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N-6

검색결과 29,432건 처리시간 0.052초

개에서 Propofol 점적투여율 변화에 따른 마취효과 (Comparative Anesthetic Effect as Propofol Infusion Rate During Maintenance of Anesthesia in Dog)

  • 장광호;임재현;장인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9-120
    • /
    • 2000
  • To evaluate anesthetic effecto of propofol infusion after premedication with xylazine, 20 days were randomly assigned 4 groups. Propofol was infused (group 1: 0.2 mg/kg/min, group 2 : 0.4 mg/kg/min, group 3 : 0.6 mg/kg/min, group 4 : 0.8 mg/kg/min) for a period of 90 minute immediately after premedication with xylazine(1 mg/kg) and atropine(0.05mg/kg) under oxygen supplementation. Induction of anesthesia was rapid and smooth providing satisfactory conditions for intubation in all the dogs. No vomiting and cyanosis were observed after induction and during propofol infustion. There was pain reflex in group 1 but not in group 3 and 4. Mean arousal times (mins) were $6.18{\pm}3.65(group 1), 13.07{\pm}5.05(group 2), 22.06{\pm}6.48(group 3) and 23.33{\pm}9.28 (group 4) and Mean walking times were 16.20{\pm}6.15(group 1), 15.80{\pm}4.73(group 2), 28.27{\pm}7.55 (group 3), 39.10{\pm}13.75$ (group 4) respectively. In group 4, body temperature during total infusion period in group 3, 4. Hematologic values (WBC, RBC, PCV) and serum chemistry values(ALT, AST, BUN, creatinite) were monitored before anesthesia, 1 hour and 1 day after termination of infusion postanestesia. No significant changes were monitored in all experimental group. Although propofol infusions of 0.2 mg/kg/min and 0.4mg/kg/min were considered too low to maintain a suitable depth of anesthesia, but that of 0.6mg/kg/min were considered too low to maintain a suitable depth of anesthesia, but that of 0.6mg/kg/min proper to provide a light planes for minor surgical procedure during 90 minutes with xylazine premedication.

  • PDF

산불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임지내 산림연료와 경사도에 관한 연구 (Slope and Forest Fuel Effect on Spreading of Forest Fire)

  • 채희문;이찬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9-184
    • /
    • 2003
  • 산불 확산에 미치는 인자들 중 임지내의 삼림연료의 무게와 두께, 임지의 경사도의 관계에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임지내의 경사도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는 경사가 높아지면 질수록 산불의 확산 속도는 빠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경사 15%와 비교하여 30%, 45%, 50%의 경사는 30%일 때 약 1.5배 증가 추세를 보이고, 45%일 때는 6.8배 정도의 산불확산 속도가 증가, 경사 50%일 때는 13.7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연료의 두께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는 연료두께 2cm일 때 산불의 평균확산속도는 42m/min, 3 cm는 11m/min, 4cm는 6m/min, 5cm는 9m/min, 6cm는 6.6m/min로 나타났다. 산림연료의 두께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는 연료의 무게 0.1kg/$m^2$의 경우 산불의 평균 확산속도는 22.4m/min, 0.15kg/$m^2$의 경우 9.4m/min, 0.2kg/$m^2$의 경우 6.5m/min로 나타났다. 연료 무게의 경우는 경사도와 유사하게 무게의 크기에 따라 산불의 확산 속도가 좌우된다고 볼 수 있으며 이들 3가지 인자와 산불의 확산과의 관계를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사도가 가장 영향을 미치며, 다음으로 연료의 무게이며, 지피물의 두께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형성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연구된 산불 확산 속도는 산림미세연료 (임지에 있어서 지피물)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식생분포와 산불의 확산속도와의 관계를 제외하였다. 보다 정밀한 확산속도를 예측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알맞은 지형조건과 풍향조건의 인자들을 분석하여 산불의 확산속도를 예측하는 model을 구성할 필요가 있다.

