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L

검색결과 15,442건 처리시간 0.033초

한강유역의 수중미생물 오염도 조사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Water in Han River basin)

  • 최한영;박정오
    • 환경위생공학
    • /
    • 제4권2호
    • /
    • pp.47-59
    • /
    • 198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bacteriological contamination of water in Han river, the survey was carried out in eight reservoirs of Seoul water supply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to December in 1985. 1. The counts by means of total bacteria in eight reservoirs by standard plate count method were as follows: $7.7\times10^2$ per ml in Paldang reservior, $9.6\times10^3$ per ml in Gueiri, $8.4\times10^4$ per ml in Doogdo, $1.6\times10^6$ per ml in Bogwang, $2.5\times10^6$ per ml in Noryangjin, $2.2\times10^6$per ml in Seon yoo, $5.9\times10^6$ per ml in Yungdeungpo and $1.9\times10^7$per ml in Gayang. 2. The average counts of total coliform in eight reservoirs by MPN method were as follows : $2.4\times10$ per 100 ml in Paldang, $5.6\times10^2$ per 100 ml in Gueiri, $2.3\times10^3$ per 100 ml in Doogdo, $5.1\times10^4$ per 100 ml in Noryang-jin, $1.2\times10^5$ per 100 ml in Bogwang, $6.2\times10^4$ per 100 ml in Seonyoo, $1.1\times10^5$ per 100 ml in Yungdeungpo and $2.8\times10^5$ per 100 ml Gayang. 3. The counts by means of fecal coliform in eight reservoirs by MPN method were as follows : non detection per 100 ml in Paldang, 5.2 per 100 ml in Gueiri, $1.2\times10^2$ per 100 ml in Doogdo, $1.6\times10^3$ per 100ml in Bogwang, $2.0\times10^3$per 100ml in Noryangjin, $6.6\times10^2$ per 100ml in Seonyoo, $1.2\times10^3$ per 100 ml in Yungdeungpo and $2.5\times10^3$per 100 ml in Gayang. 4. The counts by means of fecal streptococci in eight reservoirs by MPN method were as follows: non detection per 100 ml in Paldang and Gueiri, $6.9\times10$ per 100 ml in Doogdo, $3.2\times10^2$ 102 per 100 ml in Bogwang, $2.9\times10^2$ per 100 ml in Noryangjin, $3.0\times10^2$ per 100 ml in Seonyoo, $4.0\times10^2$ per 100 ml in Yungdeungpo and $14\times10^3$ per 100 ml in Gayang. 5. The counts means of pseudomonas aeruginosa in eight reservoirs by MPN method were as follows; non detection per 100 ml in Paldang, 2.4 per 100 ml in Gueiri, $1.5\times10$ per 100 ml in Doogdo, $2.0\times10$ per 100ml in Bogwang,$6.2\times10$ per 100mI in Noryangjin, $2.1\times10$ per 100ml in Seonyoo, $6.4\times10$ per 100mI in Yungdeungpo and $7.1\times10$ per 100ml in Gaynag.

  • PDF

Candida albicans의 Amphotericin B 및 Ketoconazole에 대한 감수성과 성장기와의 상호관계 (Growth Phase in Relation to Amphotericin B and Ketoconazole Susceptibilities of Candida albicans)

