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49

검색결과 4,691건 처리시간 0.037초

기계학습 기반의 가스폭발위험범위 예측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ve Models based on the Machine Learning for Evaluating the Extent of Hazardous Zone of Explosive Gases)

  • 정용재;이창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8권2호
    • /
    • pp.248-2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폭발위험장소의 방폭설비 설치를 위해 필요한 가스폭발위험범위 예측모델 개발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12개의 가연성가스에 대한 1,200개의 폭발위험범위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가스폭발위험범위를 출력변수로 설정하였고 데이터 생성과정에서 필요한 12개의 변수를 입력변수로 설정하였다. 다중 회귀, 주성분 회귀, 인공신경망 기법을 이용해 예측모델을 개발하였다. 각각 모델의 예측 성능을 비교한 결과, 평균절대퍼센트오차(MAPE)는 각각 44.2%, 49.3%, 5.7%이고 평균제곱근오차(RMSE)는 1.389 m, 1.602 m, 0.203 m로 나타났다. 결과를 통해 인공신경망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고 가스폭발위험범위 예측을 위한 최적 모델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충청남도 산업단지의 오·폐수처리실태 분석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Industrial Complexes)

  • 임봉수;김도영;이상진;오혜정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50-862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actual conditions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to obtain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of wastewater from industrial complexe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Wastewater production flow per site area by watersheds was $49.2m^3/km^2/d$ for Sapgyoho, $8.1m^3/km^2/d$ for Anseongcheon, $5.7m^3/km^2/d$ for Seohae, and $2.9m^3/km^2/d$ for Geumgang. Sapgyoho showed 75% of the total production flow, which was the highest value, Geumgang showed 4% of total flow, which was the lowest value. Average total extra rate as production flow/capacity flow in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for industrial complex is 49%. Considering by watersheds, the extra rates of Seohae, Geumgang, Anseongcheon, and Sapgyoho, are 73%, 65%, 62%, and 33%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the design of capacity flow in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was too large. Effluent concentration of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did not exceed discharge limit mostly. The removal efficiency rate for water quality item was 90% in BOD, 70% in COD, 80% in SS, 30 to 80% in TN, and 20 to 90% in TP, so the organic removal was good, but the nutrient removal was low and interval of variation was high. The removal efficiency rate of the agricultural was industrial complexes is lower than the national and local complexes.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in Chungcheongnam-do was $1,756Won\;per\;m^3$, treatment cost was $189Won\;per\;m^3$, and they were about two times and 1.2 times higher than the nation-wide cost, respectively. The treatment cost consists of 39% for man power, 21% for chemical, 16% for power, 11% for sludge treatment, and 13% for others.

공심채 추출물의 멜라닌 생성 저해 및 피부장벽 개선 효과 (Effect of Ipomoea aquatica extract on anti-melanogenesis and skin barrier function)

  • 김현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19-523
    • /
    • 2017
  • 본 연구에서 공심채(Ipomoea aquatica)에 대한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사하여 기능성소재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공심채 추출물은 멜라노마 세포에 대하여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세포독성이 거의 없는 농도에서 공심채 추출물 처리 시, 산화방지 활성($ID_{50}$, $7.84{\mu}g/mL$),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저해($ID_{50}$, $106.56{\mu}g/mL$) 및 멜라닌 함량 저하($ID_{50}$, $41.75{\mu}g/mL$)를 보여주었다. 공심채 추출물 농도 의존적으로 타이로시네이스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이는 공심채 추출물이 직접적인 타이로시네이스 활성저해 및 세포 내 타이로시네이스 발현을 억제시킴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심채 추출물이 피부장벽 보호 지표물질로서 관련된 단백질인 인볼루크린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공심채 추출물은 피부미백 소재 등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지닌 기능성 화장품에 활용하기 위한 매우 효과적인 재료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카디악 페이스메이커용 0.8V 816nW 델타-시그마 모듈레이터 (A 0.8V 816nW Delta-Sigma Modulator Applicaiton for Cardiac Pacemaker)

