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3G API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alpha$-Amylase 생성균주 Bacillus sp. AIV 1940의 분리, 특성 및 합성폐수분해능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pha$-Amylase Producing Bacillus sp. AIV 1940 and Properties of Starch Synthetic Wastewater Degradation)

  • 박형수;김무훈;양선영;조미영;고범준;박용근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6
    • /
    • 2002
  • 전분가공폐수처리장 활성슬러지와 논, 밭 토양에서 전분성분을 분해하는 $\alpha$-amylase를 생성하는 균주들을 분리 선별하였다. 이중 효소활성이 우수한 AIV 19를 형태학적 분석 및 API system 과 지방산분석(MIDI) 방법을 이용한 결과 Bacillus 속으로동정되었다. $\alpha$-amylase 생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nitrosoguanidine (NTG)처리를 한 균주 중 선별된 AIV 1940균주의 효소활성능이 원 균주에 비해 1.8배 향상되었다. 분리균주는 그람양성가균으로 길이가 2.3-5 $\mu$ m폭이 0.8-1$\mu$m이었고, Bioscreen C 시스템을 이용한 균주성장능 평가에서는 전분이 3 g/ι농도에서 성장능이 증가되었다. 전분합성폐수를 이용한 유기물제거실험에서는 초기 CODcr가 4,455 mg/ι인 고농도 합성폐수를 1일 3일 반응 후 각각 40.2% 72.3%의 유기물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광양만에서 TBTCl (Tributyltin Chloride) 내성세균의 분리 및 분해활성 (Isolation and Degradation Activity of a TBTCl (Tributyltin Chloride) Resistant Bacteriain Gwangyang Bay)

  • 정성윤;손홍주;정남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4-431
    • /
    • 2011
  • 본 연구에서 우리는 광양만의 해수와 표층 퇴적물에서 TBTCl 내성세균의 개체수를 조사하였다. 광양만에서 TBTCl 내성세균의 개체수는 해수에서 $2.5{\times}10^3-3.8{\times}10^3$ cfu/mL 범위였으며, 표층 퇴적물에서 TBTCl 내성세균의 개체수는 $3.2{\times}10^5-9.1{\times}10^5$ cfu/g 범위였다. 광양만에서 TBTCl 내성세균의 종조성은 Vibrio spp. (19.2%)가 가장 높은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Bacillus spp. (16.2%), Aeromonas spp. (15.2%), Pseudomonas spp. (13.1%), Klebsiella spp. (11.1%), Alteromonas spp. (9.1%), Pantoea spp. (6.1%), Proteus spp. (3.0%), Listeria spp. (2.0%), unidentified (5.0%)의 순으로 우점하였다. 또한 11개의 대표적인 TBTCl 내성균주는 여러 중금속들(Cd, Cu, Hg 및 Zn)에도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중에서 가장 강한 TBTCl 내성을 보이는 T7 균주를 선별하여, API 20NE등을 이용하여 본 균주의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T7 균주는 16S rRNA gene 염기서열 분석에 의해 Pantoea 속으로 동정되어 Pantoea sp. T7으로 명명되었다. 또한 본 균주는 $500{\mu}M$의 TBTCl 농도에서도 60시간 배양 후에 정상 균주 성장의 50.7%까지 증식하였다. Pantoea sp. T7의 생물학적 TBTCl 분해활성은 GC-FPD 분석에 의해 측정되었는데, $100{\mu}M$의 TBTCl 농도에서 배양 40시간 후에 TBTCl 제거 효율은 62.7%로 나타났다.

Temporal distribution, influencing factors and pollution sources of urban ambient air quality in Nanchong, China

  • Zhou, Hong;Li, Youping;Liu, Huifang;Fan, Zhongyu;Xia, Jie;Chen, Shanli;Zheng, Yuxiang;Chen, Xiaocui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260-267
    • /
    • 2015
  • The $PM_{10}$, $SO_2$ and $NO_2$ mass concentrations were obtained over five years from monitoring stations across Nanchong, a southwest city in China. Changes in urban air quality over time, as well as the factors influencing that change, were evaluated based on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the Air Pollution Index (API), and the Comprehensive Pollution Index (P).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annual mean $PM_{10}$, $SO_2$ and $NO_2$ concentrations over the five years studied were $61.1{\pm}1.1$, $45.0{\pm}3.9$ and $34.9{\pm}4.9{\mu}g{\cdot}m^{-3}$, respectively. The annual mean concentrations displayed a generally decreasing trend; lower than the annual mean second-level air quality limit. Meanwhile, the annual mean API values were in a small range of 52-53, the air quality levels were grade II, and P values were 1.06-1.21 less than the slight level ($P{\leq}1.31$). Total monthly mean $PM_{10}$, $SO_2$, $NO_2$ concentrations, and API and P values were consistently higher in winter and spring than during autumn and summer. The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temperature and pressure were the major meteorological factors influencing pollution levels. Pollution sources included industrial coal and straw burning, automobiles exhaust and road dust, fireworks, and dust storms.

