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LT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4초

Bisphenol A와 4-nonylphenol에 노출된 C. riparius (Diptera: Chiromidae)의 하순기절 기형성 (The Mentum Deformity of C. riparius Following Exposure to Bisphenol A and 4-nonylphenol)

  • 곽인실;이원철
    • 환경생물
    • /
    • 제25권1호
    • /
    • pp.66-71
    • /
    • 2007
  • 실내에서 사육된 C. riparius를 대상으로 내분비계 교란물질인 BPA와 4-nonylphenol을 처리하여 형태적인 변화를 살펴보았다. 약제에 노출된 개체의 하순기절은 부드러워지거나(smooth) 손실(loss)이 가장 많았다. 처리물질에 따른 기형의 정도를 살펴보면, BPA는 $31{\sim}90%$, 4-nonlyphenol은 $40{\sim}80%$의 범위를 보였다. BPA는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기형도 증가하였으나 4-nonylphenol은 노출농도 증가와 기형발생의 비례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처리 물질별 하순기절의 기형 부위를 살펴보면, MIX타입의 기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LT, MLT 타입의 기형이 나타났다. MLT에서는 부드러워지는 형태가 가장 많았고 LT에서는 teeth가 손실되는 loss 타입의 기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LT에서는 부드러워지는 마모와 손실이 복합적인 타입이 그 다음으로 빈번하였다. MIX는 부드러워지거나 손실 타입의 기형이 가장 다수 관찰되었다.

뽕잎발효차 제조에 따른 유효성분 분석과 품질특성 (Analyses of Active Component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Manufacturing of Fermented Mulberry Leaf (Morus alba) Tea)

  • 배만종;예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59-863
    • /
    • 2010
  •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유효성분을 분석하고 제품의 품질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뽕잎발효차가 4,022.82 mg/100 g, 뽕잎차가 3,932.32 mg/100 g으로 두 시료의 함량은 비슷하였고 녹차 및 황차에 함유된 양과 비슷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타민 C는 두 시료 모두 미량으로 분석되었다. 카페인의 함량은 뽕잎차가 5.68 mg/100 g, 뽕잎발효차가 21.11 mg/100 g으로 두 시료 모두 미량으로 분석되었다.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품질특성을 비교한 결과 색도 측정 시 a(적색도)값은 시료 간에 차이가 미미하였고, b(황색도)값은 뽕잎차가 뽕잎발효차보다 높았으며, L(명도)값은 뽕잎발효차가 뽕잎차보다 낮았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두 시료 모두 쓴맛과 떫은맛이 적었으며 뽕잎발효차가 구수한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가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발효를 통한 생리 활성 물질의 변화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제품개발에 응용하고 대중적인 면을 좀 더 개선한다면 새로운 기능성소재 및 제품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내분비교란 물질에 노출된 C. plumosus (장수깔따구)의 하순기절 기형성 (The Mentum Deformity of C. plumosus Following Exposure to Endocrine Disruption Chemicals)

  • 이원철;곽인실
    • 생태와환경
    • /
    • 제38권1호통권110호
    • /
    • pp.11-17
    • /
    • 2005
  • 야외에서 채집한 C. plumosus를 대상으로 잠재적 내 분비계 교란물질인 DEHP, BPA 및 Tebufenozide를 처리물질로 하여 형태적인 교란 효과를 살펴보았다. 약제에 노출된 개체의 하순기절은 부드러워지거나(smooth) 손실(loss)이 가장 많았으며 엷은 갈색을 보였다. 처리 물질에 따른 기형의 정도를 살펴보면, DEHP는 46.2 ${\sim}$ 85.7%, BPA는 73.7 ${\sim}$ 90.9% 그리고 tebufenozide는 57.6 ${\sim}$ 78.9%가 기형을 입어 BPA>tebufenozide>DEHP 순으로 기형이 크게 나타났다. 처리 물질별 기형 부위를 살펴보면, MIX (32 ${\sim}$ 46%)>MLT (25 ${\sim}$ 34%)>LT (3 ${\sim}$ 7%)로 두 부분이 함께 기형을 입는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LT 단독의 기형이 가장 적었다. MIX 형태로 기형이 가장 높은 물질은 BPA (46%)>DEHP (33%)>tebufenozide (32%)이고, MLT에 가장 높은 기형을 보인 것은 DEHP (34%)>tebufenozide (31%)>BPA (25%)로 나타났다. Tebufenozide 처리에 따른 하순기절의 색은 처리 농도가 높아지면 엷은 갈색 하순기절의 발생 빈도가 증가되었다 (27.8 ${\sim}$ 84.2%). 반면, BPA (8.7%)와 DEHP (18.2%)는 $1\;{\mu}g\;L^{-1}$에서 가장 낮은 엷은 갈색의 하순기절의 발생 빈도를 보였으나 $0.3\;{\mu}g\;L^{-1}$처리에서는 매우 높은 엷은 갈색의 하순기절이 다수 발생하였다 (BPA 52.6%; DEHP 30.8%).

