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3G

검색결과 16,657건 처리시간 0.054초

터널환기 무창육계사의 분진크기별 분포와 배출농도에 관한 연구 (Dust Spatial Distribution and Emission of Tunnel Ventilated Windowless Broiler Building)

  • 최희철;연규영;송준익;강희설;권두중;유용희;양창범;천상석;김용국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5-122
    • /
    • 2006
  • 본 연구는 터널환기 무창육계사의 계사내부의 위치별 먼지 농도 분포와 배기홴에서 배출된 먼지의 확산범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기구 방향의 계사 1/4 지점의 먼지농도는 TSP의 경우 $301.0{\sim}1,366.0\;{\mu}g/m^3$으로 입기구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2. 터널홴 앞 3m 지점에서는 TSP $2065.8{\sim}3,092.2\;{\mu}g/m^3$, PM 2.5 $27.6{\sim}36.3\;{\mu}g/m^3$, PM 1.0 $8.3{\sim}11.3\;{\mu}g/m^3$으로 입기구에 비하여 증가하였다. 3. 배기홴으로부터 3m의 지점의 먼지 배출량은 TSP $354.8{\sim}574.8\;{\mu}g/m^3$으로 매우 높았으며 PM10 $94.4{\sim}156.2\;{\mu}g/m^3$, PM2.5 $14.6{\sim}18.0\;{\mu}g/m^3$, PM1.0 $6.0{\sim}6.4\;{\mu}g/m^3$ 이었다. 4. 배기홴으로부터 50m 떨어진 지점에서의 분진농도는 TSP $25.1\;{\mu}g/m^3$, PM10 $8.8\;{\mu}g/m^3$, PM2.5 $5.6\;{\mu}g/m^3$, PM1.0 $4.9\;{\mu}g/m^3$으로 매우 낮은 분진농도를 보였다. 5. 입기구와 배기구 간 분진농도의 차이는 TSP의 경우 입기구에서 $317.9\;{\mu}g/m^3$인데 비하여 배기구는 $2,678.5\;{\mu}g/m^3$로 8.42배 높았으며 PM10 7.4배, PM2.5 3.4배, PM1.0 1.6배 높았다. 6. 배기홴으로부터 거리별 분진의 배출농도는 3m 지점에서 $446.6\;{\mu}g/m^3$ 이었으나 20 m 지점에서는 $156.3\;{\mu}g/m^3$로 34.9% 수준이었고 PM10 34.9%, PM2.5 48.7%, PM1.0 86.8% 수준이었다.

  • PDF

울산 대기 중 중금속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eavy Metals in the Ambient Air of Ulsan Area)

  • 문지용;김영복;이지영;정기호
    • 분석과학
    • /
    • 제14권5호
    • /
    • pp.442-45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2000년 3월부터 9월까지 울산지역의 대기 중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중금속의 분포 특성을 살펴보고 그 오염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시료는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전처리를 하였으며, 중금속(크롬, 구리, 아연, 카드뮴, 니켈, 비소, 그리고 납)에 대한 분석은 유도결합 플라스마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대기 중 미세 먼지의 최대 양은 $85.6{\mu}g/m^3$로 타났으며 평균은 $37.1{\mu}g/m^3$였다. 각 중금속의 최대 농도는 철 $2.5{\mu}g/m^3$ (여천동), 아연 $0.41{\mu}g/m^3$ (남목2동), 카드뮴 $0.061{\mu}g/m^3$ (여천동), 납 $0.20{\mu}g/m^3$ (여천동), 니켈 $0.037{\mu}g/m^3$ (여천동), 구리 $0.88{\mu}g/m^3$ (야음동), 크롬 $0.042{\mu}g/m^3$ (야음동), 그리고 비소는 $0.015{\mu}g/m^3$ (온산)를 나타냈다. 중금속 농도 사이의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남목2동에서 니켈과 아연이 상관계수 0.87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미세먼지가 위성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Fine Particles to Satellite Signal)