  • 고춘명;김수기
    • 대한미생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35-443
    • /
    • 1987
  • A total of 30 strains of Candida albicans were examined for susceptibility to amphotericin B and ketoconazole using Sabouraud's dextrose broth, Kimmig broth and Supplemented yeast nitrogen base broth media. Furthermore, the growth curve and colony forming units were checked for use of stationary-phase cells and 2-hour incubation cells in the absence of atifungal agents. The viable counts were determined periodically during incubation by standard plate count techniques.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of amphotericin B for use of stationary phase cells were as follows: SDB, $0.09{\sim}0.97mcg/ml$(0.39mcg/ml); Kimmig broth, $0.19{\sim}0.39mcg/ml$(0.42 mcg/ml) and SYNB, $0.19{\sim}0.39mcg/ml$mcg/ml(0.23mcg/ml). In ketoconazole, MICs were value SDB, $3.12{\sim}25.0mcg/ml$(12.5mcg/ml); Kimmig broth, $12.5{\sim}25.0mcg/ml$ (22.5mcg/ml) and SYNB, $3.12{\sim}12.5mcg/ml$(6.71mcg/ml). The MICs of amphotericin B(0.2mcg/ml cone.) for use of 2-hour incubation cells in absence of AMB were, SDB, $0.04{\sim}0.39mcg/ml$(0.11mcg/ml); Kimmig broth, $0.09{\sim}0.39mcg/ml$(0.18mcg/ml) and SYNB, $0.09{\sim}0.19mcg/ml$(0.14mcg/ml) and in KTZ, the value of MICs were SDB, $3.12{\sim}25.0mcg/ml$(12.22mcg/ml); Kimmig broth, $0.78{\sim}25.0mcg/ml$(11.01mcg/ml) and SYNB, $1.56{\sim}12.5mcg/ml$(3.90mcg/ml). The two-log reductions in CFU per milliliter observed when 2 hour preincubation cells were treated with 0.2mcg/concentrations of AMB and 25.0mcg/ml of KTZ. However, AMB treated cells were restored to growth activity, it suggested that the AMB has no active antifungal activity.

  • PDF

부산시내 약수터의 세균학적 수질 (Bacteriological quality of ground water in Pusan area)

  • 김용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31-36
    • /
    • 1983
  • 부산시내에 산재하고 있는 70여개소의 약수터중 11개소를 선정하여 이들의 수질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1년 10월부터 1982년 9월까지 132개 시료를 취하여 대장균군, 분편계대장균, 일반생균수 및 대장균군의 조성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1개소의 대장균군 최확수의 중앙치는 구포가 93/100ml로 제일 높았고, 수영, 연산동, 성지곡이 68/100ml 우동과 대신동이 59/100ml, 전포동, 망미동은 43/100ml 영도, 동래가 33/100ml그리고 감만동이 13.3/100ml로 제일 낮았으며 이들 중 6개소가 50/100ml 이상이었다. 2. 분편계대장균 최확수의 중앙치는 영도가 12.1/100ml으로 제일 불결하였고, 수영을 비롯한 8개소는 9.1/100ml, 우동은 6.4/100ml이었으며 감만동이 제일 깨끗하였다. 3. IMViC 반응에 의한 대장균군의 조성은 Escherichia coli group이 $7.64\%$, Klebsiella aerogenes group이 $16.78\%$, Citrobacter freundii group이 $42.86\%$, 기타가 $32.72\%$로 나타났었다. 4. 일반생균수의 중앙치는 $48{\sim}4.4{\times10}^2/ml$의 넓은 분포로서 보사부(1963)의 수질기준에 절반 지역이 초과되었다.

  • PDF

수유기간의 경과에 따른 모유 중 무기질 함량 변화 (On the Chance of Mineral Content in Human Milk)

  • 전예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4-89
    • /
    • 1992
  • Concentrations of major minerals(Ca, p, Na, K, Mg) and trace elements (Fe, Zn) were measured in human milk samples collected from 19 selected, healthy lactating women at 2~5 days, and at 4, 8 and 12 weeks postpartum. Decreases in the contents of m) or minerals and trace elements were found with the increase of time postpartum. Mean Ca contents of 2~5 days, 4 week, 8 week and 12 week in human milk were 243.02$\pm$50.90ug/ml, 295.0$\pm$65.70ug/ml, 295.0$\pm$41.50ug/ml, 349.90$\pm$83.50ug/ml, respectively And mean P contents of 2~5 days, 4 week, 8 week and 12 week in human milk were 134.70$\pm$49.4ug/ml, 134.90$\pm$19.70ug/ml, 117.60$\pm$18.90ug/ml, 130.60$\pm$28.20ug/ml, respectively. Ca/P of them were 1.81, 2.19, 2.20, 2.68, respectively. Mean Mg contents of them were 22.30$\pm$5.60ug/ml, 25.70$\pm$3.70ug/ml, 25.10$\pm$3.60ug/ml, 32.10$\pm$4.50ug/ml, respectively. And mean Na contents of them were 171.20$\pm$90.50ug/ml, 158.70$\pm$47.00ug/ml, 104.50$\pm$24.70ug/ml, 115.90$\pm$12.50ug/ml, respectively. Mean K contents of them were 506.10$\pm$156.10ug/ml, 520.90$\pm$55.00ug/ml, 370.10$\pm$29.00ug/ml, 468.40$\pm$75.70ug/ml, respectively. Na/K of them were 0.34, 0.30, 0.28, 0.25, respectively. Mean Fe contents of them were 2.80$\pm$1.80ug/ml, 2.70$\pm$0.40ug/ml, 2.60$\pm$0.40ug/ml, 2.10$\pm$0.10ug/ml, respectively. And mean Zn contents of them were 3.70$\pm$1.60ug/ml, 2.78$\pm$9.70ug/ml, 2.70$\pm$0.70ug/ml, 2.30$\pm$0.20ug/ml, respectively, These determinations will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variability of major minerals and trace elements as lactation proceeds and on the composition of components between term and preterm milk.