DEHP, DEP and DBP Exposure Analysis using Urinary Metabolites of Gyonggi Province University Students

  • Lee, JangWoo;Kho, YoungLim;Kim, SungKyoon;Choi, Kyungho;Hwang, SeongHee;Jeong, Jeeyeon;Kim, Pangyi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408-417
    • /
    • 2013
  • Objectives: Phthalates are used as plasticizers in polyvinyl chloride (PVC) plastics. As phthalate plasticizers are not chemically bound to the PVC, they can leach, migrate or evaporate into indoor air and atmosphere, foodstuffs, other materials, etc. Therefore, humans are exposed through ingestion, inhalation, and dermal exposure over their entire lifetime, including during intrauterine development. In particular, university students have a great number of opportunities to contact products including phthalates during campus life (food packaging, body care products, cosmetic, lotions, aftershave, perfume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evels of phthalate exposure as undergraduate students begin to use pharmaceuticals and personal care products including phthalates. Methods: Phthalate metabolites, mono-ethyl phthalate (MEP), mono-n-butyl phthalate (MnBP), mono-isobutyl phthalate (MiBP), mono-2- ethylhexyl phthalate (MEHP), {(mono-(2-ethyl-5-hydroxyhexyl) phthalate (MEHHP}, and mono-(2-ethlyl-5-oxohexyl) phthalate (MEOHP} were examined. 80 urine samples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LC/MS/MS(API 4000, Applied Bioscience) with on-line enrichment and columnswitching techniqu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at Y university located in Gyonggi Province from 2008 to 2011. Results: The detection limit of phthalate metabolites were 0.03 ng/mL for MEP, 0.11 ng/mL for MnBP, 0.08 ng/mL for MiBP, 0.93 ng/mL for MEHP, 0.19 ng/mL for MEOHP and 0.16ng/mL for MEHHP. MnBP showed the highest urinary levels (median: 31.6 ug/L, 24.8 ug/g creatinine (cr)). Concentrations were also high for MEHHP (median: 24.1 ug/L, 19.0 ug/g cr), followed by MEOHP (median: 22.8 ug/L, 17.9 ug/g cr). In individual cases, the maximum level reached up to 348 ug/L, and 291 ug/g cr, respectively. The urinary and creatinine adjusted levels of MEP were lower than those for DBP and DEHP metabolites, but were higher in 95th percentiles. As a result, the mean daily DEP intake value was 2.3 ${\mu}g/kg$ bw/day, 3.5 ${\mu}g/kg$ bw/day for DEHP and 4.9 ${\mu}g/kg$ bw/day for DBP. Conclusion: These students' phthalate exposure levels were below the international safe level set by the EU, but higher than the 2012 KFDA survey of the age group from 3 to 18.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imchi with Enhanced Levels of $\gamma$-Aminobutyric Acid

  • Seok, Jae-Hwan;Park, Ki-Bum;Kim, Yo-Han;Bae, Mi-Ok;Lee, Myung-Ki;Oh, Suk-He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5호
    • /
    • pp.940-946
    • /
    • 2008
  • In the development of a nutrient enhanced functional food, kimchi was produced by using high $\gamma$-aminobutyric acid (GABA)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um as a starter strain. The strain isolated from kimchi was identified by using an API kit and named Lactobacillus sp. OPK 2-59. Kimchi was produced by 3 methods 1) monosodium glutamate (MSG) added (M group); 2) starter added (S group); 3) MSG+starter added (M&S group). The produced kimchi was fermented for 24 hr in an incubator at a temperature of $15^{\circ}C$ and stored at $0-1^{\circ}C$ to examine its characteristics. The M&S group exhibited a sharper increase in acidity and a steeper fall in pH as well as a higher number of lactobacilli. The M&S group kimchi had 18 mg/100 g (fresh weight, f.w.) of GABA, whereas the M and S group each had 6 mg/100 g (f.w.) GABA. According to functional evaluation, the M&S group kimchi, which has higher GAB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aste, color, texture, or smell, but the M&S group was generally superior. In summary, using Lactobacillus sp. OPK 2-59 and MSG, a high quality kimchi with increased GABA content can be produced as a functional food.