  • 유승덕;홍완표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25-134
    • /
    • 2012
  • 본 연구는 대기중에 포함된 미세먼지(PM10: 지름 $10{\mu}m$ 이하크기의 미세먼지)가 위성신호전송주파수대역에 미치는 영향을 해석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먼지 농도별 위성신호감쇠 정도를 해석을 위하여 $50{\mu}g/m^3$이하, $100{\mu}g/m^3$이하, $200{\mu}g/m^3$, $400{\mu}g/m^3$이하, $800{\mu}g/m^3$이하, $1,600{\mu}g/m^3$이하, $3,200{\mu}g/m^3$이하로 총 7단계로 분류하여 해당 농도가 위성신호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 하는 연구이다.

최근 5년간 부산지역의 미세먼지(PM10)농도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PM10) Concentration in Busan for Five Years)

  • 전병일;황용식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6호
    • /
    • pp.533-542
    • /
    • 2007
  •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and meteorological analysis of high $PM_{10}$ concentration day which was over $100{\mu}g/m^3$ in busan were investigated for period of 2002 to 2006. Annual mean concentration including Asian dust day was $68.7{\mu}g/m^3$ in 2002, $54.6{\mu}g/m^3$ in 2003, $60.4{\mu}g/m^3$ in 2004, $58.3{\mu}g/m^3$ in 2005 and $58.8{\mu}g/m^3$ in 2006, respectively. Seasonal mean concentration was $73.4{\mu}g/m^3$ in Springtime, $56.8{\mu}g/m^3$ in Summertime, $55.5{\mu}g/m^3$ in Wintertime and $54.4{\mu}g/m^3$ in Falltime, respectively. Mean concentration for land use was 69.2 $37.0{\mu}g/m^3$ in industrial area, 64.2 $35.5{\mu}g/m^3$ in rural area, 62.6 $34.4{\mu}g/m^3$ in commercial area and 55.3 $33.8{\mu}g/m^3$ in residential area, respectively. Frequency of synoptic pattern for high $PM_{10}$ concentration day was 18 days(16.7%) in I type, 27 days(25.0%) in II type, 10 days(9.3%) in III type, 5 days(4.6%) in IV type, 13 days(12.0%) in V type and 29 days (26.9%) in VI type, respectively. Frequency of long range transport sector for high $PM_{10}$ concentration day was 9 days(8.3%) in I type, 64 days(59.5%) in II type, 34 days(31.5%) in III type, 1 days in IV type, 0 days, respectively.

금호강 오염의 종합적 조사 (A Survey of the Kumho River Pollution)

  • 배준웅;이상학;이성호
    • 분석과학
    • /
    • 제15권1호
    • /
    • pp.54-66
    • /
    • 2002
  • 금호강 수계의 수질판정과 낙동강 본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2000년 5월부터 2001년 2월까지 5월, 8월 및 12월 3회에 걸쳐 16개 지점에서 BOD 등 총 24개 항목의 수질을 측정하였다. 각 지점별 항목별 대표적인 특징을 조사기간 전 3년간의 연구결과("전 연구결과")와 비교하여 다으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조사기간의 금호강 전 지점에 대한 각 항목의 평균값은 다음과 같다. 수온 $17.71^{\circ}C$, pH 8.06, BOD $2.26{\mu}g/mL$ COD $5.58{\mu}g/mL$, DO $7.13{\mu}g/mL$ SS $4.73{\mu}g/mL$ 전기전도도 $570.0{\mu}S/cm$ 유지류 $0.20{\mu}g/mL$ ABS $0.016{\mu}g/mL$ Phenol $0.29{\mu}g/mL$ 영양염류인 Total-N $5.03{\mu}g/mL$ Total-P $0.27{\mu}g/mL$ 이 었다. 중금속류인 Cu $0.005{\mu}g/mL$, Zn $0.007{\mu}g/mL$ Fe $0.044{\mu}g/mL$, Mn $0.001{\mu}g/mL$ 이었다. 한편 As, Cd, Cr 및 Pb는 불검출되었다. 금호강 전 지점에서 평균값으로 "전 연구결과" 와 비교할 때에 오염이 증가된 항목은 페놀 $NH_3-N$$NO_2-N$이며, 감소된 항목은 BOD, COD, SS, 유지류 ABS 등이고, 기타 항목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금호강 수질이 낙동강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는 다음과 같다. 금호강 하천수의 유입 전 지점 14와 유입 후 지점 16의 평균값으로서 BOD 1.07 에서 $1.42{\mu}g/mL$ COD 1.99에서 $2.44{\mu}g/mL$ 전기 전도도 221에서 $392{\mu}S/cm$ 총질소 2.21에서 $2.81{\mu}g/mL$ 총인 0.08에서 $0.19{\mu}g/mL$ 유지류 0.15에서 $0.16{\mu}g/mL$ ABS 0.006에서 $0.015{\mu}g/mL$ 페놀 0.06에서 $0.07{\mu}g/mL$으로 변화를 보였다.

