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cro socio-economic facto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A Study on the Analysis of Attracting Factors for Global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 Kim, Moo-Soo;Lee, Chan-Hee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37-52
    • /
    • 2022
  •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motivates global FDI inflows in the different economic development level and to clarify the FDI motivation type in the level of qualitative economic growth. Design/methodology/approach - Major macroscopic social·economic factors induced FDI inflows were analyzed using fixed-effect panel regression with 30-year panel data of 28 countries from 1985 to 2014. For analysis in the stage of economic growth, two category of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was used. And to analyze FDI motivation type in the level of qualitative economic growth, 4 shares of GDP; consumption·government·investment expenditure and export, was used as explanatory variable. Findings - In developed country, TFP(total factor productivity) and GDP have a great influence on FDI inflows, and consumption and labor compensation have a slight effect.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market seeking-driven, horizontal type investment is shown along with efficiency seeking investment. In developing country, human capital and TFP is shown to have greater impact on FDI inflows and labor compensation, exports, investment and government expenditures also have impacts. Thus it has confirmed that not only efficiency-seeking vertical investment for using low cost well educated laborer, but also government-driven economic growth and export policies could affect the FDI inflow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FDI investment decision making of multinational companies is decided by their own purpose. But, in the concept of as follows; 1) FDI is a long-term capital flowing for maximization of economic utility with limited global resource, 2) Thus FDI could be affected by macro socio·economic factors of host country. 3) Also such macro factors is different by each economic growth qualitative level. Therefore macro socio·economic factors of each country could be affected by the qualitative level of their own economic growth. To attract FDI inflows,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differentiated incentive policies in the qualitative level of economic growth. Furthermore in developing countries it is recommended to implement government driven economic growth policies as follows; fostering well educated human resources, improving technology productivity in the relative lower cost labor market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and boosting international export volume.

해외직접투자 유입의 촉진 요인 분석 - 대륙별 개발도상국 거시 사회·경제변수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the Facilitating Factor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 Focusing on National Macro Socio-Economic Factors of Developing Countries by Continent -)

  • 김무수;이찬희
    • 무역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23-136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ilitating factors of FDI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in 15 developing countries of three continents (Asia, Latin America, and Africa) using fixed-effect panel regression analysis with 30-year macro socio-economic data. The facilitating factors of FDI inflows in each continent differed. In Asia, labor compensation, GDP, consumer expenditure, human capital, and export facilitated FDI inflows in decreasing order, as did export, total factor productivity, GDP, and human capital in Latin America, and investment expenditure, human capital, government expenditure, and export in Africa. Most importantly, the character of cost saving efficiency-seeking investment was very strong in Asia. Also, third-party export-oriented investment and economic growth-oriented investment were shown in Latin America and Africa, respectively.

세계 해외직접투자 유입 촉진에 관한 연구 -국가별 거시적 사회·경제 변수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cilitation Factors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s in the World - Focusing on national macro socio-economic Factors -)

  • 홍승기;김무수
    • 무역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47-67
    • /
    • 2018
  • 본 연구는 13개 선진국과 15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국가별 거시적 사회·경제 요인들이 해외직접투자의 유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국가 경제성장의 질적 수준 및 발전단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해외직접투자는 국제 생산의 효율성을 최적화 시킬 수 있는 곳으로 이동하는 국제장기자본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해외직접투자의 유입에는 기업의 내부 결정 요소 외 외부 요건인 국가별 투자 환경도 영향을 줄 것이다. 지난 30년간 국가별 거시적 사회·경제변수를 활용하여 고정효과 패널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에 유입되는 투자의 동기와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선진국의 경우 국내총생산, 소비지출과 재정지출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시장추구형 수평적 투자의 특성을 보였다. 반면, 개발도상국으로는 노동보상과 인적자본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성추구형 수직적 투자의 특성을 보였다.

  • PDF

도시 저소득층 밀집지역 거주가족의 인식된 이환에 관련되는 변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ables Related to Morbidity Perceived by Residents Lived in An Urban Poor Community)

  • 김공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3-38
    • /
    • 199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variables related to morbidity perceived by residents who lived in an urban poor community in Seoul city, to analyze correlation between varibles and morbidity, and to find out factors related to the morbidity. Chi-square test, t-test, Pearson's C. C., and factor analysis were employed in this study. The factors labelled by this study are family expenses, housing environment, consumption level, and health care. It may be concluded that a morbidity pattern in specific communicty is strongly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factors as we observe it at macro level. If the conclusion is acceptable, the health care system should pay attention to reducing the incidence itself through controlling socio-economic aspects of the community and should be reoriented. In this context, the primary health care approach which World Health Organization has advocated can be justified.