  • 이현태;허동훈;노정진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1호
    • /
    • pp.28-36
    • /
    • 2008
  • 이번 논문은 implantable cardiac 페이스메이커의 검출 단 로서 저전압, 저전력 단일-비트 삼차 델타-시그마 모듈레이터를 구현하였다. 1V이하의 전원 전압에서 효과적으로 동작하기 위하여 distributed feedforward구조와 벌크-드리븐 OTA를 활용하였다. 설계된 모듈레이터는 0.8V의 전원 전압에서 49dB의 dynamic range를 가지면서 816nW의 파워를 소모하였다. 파워 소모를 획기적으로 줄임으로서 페이스메이커뿐만 아니라 제한된 배터리에서 동작하는 implantable 의료 기기에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모듈레이터의 칩 크기는 $1000{\mu}m{\times}500{\mu}m$로서 $0.18{\mu}m$ CMOS standard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SMB(Simulated Moving Bed)를 이용한 IgY(Immunoglobulin Yolk) 분리의 전산모사 (Simulation of IgY(Immunoglobulin Yolk) Purification by SMB(Simulated Moving Bed))

  • 송성문;김인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6호
    • /
    • pp.798-803
    • /
    • 2011
  • 난황에 포함된 IgY는 포유동물에 있는 바이러스나 항원에 반응하는 항체와 같은 역할을 한다. IgY 분리를 위해 난황을 전처리한 후 3-zone SMB를 이용하여 지질단백질들로 부터 분리하는 전산모사연구를 수행하였다. 회분식 크로마토그래피와 pulse input method(PIM) 실험을 이용하여 전산모사 매개변수와 흡착 등온식을 얻었다. Aspen simulator를 이용하여 전산모사를 수행하여 IgY를 분리할 수 있는 SMB 운전조건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었다. 삼각형 이론의 $m_2$$m_3$ 값은 각각 0.18, 1.0이고 스위칭 타임은 419 초이었다. 전산모사 결과 raffinate의 IgY 순도가 98.39%이고 두번째 싸이클에서 순도가 정상상태에 도달하였다.

N-Alkyl Pyridinium Bromide류의 계면활성에 대한 열역학적 특성 (Thermodynamic Characteris tics of Surface Activities of N-Alkyl Pyridinium Bromide)

  • 김영찬;김동식;정순옥;손병청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05-114
    • /
    • 1991
  • In relation to the preparation of Langmuir-Blodgett thin film, four kinds of N-alkylpyridiniurn bromide were synthesized. The values of surface tensions of these materials, measured with a Traube stalagmometer, ga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itical micells hydrophobic radical and between CMC and temperature. Values of thermodynamic properties(${\Delta}H^0_m,\;{\Delta}S^0_m,\;{\Delta}G^0_m,$) for the formatoin of micelle were also obtained. Experiments gave the following results; at the temperature range between 40 and 60$^{\circ}C, CMC of Hexadecyl-, Octadecyl-, Eicosyl-, and Docosyl-Pyridinium Bromide were $7.64{\times}10^{-4}{\sim}9.13{\times}10^{-4},\;3.85{\times}10^{-4}{\sim}4.60{\times}10^{-4},\;2.00{\times}10^{-4}{\sim}2.39{\times}10^{-4},\;and\;1.07{\times}10^{-4}{\sim}1.28{\times}10^{-4}$ mol/l, respectively. Surface tension, ${\Gamma}_{CMC}$, of those were 33.49${\sim}$36.00, 34.78${\sim}$37.61, 35.49${\sim}$37.61 and 38.76${\sim}$55.80 dyne/cm,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CMC and the mumber of carbon atoms in the hydrophobic radical, N was expressed as follows : Log(CMC)=A-BN where A and B are constants. At the temperature range between 40 and 60$^{\circ}C$, the change of Gibbs evergy (${\Delta}G_m$) for one methylene group ($-CH_2-$) were -0.65RT, respectively, The minus values of enthalpy change (${\Delta}H_m$) suggest that the formation of micelle is exothermic. Additionally, the overall increase in the entropy change (${\Delta}S_m$) with respect to the temperature increase suggests that the formation of micelle is attained by a exothermic enthalpy directed process.

펄스 수축방식 기반의 지연버퍼를 이용한 온-칩 디지털 온도센서 (On-Chip Digital Temperature Sensor Using Delay Buffers Based the Pulse Shrinking Method)

  • 윤승찬;김태운;최호용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681-686
    • /
    • 2019
  • 본 논문은 동일 크기의 인버터 체인을 가진 지연 버퍼를 사용한 펄스 수축방식에 기반된 CMOS 온도 센서를 제안한다. 온도 센서는 2 개의 서로 다른 온도 지연 라인을 가진 온도에 비례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온도-펄스 변환기( TPC)와 공정 변화에 민감하지 않도록 동일 크기를 가진 인버터 체인을 사용하여 펄스를 수축하여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시간-디지털 변환기(TDC)로 구성된다. 칩은 공급 전압이 3.3 V인 $0.35{\mu}m$ CMOS 공정을 이용하여 $0.49{\mu}m{\times}0.23{\mu}m$의 면적으로 구현되었다. 측정 결과 $0^{\circ}C{\sim}100^{\circ}C$의 온도 센서 범위에 분해능은 9-비트 데이터에서 $0.24^{\circ}C/bit$를 가진다.