  • PDF

염화칼슘 처리에 의한 엘크 암사슴의 뿔 발생 유도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Induction of Antlerogenesis by Calcium Chloride Treatment in Female Elk Deer)

  • 김상우;이승수;최순호;상병돈;김영근;상병찬;서길웅;문상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279-284
    • /
    • 2008
  • 본 연구는 자연 상태로는 뿔이 발생하지 않는 암사슴에서 인공적으로 뿔 발생을 유도하기 위하여 동물의 조직을 괴사시키는데 사용되는 CaCl2 용액을 뿔 발생 예정부위인 좌우 양측 두개 골막에 주사하여 뿔 발생 여부 및 CaCl2 농도와 주사량이 뿔 발생 유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공시축은 엘크 암사슴 5두이다. 엘크 암사슴에 15%용액 2ml 및 3ml를 처리한 시험구에서는 육경과 뿔 발생이 모두 유도되지 않았으며, 15%용액 4ml 처리구와, 30%용액 1.5ml, 2ml, 3ml구 및 50%용액 1ml, 2ml 구에서는 육경과 뿔 발생이 모두 유도되었다. 뿔 생산량은 30%용액 1.5ml 처리구에서 1,290g로 가장 많았으며, 주사량이 증가할수록 뿔 생산량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발생한 가지수는 15%용액 4ml 처리구는 2개, 30%용액 1.5ml, 2ml 및 3ml 처리구는 각각 5개, 2.3개 및 1개였으며, 50%용액 1ml 및 2ml 처리구는 각각 3개 및 1개로 농도 및 주사량과 가지수는 관련이 없었다. 오히려 초기 가지수의 발생은 주사 횟수 및 주사방법의 차이에 의한 상처부위의 모양에 따라 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30% CaCl2 용액이 엘크 암사슴의 육경 및 뿔 발생과 그 생산량 및 가지수에 가장 적합한 농도였다.

溶媒抽出-矩形波폴라로그래피에의 물중의 미량 구리, 납, 카드뮴 및 아연의 定量 (Determination of a Trace Amount of Copper, Lead, Cadmium and Zinc in Water by Solvent Extraction and Square Wave Polarography)

  • 문수찬
    • 대한화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72-378
    • /
    • 1977
  • 물 중에 ppb 程度로 존재하는 구리, 납, 카드뮴 및 아연을 定量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두가지 分析法을 開發하여 검토하였다. (A) 試料水 500ml에 pH 10인 시트로산암모늄 10ml 및 1${\%}$ DDTCml를 加하여 10ml의 클로로포름으로 세번 抽出하여, 분리된 有機層에 10ml의 0.05N $HCl-4{\times}10^{-4}mol/l\;HgCl_2$로서 逆抽出을 한 후, 水層에 2N KCl 2ml 를 加하고 10ml의 클로로포름으로 두번 씻은 다음 矩形波폴라로그램을 기록한다. (B) 試料水 500ml에 1${\%}$ oxine 2ml를 加하여 pH 10에서 10ml의 클로로포름으로 3回 抽出한다. 분리한 有機層을 0.20 N HCl 10ml로서 逆抽出하여 바로 폴라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分析法으로 ppb程度의 구리, 납, 카드뮴 및 아연이온을 相對誤差 10${\%}$ 이내에서 定量이 可能하였으며 (B) 方法은 아연의 定量이 不可能하였다.