  • PDF

한·미 노인자살률의 비교 연구와 정책적 시사점 (A Comparative Study on Elderly Suicide Rat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nd Its Implications)

  • 김형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2호
    • /
    • pp.427-435
    • /
    • 2016
  • 노인자살률의 사회경제적인 요인에 대하여 다수 국가 간 비교분석은 있어도 우리나라와 특정 국가와의 집중적인 비교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OECD 국가의 일원으로서 노인자살률의 큰 격차를 보일뿐만 아니라 노인자살률 증감률의 정반대 양상을 보이고 있는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거시 사회 경제적 요인과 노인자살률과 어떠한 관련성을 지니는 지를 일차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지난 20년간(1990-2009)의 노인자살률과 사회구조적 요인간의 경향분석과 동시에 상관관계 분석을 활용하였다. 아울러 분석결과를 기초로 우리사회의 노인자살 예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언하고자 한다.

한류의 확대에 관한 문화산업적 분석 -일본에서의 한류를 중심으로- (Dynamics of Cultural Industries in the Spread of Korean Wave: The Case of Korean Wave in Japan)

  • 장원호;김익기;김지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95-707
    • /
    • 2012
  • 이 연구는 한류확산에 관한 기존의 내용분석적인 접근에 더하여 문화산업적인 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이를 논의하기 위한 사례로는 일본에서의 한류확산을 분석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한류의 제도화 측면에서 일본이 가장 두드러진 국가이기 때문이다. 현재 한류가 동아시아의 많은 국가에서 유행하고 있지만, 그것은 주로 특정 사회인구학적 집단, 대표적으로 젊은 여성 사이에서의 인기에 의존하는 바가 크다. 하지만 일본은, 모든 연령과 성별에 있어 한류가 고르게 인기를 얻고 있다는 점에서, 한류가 가장 제도화된 국가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먼저 일본에서 한류가 정착하고 확산될 수 있었던 중요한 배경요인으로 한국에서의 일본대중문화개방을 비롯한 한일 간의 활발한 문화산업 교류를 분석하였다. 그런 다음 한국과 일본의 문화산업적 배출요인과 흡입요인을 분석하였는데, 한국의 배출요인으로는 한국의 음반시장 축소와 방송시장 경쟁이 심화되는 과정을 논의하였고, 일본의 흡입요인으로는 상대적으로 견고한 음반시장과 위성방송출범과 관련된 방송산업의 재편을 분석하였다. 논문에서는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두 국가의 문화산업과 관련한 거시적 자료들을 제시하였다. 하지만, 제시한 자료들이 문화산업적 모델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히 포괄적이지 못하다는 점은 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거시적 자료만을 제시하고 있는데, 향후 이러한 거시적 자료중심의 분석에 더하여 실제 문화산업 종사자들의 상호작용을 포함한 미시적 분석이 보강될 필요가 있다.

  • PDF

4차 산업혁명 기반 한국 벤처기업의 SWOT요인에 대한 중요도 분석 (Analysis of the Weight of SWOT Factors of Korean Venture Companies Based on the Industry 4.0)

  • 이동익;이상석
    • 벤처창업연구
    • /
    • 제16권4호
    • /
    • pp.115-133
    • /
    • 2021
  • 본 연구는 그 동안 혼재되어 왔던 4차 산업 혁명의 개념과 관련 기술 들을 살펴보고 이로 인한 사회 경제적 변화와 영향 및 주요 국가의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사례를 검토 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벤처기업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한 SWOT 요인 도출 및 요인별 중요도 산출을 통해 정부 및 정책 입안자들에게 관련 정책 수립을 위한 방향 제시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나아가 한국벤처기업 들에게는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추진 방향을 제시하고 이후에 진행할 학문적 심층 연구를 위해서도 기초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해 4차 산업 관련 분야에서 한국 벤처기업의 내부 역량과 외부 환경 변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기존 문헌 탐구와 자료 조사를 통해 총 21개의 SWOT 요인을 도출하여 이를 업계, 학계, 정책전문가 그룹으로 구분하여 델파이 조사를 통해 확정하였다. 또한 이를 체계적 의사결정 기법인 AHP 기법으로 항목별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강점(48%)→기회(25%)→위협(16%)→약점(11%) 순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보여 주었으며 세부 항목별 중요도 분석 결과에서는 총 21개 세부항목 중 상위 3개 항목으로는 '신속하고 유연한 사업화 능력, '플랫폼·빅데이터·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ICT 인프라 구축 및 활용' 순으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하위 3개 항목으로는 '안정적인 거시 경제 및 SOC 기반', '세계적 보호무역 기조에 따른 해외시장 진출 어려움, '외국인 투자규모 절대 열세' 항목은 우선순위가 낮게 나타났다. 전문가 그룹별 견해 차이를 보기 위한 중요도 순위 검증 결과, 업계와 학계전문가는 상관관계가 높고 업계와 정책전문가는 중간 정도의 상관관계를 보여 큰 견해 차이가 없었으나 학계전문가와 정책전문가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p<0.01) 중요도에 대한 견해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는 정책전문가는 강점 항목인 '신속하고 유연한 사업화'와 기회 항목인 '우수한 교육시스템 및 고급인력 보유', '신시장 창출'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학계전문가는 강점 항목인 '정부 정책의 지원 부분'을 훨씬 중요하게 생각하는 차이에서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한국벤처기업이 4차 산업혁명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강점과 기회요인의 해당 항목 들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함을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학계와 정책전문가 사이에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강점 요인과 기회 요인의 세부 항목 차이는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