수소 분위기에서 고 에너지 볼 밀링으로 제조한 80Mg+14Ni+6TaF5합금의 수소와의 반응 속도와 수소 저장 용량 (Reaction Rate with Hydrogen and Hydrogen-storage Capacity of an 80Mg+14Ni+6TaF5 Alloy Prepared by High-energy Ball Milling in Hydrogen)

  • 박혜령;송명엽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8권2호
    • /
    • pp.137-143
    • /
    • 2017
  • In the present study, Ni and $TaF_5$ were chosen as additives to enhance the hydriding and dehydriding rates of Mg. A sample with a composition of 80 wt% Mg + 14 wt% Ni + 6 wt% $TaF_5$ (named $80Mg+14Ni+6TaF_5$) was prepared by high-energy ball milling in hydrogen. Its hydriding and dehydriding properties were then examined. At the fourth cycle, the activated sample absorbed 3.88 wt% H for 2.5 min, 4.74 wt% H for 5 min, and 5.75 wt% H for 60 min at 593 K under 12 bar $H_2$. $80Mg+14Ni+6TaF_5$ had an effective hydrogen-storage capacity (the quantity of hydrogen absorbed for 60 min) of about 5.8 wt%. The sample desorbed 1.42 wt% H for 5 min, 3.42 wt% H for 15 min, and 5.09 wt% H for 60 min at 593 K under 1.0 bar $H_2$. Line scanning results by EDS for $80Mg+14Ni+6TaF_5$ before and after cycling showed that the peaks of Ta and F appeared at different positions, indicating that the $TaF_5$ in $80Mg+14Ni+6TaF_5$ was decomposed.

Clonixin Argininate의 약제학적 연구 (Pharmaceutical Study on Clonixin Argininate)

  • 지웅길;나성범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16권2호
    • /
    • pp.43-54
    • /
    • 1986
  • To increase the bioavailability of clonixin, clonixin argininate was prepared and compared with clonixin by determining solubility, pKa, lipid-water partition coefficient, dissolution rate and in vivo tests.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ings; 1) The solubility of clonixin argininate was increased by 20 times in water, about 1.2 times in pH 1.2 and pH 8.0 buffer solution, and about 1.8 times in pH 6.8 buffer solution compared with that of clonixin. 2) pKa values of clonixin, clonixin lysinate and clonixin argininate were 6.32, 7.20 and 7.45, respectively. 3) The lipid-water partition coefficient of clonixin argininate wa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the clonixin in n-hexane, carbon tetrachloride, chloroform, methylene chloride, and n-butanol, but the partition coefficient of clonixin wa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clonixin argininate in benzene/pH 1.2 buffer solution, ether/pH 8.0 buffer solution, and 3-methylbutyl acetate/pH 1.2, pH 8.0 buffer solution. 4) The time required to dissolve 60% $(T_{60%},\;min.)$ of clonixin argininate was about 1.5 min. in water and pH 1.2 buffer solution, and about 5 min. in pH 6.8 buffer solution. $T_{60%}$ of clonixin lysinate was about 1.5 min. in water, about 1.8 min. in pH 6.8 buffer solution, and about 8 min. in pH 1.2 buffer solution. But $T_{60%}$ of clonixin was about 96 min. in pH 6.8 buffer solution, over 2 hours in water and pH 1.2 buffer solution. 5) Anti-inflammatory effect of clonixin argininate was increased more than that of clonixin over 6 hours, and that of clonixin lysinate was followed by lapse of time. 6) Analgesic effect of clonixin argininate was increased by 1.5 times more than that of clonixin and the effect of clonixin argininate was nearly identical with that of clonixin lysinate. 7) The absorption rates (Ka) of clonixin, clonixin lysinate and clonixin argininate were $0.169\;hr^{-1},\;0.652\;hr^{-1}$ and $0.723\;hr^{-1}$ in situ, respectively.

