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G-63 cell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35초

풀무치 에탄올 추출물이 MG-63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Osteoblastogenic Activity of Locusta migratoria Ethanol Extracts on Pre-Osteoblastic MG-63 Cells)

  • 백민희;서민철;이준하;김인우;김미애;황재삼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448-1454
    • /
    • 2018
  • 최근 들어 곤충을 식품 및 바이오 소재로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곤충을 이용한 조골세포 활성 및 분화에 따른 골 형성 촉진 효과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풀무치를 이용한 기능성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골 형성 촉진 효능을 가진 새로운 천연물 소재 개발을 위해 풀무치 추출물의 MG-63 조골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연구하였다. 조골세포에서 풀무치 추출물의 독성 및 증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MTS assay를 진행한 결과, $1,000{\mu}g/ml$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48시간 배양했을 때 $500-1,000{\mu}g/ml$ 농도에서 105%와 116%의 세포 증식 효능을 확인 하였다. 풀무치 추출물이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3일 및 5일간 풀무치 추출물을 MG-63 조골세포에 처리한 후 ALP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100{\mu}g/ml$ 농도에서 positive control로 사용한 조골세포 분화배지(DM)군과 유사한 정도로 분화가 증가하였으며 500 및 $1,000{\mu}g/ml$ 농도에서는 2-3배까지 조골세포 분화가 촉진되었다. 이 결과는 ALP staining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mRNA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Alpl과 Runx2 유전자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했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ALP와 Runx2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에 의해서 ALP 활성이 증가하고 조골세포 분화가 촉진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풀무치 추출물을 이용한 골 형성 촉진에 따른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기능성 소재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이 MG-63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Osteoblastogenic Activity of Tenebrio molitor Larvae Oil on the MG-63 Osteoblastic Cell)

  • 서민철;백민희;이준하;이화정;김인우;김선영;황재삼;김미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1027-1033
    • /
    • 2019
  • 현재 우리나라는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었으며, 이와 함께 골 대사 질환이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골다공증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고 있으며 이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소재 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곤충을 소재로 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골 형성 촉진 효능을 가진 새로운 소재 개발을 위해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의 MG-63 조골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연구하였다. 조골세포에서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의 독성 및 증식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MTS assay를 진행한 결과 $80{\mu}g/ml$ 농도까지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48시간 배양했을 때 $40-80{\mu}g/ml$ 농도에서 120% 정도의 세포 증식 효능을 확인 하였다.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이 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5일간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을 MG-63 조골세포에 처리한 후 ALP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80{\mu}g/ml$ 농도에서 무처리 군에 비해 약 180%의 조골세포 분화 촉진 효능을 관찰 하였다. 이 결과는 ALP staining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mRNA 발현량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Alpl과 Runx2 유전자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단백질 발현량을 측정했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ALP와 Runx2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에 의해서 ALP 활성이 증가하고 조골세포 분화가 촉진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며, 갈색거저리 유충 오일을 이용한 골 형성 촉진에 따른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기능성 소재 개발에 대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Recognition of Transmembrane Protein 39A as a Tumor-Specific Marker in Brain Tumor