  • PDF

점적 양액공급에 있어서 모세관 현상의 이용 (Pratical Use of Capillarity in Nutrient Solution Trickle Supply)

  • 장전익;김우일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99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논문 발표요지
    • /
    • pp.122-127
    • /
    • 1998
  • (1) 급액천의 규격별 양액공급량 $\bigcirc$ 합섬(비스코스+레이온) : 시간당 소(12.6ml), 중(21.2ml), 대(57.5ml)의 순으로 유입되었으며 중과 대의 급액천의 유입은 거의 같아 급액천의 규격간에 공급량은 비례하지 않았다. $\bigcirc$ 합섬(폴리에스텔) : 소(4.3ml), 중(20ml), 대(57.5ml)순으로 양액이 유출되었으며, $\bigcirc$ 합섬(인견) : 소(2.9ml), 중(23.7ml), 대(32.3ml)순으로 유입되었으나 소(급액천)의 유출량은 적어 급액천 재질로서 부적합하다고 생각되었으며, $\bigcirc$ 실(cotton) : 소(0.2ml), 중(3.0ml), 대(2.7ml)순으로 규격간에 유입은 차이가 없었으며 전체적으로 유출이 적어 급액천으로서는 부적합하였다. (2) 배지의 규격(종류)별 양액의 유입량 $\bigcirc$ 송이(Ф6.0mm~12.0mm이상) : 배지의 입자가 굵은 배지일수록 급액초기 1~2시간이 유입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일정한 량을 보였으며 유입량은 다른 배지에 비하여 많았고 급액천의 규격이 클수록 유입되는 량이 많았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bigcirc$ 송이(Ф1~5mm) : 합섬A(비스코스+레이온)과 합섬B(폴리에스텔)에서는 시간당 15.0~50.1ml가 유입되었으나 합섬C(인견)과 실에서는 시간당 10ml이하로 토출량이 적었다. $\bigcirc$ 송이(Ф1~12mm) : 합섬A와 합섬B 급액천에서는 17.0~53.8ml가 유입되었으나 합섬C와 실에서는 시간당 평균 4.0~21.2ml가 흘러나와 배지의 공극이 일정하지 않아 시간당 통과하는 양이 일정하지 않았다고 생각되었다. $\bigcirc$ 펄라이트 : 합섬A(비스코스+레이온)급액천의 유입은 소(1$\times$60cm)에서 21.8ml, 중(2$\times$60cm) 33.5ml, 대(3$\times$60cm) 43.4ml가 통과되었고 합섬(폴리에스텔)에서는 19.0~30.7ml로서 급액천의 규격에 따라 통과되는 차이가 있었다. 배지가 규격화되어 있어 급액천의 규격별로 일정하게 유입되었으며 급액천의 재질이 유입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었다. (2) 급액관과 베드상과의 높이에 따른 유출양 : 급액과 베드상과의 낙차가 클수록 유출이 증가함을 알수 있었으나 합섬C(인견)실험구에서는 낙차가 유출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급액된 양액의 EC 및 pH조사 : 급액된 양액의 EC 및 pH에 전혀 변화가 없어 재배 적응에 문제가 없을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벼흰빛잎마름병 저항성 근동질유전자계통 혼합재배에서 이병정도 (Disease Severity of Bacterial Blight in Mixed Plantings of Rice Near-Isogenic Lines)

  • 신문식;오명규;남정권;김기영;이재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39-141
    • /
    • 2003
  • 벼흰잎마름병 방제를 위해 multiline품종을 이용할 경우 가장 이상적인 이병성과 저항성 혼합조합을 찾고자 저항성유전자가 서로 다른 근동질유전자 계통을 이용한 7개 혼합집단의 흰 잎마름병 발병정도, 등숙비율 및 쌀수량에 대하여 그들 혼합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의 평균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7개 혼합집단 즉 ML01, ML02, ML03, MLl2, MLl3, ML23 및 ML0123중에서 ML01과 ML02는 그들 구성 요소의 평균과 발병정도, 등숙비율 및 쌀수량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그나머지 혼합집단들은 그들 구성요소의 평균보다 발병정도는 낮았고 등숙비율과 쌀수량은 높았다. 2 Xa3를 가진 HRl1397계통이 혼합된 집단 즉 ML03, MLl3, ML23 및 ML0123이 발병정도도 낮고 쌀수량도 높아 HR11397이 우수한 계통으로 보여진다. 3. 병전파 지연, 병원균집단의 안정화 및 품종의 단인자 저항성 수명 연장을 위한 바람직한 혼합집단 모형은 ML03, MLl3, ML23 및 ML0123이 우수한 것으로 보여진다