  • PDF

반탄화에 의한 커피박 연료특성 (Fuel Properities of Spent Coffee Bean by Torrefaction)

  • 오도건;김용현;손홍석
    • 신재생에너지
    • /
    • 제9권3호
    • /
    • pp.29-35
    • /
    • 2013
  • This research analyzed the fuel characteristic change of spent coffee bean by torrefaction. The calorific value was increased from 4,974 kcal/kg to 6,075 kcal/kg ($260^{\circ}C$, 30min), 6,452 kcal/kg ($270^{\circ}C$, 30min), 6,823 kcal/kg ($280^{\circ}C$, 30min), 6,970 kcal/kg ($260^{\circ}C$, 30min). The highest energy yield was obtained when the spent coffee bean were torrefied on the condition of $280^{\circ}C$, 30min. The moisture absorption rate was decreased from 5.12% to 2.76% when the spent coffee bean were torrefied on the condition of $290^{\circ}C$, 30min. Lignin was increased from 11.33% to 14.39% on the condition of $260^{\circ}C$ 30min. But it did not preferability to torrefy spent coffee bean at temperature of more than $270^{\circ}C$ because lignin decreases to the level that is hard to make pellet.

Hamster 수정란(受精卵)의 동결보존(凍結保存) 및 생존성(生存性)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ryopreservation and Survival after Thawing of Hamster Embryos)

  • 오원진;이규승;김영묵
    • 농업과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82-89
    • /
    • 1986
  • 본(本) 실험(實驗)은 hamster 수정란(受精卵)의 동결보존시(凍結保存時) 가장 적합(適合)한 동결(凍結)및 융해온도(融解溫度)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하여 실시(實施)하였다. 수정란(受精卵)은 hamster 두당(頭當) 30 IU의 PMSG를 복탈내(腹脫內)에 투여(投與)하고 4일후(日後)에 교미(交尾)를 시켰으며 교미(交尾) 3일후(日後)에 도살(屠殺)하여 자궁(子宮)과 난관(卵管)을 관류(灌流)하여 회수(回收)하였다. 회수(回收)된 수정란(受精卵)의 동결(凍結)에 사용(使用)한 보존액(保存液)은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PBS)이었으며, 동해방지제(凍害防止劑)로는 Dimetyl sulfoxide (DMSO)로서 3단계(段階)로 최종농도(最終濃度)가 1.5M이 되게 하였다. 수정란(受精卵)의 동결방법(凍結方法)은 실온(室溫)에서 $-6^{\circ}C$까지 $1^{\circ}C/min$의 속도(速度)로 하강(下降)시켜 수직(水植)하고 3 분간(分間) 방치(放置)시킨 다음 $0.30^{\circ}C/min$ 속도(速度)로 $-35^{\circ}C$까지 냉각(冷却)시켰으며, 다음에 $-70^{\circ}C$까지는 $0.1^{\circ}C/min$, $1^{\circ}C/min$$10^{\circ}C/min$의 3 처리(處理)로 냉각(冷却)시킨후 $-196^{\circ}C$의 액체질소(液體窒素)에 보존(保存)하였다. 융해(融解)는 $4^{\circ}C/min$$12^{\circ}C/min$의 속도(速度)로 $37^{\circ}C$ 까지 가온(加溫)하는 방법(方法)과 $37^{\circ}C$의 water bath에서 2 분간(分間) 침지(沈漬)시키는 방법(方法)을 이용(利用)하였다. 평균배란점(平均排卵點)은 35.1개(個)인데 대하여 회수(回收)된 수정란(受精卵)은 27.0개(個)로서 회수율(回收率) 77.0% 였으며, 수정란(受精卵)중에서 8세포기(細胞期) 배(胚) 24.8개(個)로서 그 비율(比率)은 70.6%였다. 수정란(受精卵)의 동결속도(凍結速度)에 따른 생존율(生存率)은 $0.1^{\circ}C/min$으로 동결(凍結)했을 때 55.5~67.7%, $1^{\circ}C/min$에서는 58.8~64.9%, $10^{\circ}C/min$에서는 40.5~44.7%였는데 $10^{\circ}C/min$의 속도(速度)로 동결(凍結)한 것이 유의(有意)하게 나쁜 성적(成績)이었다. 융해방법(融解方法)에 따른 수정란(受精卵)의 평균생존율(平均生存率)은 $4^{\circ}C/min$에서 53.5%, $12^{\circ}C/min$에서 53.7%, $37^{\circ}C$ water bath 융해(融解)에서 59.1%를 나타내어 water bath 융해(融解)가 가장 좋은 성적(成績)이었으나 큰 차이(差異)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본(本) 실험(實驗)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볼 때 hamster 난자(卵子)의 동결(凍結)에는 실온(室溫)에서 $-6^{\circ}C$까지는 $1^{\circ}C/min$, $-35^{\circ}C$까지 $0.3^{\circ}C/min$, $-70^{\circ}C$까지 $0.1^{\circ}C/min$ 또는 $1^{\circ}C/min$의 동결속도(凍結速度)를 유지(維持)하고, $37^{\circ}C$의 water bath에서 2 분간(分間) 침관(沈漬)하여 융해(融解)하는 것이 가장 높은 생존율(生存率)을 얻었다.