  • Park, Jisoo;Lee, Hyunji;Tran, Quangdon;Mun, Kisun;Kim, Dohoon;Hong, Youngeun;Kwon, So Hee;Brazil, Derek;Park, Jongsun;Kim, Seon-Hwa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3권1호
    • /
    • pp.63-69
    • /
    • 2017
  • Transmembrane protein 39A (TMEM39A) belongs to the TMEM39 family. TMEM39A gene is a susceptibility locus for multiple sclerosis. In addition, TMEM39A seems to be implicated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However, any possible involvement of TMEM39A in cancer remains largely unknown. In the present report, we provide evidence that TMEM39A may play a role in brain tumors. Western blotting using an anti-TMEM39A antibody indicated that TMEM39A was overexpressed in glioblastoma cell lines, including U87-MG and U251-MG. Deep-sequencing transcriptomic profiling of U87-MG and U251-MG cells revealed that TMEM39A transcripts were upregulated in such cells compared with those of the cerebral cortex. Confocal microscopic analysis of U251-MG cells stained with anti-TMEM39A antibody showed that TMEM39A was located in dot-like structures lying close to the nucleus. TMEM39A probably located to mitochondria or to endosomes.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of glioma tissue specimens indicated that TMEM39A was markedly upregulated in such samples. Bioinformatic analysis of the Rembrandt knowledge base also supported upregulation of TMEM39A mRNA levels in glioma patients. Together, the results afford strong evidence that TMEM39A is upregulated in glioma cell lines and glioma tissue specimens. Therefore, TMEM39A may serve as a novel diagnostic marker of, and a therapeutic target for, gliomas and other cancers.

시판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액젓의 biogenic amines 함량 (Biogenic Amine Contents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s)

  • 엄인선;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883-887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seven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s by measuring their chemical compositions, bacteria concentrations, and biogenic amine contents. The sauces had a 63.97-67.32% (mean: 65.72%) moisture content, 23.16-24.03% (mean: 23.60%) salinity, 5.51-6.14 (mean: 5.81) pH, 164.76-217.98 mg/100 g (mean: 182.97 mg/100 g) volatile basic nitrogen, 0.94-1.42% (mean: 1.24%) total nitrogen, and 673.77-791.86 mg/100 g (mean: 720.76 mg/100 g) amino nitrogen content. Viable cell counts ranged from $1.2{\times}10^1$ to $2.9{\times}10^2CFU/mL$, and number of biogenic amine-forming bacteria was very low or not detected. Overall, the tested samples had average levels of histamine of 301.02 mg/kg, cadaverine of 29.78 mg/kg, tyramine of 199.21 mg/kg, putrescine of 183.00 mg/kg, and tyramine of 13.01 mg/kg. This strongl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biogenic amine contents of commercial salted and fermented sand lance sauces carefully to ensure consumer health.

Echinacea purpurea L. 추출물 및 분획물의 암세포 독성 (Cytotoxicity of Extracts and Fractions from Echinacea pupurea L. on Human Cancer Cells)

  • 박진홍;이미경;문형철;최근표;이서호;이현수;류이하;이강윤;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9-314
    • /
    • 2004
  • Echinacea의 추출물 및 분획물들의 정상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측정한 결과, 0.5 mg/ml이상의 농도에서 정상세포의 생육이 20% 가까이 저해되었으며, 비교적 높은 농도인 1.0 mg/ml의 농도에서도 70%이상의 세포 생존을 나타내었다.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 대한 생육억제 활성은 0.5 mg/ml의 농도에서 물 추출물의 butanol 획분과 ethan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획분에서 각각 87%와 81%로 가장 높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인간 간암세포주인 Hep3B에 대한 생육억제능은, 물과 ethanol 추출물의 butanol 획분에서 0.5 mg/ml의 농도에서 81%와 63%의 생육 억제능을 나타내었으며, 1.0 mg/ml의 농도에서는 수층획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70% 이상의 높은 생육억제능을 나타내었다. 위암세포인 AGS의 경우 물 추출물의 butanol 획분에서 0.5 mg/ml의 농도에서 80%의 높은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1.0 mg/ml의 농도에서는 각 추출물의 수층 획분과 ethanol 추출물의 ethyl acetate 획분을 제외하고는 80% 이상의 높은 생육억제 활성을 나타내었다. 폐암세포인 A549에 대한 생육억제능은 물과 ethaonl 추출물의 butanol 획분에서 1.0 mg/ml의 농도에서 92%와 87%로 높게 나타났다. 이전까지 Echinacea에 관해서 보고된 것은 그리 많지 않으며, 본 논문에서 Echinacea의 추출물 및 분획물들에 관해 실험한 내용에 관한 것은 전무한 것으로 사료되어져, 이용에 있어서 본 논문에서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Echinacea의 항암활성 효과를 통하여 앞으로의 이용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알린 것이며, 아울러 Echinacea의 추출물들을 이용시 본 눈문에서 실험한 결과물인 물과 ethanol 추출물 모두 butanol 분획에서 그 효과가 가장 높았으므로 이를 사용한 다양한 암세포 사멸효과뿐만이 아니라 면역 활성 증진 및 여러 생리활성의 이용에 사용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사염화 탄소에 의한 간손상에 있어 Kupffer cell 칼슘의 역할 (Involvement of Kupffer Cell in $CCl_4$ induced Liver Injury: The Role of Calcium)