Effect of Ganglioside $G_{M3}$ on the Erythrocyte Glucose Transporter (GLUT1): Conformational Changes Measured by Steady-State and Time-Resolved Fluorescence Spectroscopy

  • Yoon, Hae-Jung;Lee, Min-Yung;Jhon, GiI-Ja
    • BMB Reports
    • /
    • 제30권4호
    • /
    • pp.240-245
    • /
    • 1997
  • Interactions between ganglioside $G_{M3}$ and glucose transporter, GLUT1 were studied by measuring the effect of $G_{M3}$ on steady-state and time-resolved fluorescence of purified GLUT1 in synthetic lipids and on the 3-O-methylglucose uptake by human erythrocytes. The intrinsic tryptophan fluorescence showed a GLUT 1 emission maximum of 335 nm, and increased in the presence of $G_{M3}$ by 12% without shifting the emission maximum, The fluorescence lifetimes of intrinsic tryptophan on GLUT1 consisted of a long component of 7.8 ns and a short component of 2,3 ns and $G_{M3}$ increased both lifetime components. Lifetime components were quenched by acrylamide and KI. Acrylarnide-mduced quenching of long-lifetime components was partly recovered by $G_{M3}$ However. KI-induccd quenching of short- and long-lifetime components was not rescued by $G_{M3}$. The anisotropy of 1.6-diphenyl-1.3.5-hexatriene (DPH)-probed dimyristoylphosphatidylcholine (DMPC) model membrane was also increased with $G_{M3}$ incorporation, The transport rate of 3-O-methylglucose increased by 20% with $G_{M3}$ incorporation on the erythrocytes, Therefore, $G_{M3}$ altered the environment of lipid membrane and induced the conformational change of GLUT1.

  • PDF

Characteristics of Fine Particle and Metallic Elements at School Classroom in Summertime

  • Jeon, Byung-Il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673-679
    • /
    • 201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ndoor air quality by analyzing $PM_{10}$ concentration and metallic elements collected from high school(classroom, science room, assembly room). $PM_{10}$ concentration of a classroom, a science room, and an assembly hall during the research period was 87.7 ${\mu}g/m^3$, $75.3{\mu}g/m^3$, $64.6{\mu}g/m^3$, respectively. Si of $PM_{10}$ had highest concentration with 15,427 $ng/m^3$ followed by Na which had 7,205 $ng/m^3$, and the order was Si>Na>Ca>Mg>Fe>K in the classroom. $PM_{10}$ concentration of a classroom and a science room was each 104.8 ${\mu}g/m^3$ and 75.3 ${\mu}g/m^3$ during the semester and $PM_{10}$ concentration of a classroom and an assembly hall was each 80.9 ${\mu}g/m^3$ and 64.6 ${\mu}g/m^3$ during the summer vacation. Based on $PM_{10}$ and metallic concentration at a classroom on day of week, the concentration of Friday was highest with 112.0 ${\mu}g/m^3$, and that of Monday was lowest with 65.3 ${\mu}g/m^3$.