  • PDF

동적다엽콜리메이터를 이용한 세기변조방사선 치료 시 선량분포상의 선량률 변화에 따른 효과 (Effect of Dose Rate Variation on Dose Distribution in IMRT with a Dynamic Multileaf Collimator)

  • 임경달;제영완;윤일규;이제희;유숙현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12
  • 목 적: 동적다엽콜리메이터를 이용한 세기변조방사선 치료 시 선량률 임의 변경 되었을 경우 선량 분포 차와 변화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소조사야와 대조사야의 두 가지 세기변조방사선치료계획을 임상적 치료계획시스템(Eclipse, Varian, Palo Alto, CA)을 이용하여 계획하였다. 각각의 치료계획은 선량률 100, 400, 600 MU/min으로 변화시켜 조사야별 세 종류로 치료계획을 하였다. 측정기 2D-Array (2D-Array Seven729, PTW-Freiburg)는 측정 깊이 0.5 cm를 고려하여 위로 Solid water phantom ($30{\times}30{\times}4.5cm$)와 아래로 후방산란을 고려한 Solid water phantom 5 cm 사이에 위치 시켰다. MLC-120엽을 갖춘 에너지 6 MV 선형가속기(Clinac 21EX, Varian, Palo Alto, CA)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첫 번째로 선량률 100, 400, 600 MU/min의 치료 계획한 것을 같은 선량률로 측정 하여 각각의 기준값을 얻었다. 1) 선량률 100 MU/min일 때 임의로 200, 300, 400, 500, 600 MU/min로 변화하고, 2) 400 MU/min일 때 100, 200, 300, 500, 600 MU/min으로 변화시켰으며, 3) 600 MU/min일 때 100, 200, 300, 400, 500 MU/min를 측정하였다. 끝으로 분석 프로그램(Verisoft 3.1, PTW-Freiburg)을 이용하여 기준 값과 선량률 변화 시의 선량차와 분포를 평가 하였다. 결 과: 치료 계획한 선량률 100 MU/min, 400 MU/min, 600 MU/min을 치료 계획한 대로 측정한 기준 값은 미세한 선량차를 보였고 선량분포도 일치하였다. 이를 기준 값으로 하여 소조사야에 대해 측정한 결과 100 MU/min에서는 200, 300, 400, 500, 600MU/min으로 변경하며 측정 시 -0.8, -1.1, -1.3, -1.5, -1.6%로 선량차가 있었으며, 400 MU/min (소조사야)에서 100, 200, 300, 500, 600 MU/min일 때 +0.9, +0.3, +0.1, -0.2, -0.2%의 선량변화가 있었고, 선량률 600 MU/min (소조사야)에서는 100, 200, 300, 400, 500 MU/min으로 변경 시 +1.4, +0.8, +0.5, +0.3, +0.2%로 나타났다. 다른 한편, 대조사야에서 100 MU/min(대조사야)는 -1.3, -1.6, -1.8, -2.0, -2.4%로 조금 더 큰 감소를 보였고, 400 MU/min (대조사야)는 +2.0, +1.8, +0.5, -1.2, -1.6%의 선량변화가 있었다. 600 MU/min (대조사야)에서는 +1.5, +1.9, +1.7, +1.9, +1.2%였다. 선량률 변화에 따른 선량 차는 -2.4~+2.0%로 측정되었다. 결 론: 120-MLC를 갖춘 선형가속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세기변조방사선 치료 시 선량률 변화에 따른 선량분포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선량 차는 ${\pm}3%$ 미만이었다.