식품용 프로바이오틱 비스루트균의 주요 생균제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for Oral Bacteriotherapy of Gastrointestinal Disorders)

  • 백현동;정민용;정황영;김원석;김기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3-7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식품용 프로바이토틱 생균인 비스루트균의 인공위액과 인공담즙산에 대한 내성, 효소활성, 항생물질과 알콜에 대한 내성, 그리고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기작 등 주요 생균제 특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인공위액 내성 실험에서는 pH 2.5로 조성된 인공위액을 통과한 생존율이 매우 높았으며 균수가 $2.4{\times}10^7\;CFU/mL$의 수준이었다. 인공담즙산에 대한 내성에서는 pH 2.5의 인공위액을 통과한 비스루트균의 인공담즙산의 내성은 oxgall이 함유되지 않은 대조구$(1.6{\times}10^7\;CFU/mL)$에 비해 오히려 균수가 증가되었으며, 최종적인 생존수가 $3.3{\times}10^7\;CFU/mL$ 으로 확인됨으로써 프로바이오틱 생균으로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효소활성을 측정한 결과, 비스루트균은 발암효소인 ${\beta}-glucuronidase$${\beta}-glucosidase$ 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항생물질에 대한 내성은 rifamycin $10\;{\mu}g/mL$ 이상의 농도에 대해서는 생육 저해를 보였으나, $nisin(100\;{\mu}g/mL)$, $streptomycin(20\;{\mu}g/mL)$, $tetracycline(20\;{\mu}g/mL)$에 대해 내성을 보였다. 그리고 비스루트균의 알콜에 대한 내성은 4%의 농도에서 저해를 받았으며, 8%의 농도에서 더욱 저해를 받으나, $8{\sim}32%$ 범위의 농도에서는 균수가 더욱 크게 감소를 하지는 않았다. Listeria에 대한 향균기작을 측정한 결과, 24시간이내에 L. monocytogenes ATCC 19111을 완전히 저해를 하였으며, bactericidal한 양상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비스루트균의 프로바이오틱 특성은 기능성 식품의 개발 등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DNPH cartridge/LC-MS 방법에 의한 카르보닐화합물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Carbonyl Compounds using DNPH Cartridge with LC-MS)

  • 조덕희;송일석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01-208
    • /
    • 2006
  • Several carbonyl compounds are important because of their irritant and toxic properties, mutagenicity and carcinogenicity. Therefore, they are regulated in korean odor emission standard. In this study, atmospheric pressure ionization-mass spectrometry(API-MS) is used for the analysis of carbonyl compounds after derivatization with 2, 4-dinitrophenylhydrazine (DNPH) and liqu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In the negative ion mode, the $[M-H]^-$ pseudomolecular ions are most abundant for the carbonyls. Analytical parameters such as linearity, repeatability and minimum detection limit were evaluated. The linearities ($r^2$) for carbonyls were $0.9977{\sim}0.9999$ when analyte concentration ranges from $25\;to\;250{\mu}g/L$(n=6).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 for carbonyls were $0.55{\sim}3.51%$ for concentration of $100{\mu}g/L$(n=5). The minimum detection limit (MDL) was $1.88{\mu}g/L$(0.27 ppb) for i-valeraldehyde. It was shown that LC-MS method has a great potential for carbonyl compounds analysi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ABA Produc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255 Isolated from Kimchi

  • Park, Sun-Young;Kim, Kee-Sung;Lee, Myung-Ki;Lim, Sang-D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95-602
    • /
    • 2013
  • As a major inhibitory neurotransmitter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in animals, ${\gamma}$-aminobutyric acid (GABA) has several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anti-hypertensive, diuretic, tranquilizer and anti-stress effects in human. In order to determine strains with high GABA producing ability and glutamate decarboxylase (GAD) activity, 273 bacteria were isolated from various types of Kimchi. Strain K255 contained $386.37{\mu}g/mL$ of GABA in MRS broth containing 1% MSG, $600.63{\mu}g/mL$ of GABA in MRS broth containing 2% MSG and $821.24{\mu}g/mL$ of GABA in MRS broth containing 3% MSG. It showed that K255 had the highest GABA production ability compared to other commercial lactic acid bacteria. K255 was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based on its API carbohydrate fermentation pattern and 16S rDNA sequence. K255 was investigated for it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optimum growth temperature of K255 was $37^{\circ}C$and cultures took 13 h to reach the pH 4.4. K255 showed more sensitive to bacitracin in a comparison of fifteen different antibiotics, and showed most resistance to kanamycin and vancomycin. Moreover, it was comparatively tolerant to bile juice and acid and displayed resistance to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Staphylococcus aureus, with rates of 30.8%, 29.7%, and 23.4% respective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K255 could be an excellent strain for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products.