  • 양미라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75-82
    • /
    • 1996
  • 사염화 탄소에 의한 과산화 지질 증가 및 간 손상에 calcium 및 Kupffer cell의 역할 및 calcium channel blocker의 간 손상에 대한 방어 효과를 연구하였다. 사염화 탄소는 (1 gm/kg, ig) 간의 malondialdehyde (nmole/gm liver) 및 혈중 AST와 ALT (lU/ml) 활성도의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고 농도의 Retinol (250,000U/kg/day)로 인한 Kupffer cell의 활성 증가는 사염화 탄소에 의한 간 과산화 지질 증가 및 간 손상에 상승 작용을 나타낸 반면, $GdCl_3$ 전처리는 $CCl_4$로 인한 ALT의 증가를 감소시켰다. 한편 Retinol 처치군에 Diltiazem (10mg/kg/day)을 병행하여 처치한 결과, 사염화 탄소에 의한 혈중 AST 및 ALT의 증가를 Retinol 단독 처치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억제시킬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이 Retinol 혹은 Diltiazem의 투여에 의한 사염화 탄소가 cytochrome P450에 의한 대사 활성 또는 GSH와 관련된 항산화 기전에 미치는 영향에 기인한 것인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cytochrome P450, cytochrome P4502El 활성도, GSH reductase 및 GSH peroxidase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Retinol 및 Diltiazem의 전처리는 이들 효소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사염화 탄소의 투여에 의한 간 손상은 세포내 calcium의 증가를 가져오며, 이는 이차적으로 Kupffer cell을 활성화 시켜 이미 손상된 간세포의 독성을 증가시켰으며, calcium channel blocker인 Diltiazem의 투여는 사염화 탄소의 간독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연골세포의 기계적 물성치 측정 (Measurement of Biomechanical Property of Chondrocyte)

  • 이권용;;박상국;김병수;박종철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4-157
    • /
    • 2002
  • A cyto-indentation technique was used to obtain the biomechanical compressive compliance property of an chondrocyte cell attached to glass surface, which was tried to generate joint cartilage by tissue engineering. Piezo-transducer system and dual photo-diode system were used to conduct mechanical indentation through displacement-controlled testing and the measurement of corresponding cell reaction force. The Poisson's ratio of 0.37 was quoted from other report. The compressive compliance of chondrocyte, that was determined by elastic contact theory, was 1.38${\pm}$0.057 kPa. This value is 30% higher than that of MG63 osteoblast-like cell. The cyto-indentation technique employed in this study is so precise that it can quantify the biomechanical property of single cell.