  • PDF

업무용 빌딩의 피난 성능 검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cuation Performance Review for the Office Buildings)

  • 오혁진;백승태;김우석;이수경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특정의 업무용 건축물에 대해서 화재 및 피난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FAST 3.1.7(전실화재 예측), SIMULEX 32-bit(피난시간의 예측), JASMINE 3.25d(특정시간까지의 연기 유동성 평가)등의 S/W를 이용하여 이를 평가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Scenario #1 결과, 화재실에서 전실화재가 발생하지 않았고, 층 피난시간은 25.2 sec로 나타났으며 이때까지의 FAST 3.1.7결과에서 연기층은 2.4m를 기록, 연기유동성 평가에서도 재실자들은 연기의 피해(가시거리, 독성)없이 피난이 완료될 것으로 나타났다. Scenario #2 결과, 화재실에서 6 min 33.2 sec에 전실화재가 발생했으며, 수계산에 의한 피난시간은 5 min 23sec로 나타났다. 본 대상건물에 대해서 선정한 Scenario #1, #2 모두 인명안전설계는 적정하게 설계되었다고 판단된다.

토양중 Pendimethalin의 흡착 및 이동특성 (The Adsorption and Movement Characteristics of Pendimethalin in Soils)

  • 라덕관;김영규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7-23
    • /
    • 2001
  • 토양중 pendimethalin의 흡착과 이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양토, 미사질토 및 양토를 대상으로 회분식 및 칼럼식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Pendimethalin은 진탕 6시간에서 사양토의 경우 59.6%, 미사질토의 경우 77.3%, 양토의 경우 64.0%가 흡착되어 평형흡착에 근접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흡착등온식은 Freundlich식에 잘 일치하였으나, Langmuir식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사양토, 미사질토 및 양토에 대한 pendimethalin의 흡착계수는 각각 8.0, 16.1, 9.5로 나타났다. 흡착칼럼 배출구에서 pendimethalin이 처음 검출된 시간 및 유출량은 사양토의 경우 112min. 700ml, 미사질토의 경우 630min, 2100m1, 양토의 경우 189min, 900ml이었다. 0.05Co를 파과점으로 할 경우 각 토양의 파과점에 도달되는 시간은 각각 256min, 810min, 420min이었다.

  • PDF

Quantitative analysis of Spirulina platensis growth with CO2 mixed aeration

  • Kim, Yong Sang;Lee, Sang-H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3권2호
    • /
    • pp.216-222
    • /
    • 2018
  •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Spirulina platensis were investigated using four photo-bioreactors with $CO_2$-mixed air flows. Each reactor was operated under a specific condition: 3% $CO_2$ at 50 mL/min, 3% $CO_2$ at 150 mL/min, 6% $CO_2$ at 50 mL/min, and 6% CO2 at 150 mL/min. The 3% $CO_2$ at 150 mL/min condition produced the highest algal growth rate, while the 6% $CO_2$ at 150 mL/min conditioned produced the lowest. The algal growth performance was suitably assessed by the linear growth curve rather than the exponential growth. The medium pH decreased from 9.5 to 8.7-8.8 (3% $CO_2$) and 8.4-8.5 (6% $CO_2$), of which trends were predicted only by the pH-carbonate equilibrium and the reaction kinetics between dissolved $CO_2$ and $HCO_3{^-}$. Based on the stoichiometry between the nutrient amounts and cell elements, it was predicted that depleted nitrogen (N) at the early stage of the cultivation would reduce the algal growth rates due to nutrient starvation. In this study, use of the photobioreactors capable of good light energy distribution, proper ranges of $CO_2$ in bubbles and medium pH facilitated production of high amounts of algal biomass despite N lim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