다중정착 지반앵커의 하중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ulti load transfer ground anchor system)

  • 김지호;정현식;권오엽;신종호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25-5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앵커의 대표적 유형인 인장형 앵커와 압축형 앵커, 최근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다중정착 지반앵커의 지반 내 거동을 비교, 분석하여 그 적용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형모형실험과 현장시험을 통하여 앵커 유형별 하중-전단응력 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수치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검토결과 앵커 유형에 따른 하중과 지반강도, 전단응력의 관계를 규명할 수 있었으며, MLT 앵커는 인장형 앵커에 비해 1.3배, 압축형 앵커에 비해 1.5배의 인발저항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다양한 지반조건에서 확장하여 적용할 경우 지반조건에 따른 앵커 유형별로 적용이 가능한 최대 인발 저항력을 제안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지반앵커의 설계 및 시공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LARGE-SCALE VERSUS EDDY EFFECTS CONTROLLING THE INTERANNUAL VARIATION OF MIXED LAYER TEMPERATURE OVER THE NINO3 REGION

  • Kim, Seung-Bum;Lee, Tong;Fukumori, Ichir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21-24
    • /
    • 2006
  • Processes controlling the interannual variation of mixed layer temperature (MLT) averaged over the NINO3 domain ($150-90^{\circ}W$, $5^{\circ}N-5^{\circ}S$) are studied using an ocean data assimilation product that covers the period of 1993 to 2003. Advective tendencies are estimated here as the temperature fluxes through the domain's boundaries, with the boundary temperature referenced to the domain-averaged temperature to remove the dependence on temperature scale. The overall balance is such that surface heat flux opposes the MLT change but horizontal advection and subsurface processes assist the change. The zonal advective tendency is caused primarily by large-scale advection of warm-pool water through the western boundary of the domain. The meridional advective tendency is contributed mostly by Ekman current advecting large-scale temperature anomalies though the southern boundary of the domain. Unlike many previous studies, we explicitly evaluate the subsurface processes that consist of vertical mixing and entrainment. In particular, a rigorous method to estimate entrainment allows an exact budget closure. The vertical mixing across the mixed layer (ML) base has a contribution in phase with the MLT change. The entrainment tendency due to temporal change in ML depth is negligible comparing to other subsurface processes. The entrainment tendency by vertical advection across the ML base is dominated by large-scale changes in wind-driven upwelling and temperature of upwelling water. Tropical instability waves (TIWs) result in smaller-scale vertical advection that warms the domain during La Ni? cooling events. When the advective tendencies are evaluated by spatially averaging the conventional local advective tendencies of temperature, the apparent effects of currents with spatial scales smaller than the domain (such as TIWs) become very important as they redistribute heat within the NINO3 domain. However, such internal redistribution of heat does not represent external processes that control the domain-averaged MLT.

  • PDF

가을철 대한해협 표면혼합층의 단기변화 (Short-term Variation of the Mixed Layer in the Korea Strait in Autumn)

  • 장찬주;김구;심태보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12-521
    • /
    • 1995
  • 표면혼합층의 단기(2시간~24시간)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대한해협의 한 정점에 서 1983년 10월 12일에서 10월 14일까지 48시간 동안 주로 1시간 간격으로 해양과 기 상에 대한 관측을 실시하였다. 표면혼합층의 깊이와 수온을 시간당 변동률이 평균적으 로 각각 5.2 m/hour, 0.2$^{\circ}C$/hour로 해표면에서의 바람 응력, 부력속과의 상관관계가 매우 적다. 표면 혼합층은 표면혼합층의 수온와 염분이 높을 때 깊고, 낮을 때 얕다. 한편, 표면혼합층 수온의 급격한 하강 또는 상승이 관측되었다. 인공위성 자료와 XBT 자료 분석에 의하면 표면혼합층 수온의 급격한 상승은 고온의 해수의 이류에 의한 일 어남을 알 수 있었다. 위의 결과들은 해류가 비교적 강하고 해수물성이 서로 다른 수 괴가 존재하는 가을철 대한해협에서는 해수의 이류가 표면혼합층의 단기변화에 크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 PDF

Local time dependent Pi2 frequencies observed by THEMIS spacecraft near dawn and dusk in the inner magnetosphere

