting the Intertidal Zone near Songacksan Area, Jeju Island)

  • 이정재;현재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52
    • /
    • 2002
  • 2000년 6월부터 5월까지 제주남부연안 송악산주변 지역 조간대 3개 지역 9개 지점에 대한 조간대 저서무척추동물의 공간적인 수직분포와 군집유형에 관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 중 조사구역 3개 지역 조간대에서 서식하는 저저무척추동물은 총 6문, 12강, 25목, 50과, 104종이었다. 분류군별 출현종을 보면 연체동물이 3강, 69종(66.3%), 절지동물 3강, 17종 (16.3%) 이었다. 조간대의 구역별 종다양성에서는 하부조간대구역으로 내려갈수록 높았으며, 조사지점별 다양성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조간대 구역별 우점종의 수직분포는 상부조간대의 좁쌀무늬총알고둥 (N. exigua), 총알고둥 (L. brevicula), 거북손 (P. mitella mitella), 갈고 둥 (N. japonica), 중부조간대는 각시고둥 (M. neritoides), 눈알고둥 (L. coronata corensis), 갈고둥 (N. japonica) 그리고 하부 조간대구역은 배무래기 (N. schrenckii), 애기밤고둥 (O. nigerrimusa), 대수리 (P. clavigera), 밤고둥 (C. argyrostoma lischkei)의 순이었다. 9개 지점간 유사도는 높았으며 2개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는데 St. 1, St, 2, St. 4, St. 8, St. 9가 한 그룹, St. 3, St. 5, St. 6, St. 7이 같은 그룹이었으나 두 그룹간 차이는 크지 않았다.

  • PDF

제주 차귀도 연안역 저서 무척추동물의 출현과 계절별 변동 (Species Appearance and Seasonal Variation of Macrobenthic Invertebrate in the Coastal Water of Chagwi-do, Jeju-Island)

  • 양문호;문태석;유준택;고준철;장대수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5-243
    • /
    • 2007
  • 제주 바다목장조성지인 차귀도 주변해역의 저서 무척추동물에 대한 출현 및 계절적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고산, 용수, 용당, 신창의 4개 해역을 설정하여 2004년 9월과 11월 및 2005년 2월, 4월, 6월, 8월 등 모두 6 차례에 걸쳐 조사 분석을 하였다. 조사기간 중 총 201 종의 저서동물이 출현하였다. 연체동물이 74 종 (37.2%) 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중 복족류가 28.4%로 가장 우점 하였고, 절지동물 43 종 (19.2%), 자포동물 34 종 (16.7%) 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해역의 평균 개체밀도와 생물량은 각각 455 개체/$m^2$ (53.9%), 15,565.0g/$m^2$ (64.4%) 로 종류와 마찬가지로 연체동물이 개체수와 생체량에서 가장 높게 출현하였다. 주요 우점종은 Trochus sacellus, Batillus cornutus, Pagurus gracilipes, Cantharus cecillei의 복족류에서 높은 우점률을 보였다. 계절별 출현양상은 하계에 개체수 및 생체량이 증가하다 동계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종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의 해역별 변동을 보면 조사해역의 남쪽에 위치해 있는 고산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북쪽에 위치한 신창에서 가장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Characterization of macro-benthic fauna for ecological health status of the Fosu and Benya lagoons in coastal Ghana

  • Armah, Frederick A.;Ason, Benjamin;Luginaah, Isaac;Essandoh, Paul 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5권4호
    • /
    • pp.279-289
    • /
    • 2012
  •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the Fosu and Benya lagoons in Ghana, based on the anthropogenic effect on the two lagoons. Salinity, oxygen, temperature, conductivity, turbidity and pH were measured, invertebrate richness and species densities were determined. The AZTI Marine Biotic Index (AMBI) and multivariate statistics were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t responses of fauna to pollution. The fauna were categorized into five ecological groups based on the degree of tolerance of the different species to pollution: disturbance-sensitive species; disturbance-indifferent species, disturbance-tolerant species, second-order opportunistic species; and first-order opportunistic species. The Fosu Lagoon supported more pollution tolerant species, whereas the Benya Lagoon had more species that were sensitive to organic enrichment under relatively unpolluted conditions. Chironomus sp., which is adapted to virtually anoxic conditions,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Fosu Lagoon whereas Nemertea sp.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Benya Lagoon. The numerical and relative abundance (%) of all 7 taxa in the Fosu Lagoon was 1,359 and 92.35%, respectively. The numerical and relative abundance (%) of all 34 taxa in the Benya Lagoon was 2,459 and 87.52%, respectively. Expectedly, the level of dissolved oxygen in the less saline Fosu Lagoon was higher than that in the more saline Benya Lagoon. The reduced photoperiod and photosynthetic activities of aquatic plants might account for this trend. There is a need to implement comprehensive monitoring and management initiatives for sustaining the ecological health of coastal lagoons in Ghana in order to support the many people that depend upon these ecosystems for their liveliho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