세 가지의 ESBL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Klebsiella pneumoniae의 유전자접합체와 헝질전환체의 항생제내성분석 (Analysis of Antibiotic Resistant Patterns in Conjugant and Transformant of Three ESBL gene Harboring Klebsiella pneumoniae)

  • 김윤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426-1433
    • /
    • 2007
  • 우리는 ESBL 유전자를 포함하는 세균의 항생제 내성 패턴을 조사하기 위해서 부산에 있는 임상실험실로부터 Klebsiella pneumoniae 한 균주를 수집하였다. 그 세균은 이중 디스크 확산법에 의해 ESBL을 생성하는 Klebsiella pneumoniae라는 것이 밝혀졌고 PCR과 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세 가지의 ESBL gene (TEM-1, SHV-12, CTX-M-15)이 포함되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그 세 가지 유전자의 특징을 알아내기 위해서 우리는 이 균주로부터 교차접합시험, 형질전환시험, 클로닝(SHV-12 gene)등을 이용하여 재조합균주를 배양하였다. 이렇게 각기 재조합된 균주들을 한천평판희석법을 이용하여 3세대 cephalosporin 항생제 (ceftazidime, cefotaxime, ceftriaxone)에 대한 최소억제농도의 측정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Klebsiella pneumoniae (NO. 60031)의 MIC는 ceftazidime ($30\;{\mu}g/ml)$, cefotaxime ($30\;{\mu}g/ml$), ceftriaxone ($30\;{\mu}g/ml$)이 각각 ${\geq}256\;{\mu}g/ml,\;128\;{\mu}g/ml,\;128\;{\mu}g/ml$이었고, E. coli $RG176^{Na(r)}$에 교차접합 시킨 conjugant 균주의 MIC는 ceftazidime, cefotaxime, ceftriaxone이 각각 ${\geq}256\;{\mu}g/ml,\;64\;{\mu}g/ml,\;128\;{\mu}g/ml$이었다. E. coli $DH5{\alpha}$에 형질전환 시킨 transformant 균주의 MIC는 ceftazidime, cefotaxime, ceftriaxone이 각각 $128\;{\mu}g/ml,\;32\;{\mu}g/ml,\;32\;{\mu}g/ml$를 나타내었고, SHV-12 gene 만을 분리하여 E. coli $DH5{\alpha}$에 클로닝 시킨 균주는 ceftazidime, cefotaxime, ceftriaxone이 각각 $128\;{\mu}g/ml,\;8\;{\mu}g/ml,\;32\;{\mu}g/ml$을 나타내었다. 결국 conjugant 균주와 transformant 균주는 세 가지의 내성유전자를 가졌다는 공통점은 있으나 conjugant 균주의 MIC가 transformant 균주의 MIC보다 높게 나타나는 차이점을 보였다. 또한 SHV-12 gene 만을 분리하여 E. coli $DH5{\alpha}$에 클로닝 시킨 균주는 ceftazidime, ceftriaxone에 내성을 발현하였지만 cefotaxime에 대해서는 내성을 발현하지 않았다.

디지털 DTV전송을 위한 422P@ML 트랜스부호화기 개발 (MPEG-2 422P@ML Transcoder for Digital TV Transmission)

  • 박구만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31-13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MPEG-2 422P@ML로 부호화된 비트스트림을 MP@ML로 트랜스부호화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한 부호화기 구조를 제안하였다. 422@ML 프로파일의 특징과 트랜스부호화기의 요구 사항 등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안한 트랜스 부호화기의 모델에 적용하였다. 422@ML은 다양한 GOP 구조를 허용하기 때문에, 트랜스 부호화기는 영상을 복원한 후 움직임 추정을 다시 해야 하는 구조를 포함하고, 비트율 제어도 기존의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를 제안하였다. 모의 실험을 통해 트랜스부호화 결과가 MP@ML로 직접 부호화한 결과와 거의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