  • 김관혁;권혁진;이동훈;이은상
    • 천문학회보
    • /
    • 제35권2호
    • /
    • pp.51.1-51.1
    • /
    • 2010
  • We report an example of Pi2 pulsation exhibiting different frequency between dawn and dusk. This Pi2 pulsation occurred around 1932 UT on February 14, 2008, and was observed at low-latitude Bohyun (BOH, L = 1.35, MLT = 3.8) and Hermanus (HER, L = 1.83, MLT = 20.1) stations. The pulsation starts simultaneously at both stations but the frequency is higher at BOH than at HER. At the time of the Pi2, THEMIS-A (THA) and THEMIS-D (THD) were on dawn (L = 2.9, MLT = 5.3) and dusk (L = 2.8, MLT = 18), respectively, in the inner magnetosphere. We find a nearly identical waveform and period between THA ${\delta}Bz$ and BOH ${\delta}H$ and between THD ${\delta}Bz$ and HER ${\delta}H$ with a near $0^{\circ}$ phase delay. This observation implies that Pi2-associated fastmode wave in the inner magnetosphere is not excited globally as a single frequency at all longitudes. We suggest that the different frequency between dawn and dusk is due to dawn-dusk asymmetry of the plasmasphere.

  • PDF

뽕잎발효차 제조에 따른 in vivo 상에서의 S-180 항암 및 항알레르기 효과 (Anti-allergy Activity and in vivo for S-180 Solid Anti-cancer Effects in Manufacturing Fermented Mulberry Leaf Tea)

  • 예은주;이성태;배만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37-342
    • /
    • 2010
  •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 추출물의 S-180 고형암, 항알레르기 활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in vivo 상에서 S-180 고형암 억제 효과는 뽕잎차에서 16.67%, 뽕잎발효차에서 17.78%로 나타났다.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를 검증한 결과 두 군 모두 에탄올 추출물보다 열수 추출물이 히스타민 분비 억제에 더 효과적이었고, HMC-1의 염증성 cytokine을 측정한 결과 추출물 군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염증성 cytokine의 억제율이 더 높았고 뽕잎발효차군이 뽕잎차군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다. 뽕잎발효차 추출물의 기능성이 더 우수한 것은 발효를 통해 생리활성 물질이 생성된 것이 원인으로 사료되며 이 점에 있어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Morningside Pi2 Pulsation Observed in Space and on the Ground

  • Ghamry, Essam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2권4호
    • /
    • pp.305-310
    • /
    • 2015
  • In this study, we examined a morningside Pi2 pulsation, with a non-substorm signature, that occurred in very quiet geomagnetic conditions (Kp = 0) at 05:38 UT on December 8, 2012, using data obtained by Van Allen Probes A and B (VAP-A and VAP-B, respectively) and at a ground station. Using 1 sec resolution vector magnetic field data, we measured the X-component of the pulsation from the Abu Simbel ground station (L = 1.07, LT = UT +2 hr, where LT represents local time) in Egypt. At the time of the Pi2 event, Abu Simbel and VAP-A (L = 3.3) were in the morning sector (07:38 LT and 07:59 MLT, respectively, where MLT represents magnetic local time), and VAP-B was in the postmidnight sector (04:18 MLT and L = 5.7). VAP-A and VAP-B observed oscillations in the compressional magnetic field component (Bz), which were in close agreement with the X-component measurements of the Pi2 pulsation that were made at Abu Simbel. The oscillations observed by the satellites and on the ground were in phase. Thus, we concluded that the observed morningside Pi2 pulsation was caused by the cavity resonance mode rather than by ionospheric current systems.

오로라 제트전류에 대한 전기장과 전기전도도의 상대적 기여도 (THE RELATIVE CONTRIBUTIONS OF ELECTRIC FIELD AND IONOSPHERIC CONDUCTANCE TO THE AURORAL ELECTROJETS)

  • 조은아;안병호;문용재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7권1호
    • /
    • pp.87-98
    • /
    • 2000
  • 오로라 제트전류에 영향을 미치는 전기장과 전기전도도의 상대적인 기여도를 조사했다. 이 목적 을 위해서 국제자기권연구 (IMS) 기간인 1978년 3월 17-19일 사이에 관측된 지자기변화자료를 이용했다. Allen & Kroehl (1975)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AU 및 AL 지수를 정의하였다. 이들은 각각 $1500\leq MLT\leq1800$$0000\leq MLT\leq0300$ 구간에 위치한 AE 관측소의 지자기변화자료를 이용해 작성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정의된 지수로부터 동향 및 서향제트전류의 전류밀도를 계산했다. 저녁영역의 전기전도도는 태양의 EUV 복사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고 AU 지수에 기여하는 전기장의 분포를 추정하였다. 나아가 저녁과 새벽영역의 전기장분포가 거의 같다는 관측사실로부터 AL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하강오로라입자에 의한 Hall 천기전도도분포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했다. 이렇게 얻어진 전기장 및 전기전도도분포는 각각 AU 및 AL 지수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것은 AU 및 AL 지수가 각각 직접가동 및 저장-방충과정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