Lactobacillus brevis 균주를 이용한 다래 수액에서의 감마아미노뷰티르산 (γ-Aminobutyric Acid) 생산 최적화 (Optimization of γ-Aminobutyric Acid Production Using Lactobacillus brevis spp. in Darae Sap)

  • 정명교;정지희;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4-222
    • /
    • 2016
  • 본 연구는 기능성 물질인 GABA를 생성하는 젖산세균을 분리하고 다래 수액을 이용하여 GABA 생산을 위한 배지의 최적화를 목표로 하였다. 다래 수액 발효에 이용할 고효율의 GABA 생성 균주 분리를 위해 젖산세균이 많다고 알려진 시료들에서 균주들을 채취하여 MRS broth에 접종 후 $37^{\circ}C$에서 24시간동안 배양 후, 효소적 방법을 이용해 균주가 생산하는 GABA양($605.67{\mu}g/mL$)을 측정하여 분리 선별하였다. 그리고 선별한 균주를 생리, 생화학적인 시험과 API 50 CHL을 이용한 당 발효 시험, 그리고 16s rDNA 분석을 통한 결과, L. brevis CFM11로 명명하였다. 선발된 젖산세균주의 생육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온도(25, 32, 37, $45^{\circ}C$)와 시간(0, 24, 48, 72 h)에 따른 특성을 측정한 결과 $32^{\circ}C$, 48시간 배양했을 때 가장 높은 GABA 생성량과 생육조건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L. brevis CFM11를 이용한 발효 시 다래 수액에 부족할 수 있는 발효 영양원을 보충하고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미강추출물을 첨가하여 발효에 이용하였고, 또한 높은 농도의 GABA 생성을 위해 다양한 영양원과 젖산세균의 GABA 생성을 증가시킨다고 알려진 MSG를 첨가하여 최적 발효 조건을 찾은 결과, 미강추출물 40%, sucrose 1.0%, soytone 3.0%, magnesium sulfate 0.2%, MSG 0.2% 첨가하는 것이 다래 수액 발효를 위한 최적 조건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화된 다래 수액에 L. brevis CFM11를 이용하여 발효를 한 결과, 균주의 최적 생육 조건인 $32^{\circ}C$ 48시간 배양 시 가장 높은 GABA 생성량인 $1366.13{\mu}g/mL$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분리 균주인 L. brevis CFM11를 이용하여 발효 시 다래 수액 내에서 높은 효율의 GABA를 생성 가능하다고 판단되며, 이로 인해 GABA의 기능성이 더해진 젖산세균 발효음료의 상업적 생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에서 수집된 케퍼 그레인의 특성에 대한 연구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Kefir Grains Collected from Korean)

  • 박선정;주영철;장윤현;차성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2-268
    • /
    • 2003
  • Locals 케퍼 그레인은 코카서스 지방에서 유래한 전통적인 발효유이며, 주로 젖산균과 효모로 우유를 발효시켜서 만든다. 국내에서 수집한 10종류의 케퍼 그레인 중에서 6종류가 포도송이 형태나 융털, 나뭇잎, 좁쌀, 수건 같은 특징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었으며, 젤라틴같이 끈적한 조직감을 나타냈다. 케퍼 그레인에서 우점하는 미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SPC, MRS, Ml7, Rogosa와 APT 한천배지와 petrifilm을 사용하여 일반세균과 효모를 계수하였다. 5종류의 한천배지 중에서 가장 검출률이 좋았던 것은 SPC, MRS와 Rogosa 한천배지였으며, Ml7과 APT 한천배지에서는 균락의 수가 매우 적었는데, 이는 케퍼 그레인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가 대부분 젖산간균이었기 때문으로 추정되었다. 각 케퍼 그레인당 50여개 정도의 균락을 분리하여 API 50 CHL kit로 동정한 결과 Lactobacillus fermentum과 Lb. brevis가 각각 41∼88%와 2∼54%의 점유율을 나타내는 우점균으로 밝혀졌다. 이 외에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가 소수로 검출되었으며, 일반세균은 전체적으로 $10^{8}$ cfu/g 수준이었고, 효모는 $10^{6}$$10^{7}$ cfu/g수준이었다. 케퍼 그레인의 효과적인 보존방법을 찾기 위하여 멸균된 10%환원탈지유와 혼합하여 동결건조한 것, 3개월간 냉장보존한 것, 그리고 6개월간 냉동보존한 것, 그리고 케퍼 그레인 자체로 냉동보존한 것을 비교 평가하였다. 그 결과, 냉동보존한 케퍼 그레인의 복원시 산 생성력이 우수하였으나 15개월 냉동건조한 케퍼 그레인이 냉장 또는 냉동보관한 케퍼 그레인에 비하여 산 생성력이 우수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미와 이취도 거의 없어 가장 좋은 보존방법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