5G 네트워크에서 MTC 단말들의 그룹기반 2계층 이동성 관리 기술 (Group Based Two-Layer Mobility Management of MTC Devices in 5G Network)

  • 김남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631-637
    • /
    • 2018
  • 5G 이동통신에서는 이동성 관리를 필요로 하지 않거나 제한된 이동성 관리만을 필요로 하는 단말에 대하여 차별적으로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 수준이 유사한 다수의 MTC 단말을 c-MTC와 m-MTC 그룹으로 분류하는 2계층 이동성 관리시스템을 제안한다. Tracking Area Update (TAU)를 수행할 때 발생하는 제어신호의 수를 줄여 에너지 효율 및 서비스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그룹 헤더가 대표적으로 TAU Request를 수행하도록 하며 이동 수준에 따라 주기적인 TAU 갱신 주기를 조절하였다. m-MTC의 TAU 갱신주기는 3GPP 표준에서 제안하는 기본값인 54분으로 설정하였으며, c-MTC는 이 보다 짧은 주기를 갖는 것으로 하여 12분으로 설정하였다. 단말들이 개별적으로 TAU를 실행할 때와 비교해 보면, m-MTC 또는 c-MTC 그룹에서 MME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 33% 그리고 MME가 변경되지 않는 경우는 49% 정도 제어신호의 수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NF-κB 활성 조절을 통한 Lactobacillus johnsonii 파쇄액의 항염 효과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actobacillus johnsonii Lysate via Regulation of NF-κB Activity)

  • 차화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5-29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김치유래의 Lactobacillus johnsonii의 anti-inflammation 효능을 확인하였다. Rat 유래 대식세포인 Raw 264.7세포에 Lactobacillus johnsonii 파쇄물을 처리하여 염증유발 marker인 TNFα와 IL1β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250 ㎍/mL 추출물을 처리시 1 ㎍/mL LPS를 처리한 대조군 대비 각각 40.55%와 34.66%의 TNFα와 IL1β의 발현량 감소를 확인하였다. 또한 LPS에 의한 cytokine 발현의 핵심 전사인자인 NF-κB의 전사활성을 확인한결과 1 ㎍/mL LPS를 처리한 대조군 대비 NF-κB의 전사활성은 40.76%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통해 Lactobacillus johnsonii 파쇄물은 LPS에 의한 cytokine의 발현을 방지 및 NF-κB전사활성 조절을 통해 항염 또는 피부진정 기능성 소재로써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수온, 염분 및 먹이에 따른 열대 유종류, Metacylis tropica의 성장 (Population growth of a tropical tintinnid, Metacylis tropica on different temperature, salinity and diet)

  • 이균우;최영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322-328
    • /
    • 2016
  • 본 연구는 열대 유종류인 Metacylis tropica의 최적배양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5일 동안 수온, 염분 및 먹이원인 미세조류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M. tropica는 작고 투명한 난형의 피갑을 가지며, 피갑의 구강부 지름, 갑장 및 갑폭의 크기는 각각 $36.7{\mu}m$, $49.5{\mu}m$$44.5{\mu}m$였다. 수온별 실험에서, M. tropica의 최고밀도와 성장률은 수온 $30^{\circ}C$에서 각각 340.7 cells/mL와 1.1/day로 나타났다. 낮은 염분은 M. tropica의 성장에 악영향을 미쳤으며 염분 33 ppt에서 최고밀도가 840 cells/mL로 나타났다. 먹이실험에서, 먹이로 Isochrysis galbana를 공급하였을 때, 가장 높은 성장을 보였다(배양밀도, 413 cells/mL; 성장률, 1.2/day). 본 실험을 종합하여보면, M. tropica는 rotifer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자어기에 입이 작은 어류의 초기먹이생물로 적합하며, 수온 $30^{\circ}C$, 염분 33 ppt에서 I. galbana를 먹이로 공급하는 것이 M. tropica의 대량배양을 위한 최적배양조건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