  • PDF

불소화합물의 골육종 및 구강암 세포주에 대한 독성의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Cytotoxicity of Fluoride Compounds on Oral Cancer and Osteosarcoma Cells)

  • 송제선;이백수;김정희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4권3호
    • /
    • pp.113-120
    • /
    • 1999
  • Fluorination of drinking water has been used world widely to reduce the incidence of caries. Recently, contradictory results on the cytotoxicity of fluoride compounds are reported. In addition, there are attempts to use fluorosilicate for fluorination of drinking water in Korea, therefore, we tried to analyze the cytotoxicity of fluoride compounds on oral epidermoid carcinoma (KB and A253) and osteosarcoma (HOS and MG-63) cells in this study. We treated cells with 0, 10, 50 and 250 ppm of fluorosilicic acid (domestic or from Fluka, F$\_$6/H$_2$Si), sodium fluorosilicate (F$\_$6/Na$_2$Si), sodium fluoroacetate (FCH$_2$CO$_2$Na), sodium fluoride (NaF) or potassium fluoride(KF) and measured the relative cell survival by MTT assay. At the concentration of < 10ppm, no significant cytotoxicity was observed. At 50 ppm, each cells revealed different response to fluoride treatment. Among cells used in this study, MG-63 was the most resistant to fluoride treatment. Comparable toxicity data from domestic and imported fluorosilicic acids were obtained. When we compared the relative cytotoxicity of fluoride compounds against their fluoride contents, the differences in relative cell survival were smaller. Most of cells showed < 20% of survival at 250 ppm. In order to analyze the pH dependence of the cytotoxicity of fluorosilicates, the pH of cell culture media containing fluorosilicate was adjusted to 7.4 or 6.5 and the relative cytotoxicity was measured. At lower pH, about 10% higher cytotoxicity was obtained. Thus, our data suggested that the toxicity of domestic fluorosilicic acid was similar to that of fluorosilicic acid from Fluka, and the cytotoxicity of fluoride compounds was dependent on the relative content of fluoride and pH.

  • PDF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물이 조골세포와 파골세포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illa frutescens var. crispa and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mixture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clast Formation)

  • 심부용;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68-177
    • /
    • 2021
  • 본 연구는 방사선 육종 차조기와 백출 복합물의 조골세포 분화 활성 및 파골세포 형성 억제를 조사하였다. 차조기와 백출 복합물은 MG-63 세포에서 ALP 활성 및 arlizarin red 염색을 확인하였고 조골세포 형성의 영향은 RAW 264.7 세포에서 TRAP 활성과 TRAP 염색을 진행하였다. 세포 독성시험에서 차조기와 백출 복합물은 50 ㎍/㎖ 농도 이하에서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ALP 활성 및 골석회화 형성 능력은 대조군보다 활성이 낮았으나, 파골세포에서 TRAP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효과적으로 TRAP(+) 다핵세포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차조기와 백출 복합물은 골 흡수 억제 활성을 향상시켜 뼈 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진다.

산마늘 발효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세포독성 (Antioxidative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Fermented Allium victorialis L. Extract)

  • 도은수;장준복;길기정;최명석;양재경;윤충원;정선미;정윤혜;이건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0-39
    • /
    • 2011
  • 산마늘 잎 에탄올추출물을 Steptococcus thermophilus 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항산화활성 및 세포독성을 검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효 전에는 2.63 mg/g, 발효 후에는 1.65 mg/g이었으며 발효 후 함량이 감소하였고,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 전에는 57.77 mg/g, 발효 후에는 62.27 mg/g으로 발효 후에 증가하였다. 전자공여능은 발효 전에는 82.29%, 발효 후에는 81.40%로 vitamin C (97.71%) 보다 낮았으나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으며, 아질산염소거능은 발효전 후 추출물 모두 pH 2.5에서는 BHT 보다는 낮지만 활성이 우수하였고, pH 4.2에서는 발효하지 않았을 때 BHT보다 더 좋은 활성을 나타냈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15% 정도로 낮은 효과를 나타냈다. NO 생성능은 발효 전에 오히려 더 많은 NO를 생성하였고 발효 후에는 생성이 억제되었다. 산마늘 추출물이 LP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H2O2 처리군에 비하여 발효 여부와 관련 없이 산마늘 추출물처리에 따라 농도가 증가할수록 MDA 함량이 감소하여 LPO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유아세포의 생존율은 산마늘 추출물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경향이나 대조구와 차이가 거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