튜브식 겔형 납축전지에 있어서 활물질 밀도에 따른 싸이클 수명 특성 (Influence of Filling Density in the Positive Active-material on the Cycle-life Performance of the Tubular Type Gelled Valve Regulated Lead Acid Batteries)

  • 윤연섭;김병관;이수;김규태
    • 공업화학
    • /
    • 제10권3호
    • /
    • pp.415-418
    • /
    • 1999
  • 튜브식 양극판과 겔전해액을 사용한 VRLA (valve regulated Iead-acid) 전지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 (active material)의 충전 밀도에 따른 충 방전 싸이클 특성을 고찰하였다. VRLA전지에 사용된 양극 활물질의 밀도는 각각 3.2g/mL, 3.4g/mL 및 3.6g/ml 이었다. VRLA전지는 IU 방식 ($I_{max}=0.2C_{10}/10$, 상한 전압 2.40 v/cell)의 충전과, D.O.D 100%/C5의 방전 방법으로 충 방전 싸이클 수명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은 $25{\pm}1^{\circ}C$의 항온항습기에서 실행하였다. 시험 결과 활물질 밀도별 VRLA전지의 초기 용량은 밀도와 무관하였다. 즉 3.4g/mL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3.6g/mL에서 가장 낮았다. 충 방전 싸이클에서의 특성은 3.6g/mL인 전지는 3.4g/mL와 거의 유사하였고, 3.2g/mL보다는 크게 우수하였다. 또한 VRLA 전지의 수분고갈 및 열화는 양극 활물질의 충전 밀도가 높을수록 적었다. 이상으로 충 방전 싸이클용 VRLA전지의 양극 활물질의 밀도는 3.4~3.6g/mL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보육시설 실내공기 중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계절적 농도변화에 대한 연구 (Seasonal vari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in indoor air of daycare centers)

  • 장성기;천재영;김성연;박숙영;류정민;임정연;이우석
    • 분석과학
    • /
    • 제20권6호
    • /
    • pp.474-482
    • /
    • 2007
  • 보육시설은 미취학전 아이들에게 중요한 실내 환경이며 하루 중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영유아들에 잠재적인 유해한 건강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6년 2월에서 12월에 걸쳐 서울에 위치한 보육시설 29개 시설을 선정하여 실태조사를 하였다. 측정물질은 휘발성유기화합물 중 7개의 물질(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m, p-자일렌, 스틸렌, o-자일렌 및 TVOC)을 선정하였다. 보육시설에서의 TVOC, 톨루엔, m, p-자일렌, 에틸벤젠, 벤젠 그리고 스틸렌의 평균농도는 $318.7{\mu}g/m^3$, $51.6{\mu}g/m^3$, $11.7{\mu}g/m^3$, $6.5{\mu}g/m^3$, $4.2{\mu}g/m^3$, $3.6{\mu}g/m^3$이고, 정성분석된 TVOC 중 톨루엔은 17.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TVOC와 톨루엔의 실내/실외 농도비는 각각 2.0, 1.6으로 나타났다. TVOCs의 계절에 따른 오염물질의 특성결과는 여름이 $433.9{\mu}g/m^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계절은 겨울 280.5, 봄 298.3 및 가을 $264.6{\mu}g/m^3$로 비슷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Charcoal on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Barley Sprouts

  • Salitxay, Timnoy;Kim, Yeon Bok;Chang, Kwang Jin;Kalam, Azad Obyedul;Cho, Dong Ha;Park, Cheol Ho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3-133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charcoal on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barley sprouts. Five treatments were employed based on different amount and treatment method along with control. Barley seeds were soaked in water for 8 hours. Two types of topping treatment were applied such as, charcoal: 100 g (designated as T1) and charcoal: 200 g (T2). Three kinds of mixing treatment were as follows: barley seeds were mixed with 100g of charcoal (designated as M1), with 200g of charcoal (M2), and with 300g of charcoal(M3). The control did not have any charcoal. In our finding, germination rates were observed 53.3% (control), 26.3%(T1), 36.3%(T2), 67.3%(M1), 81.7%(M2), and 79.7%(M3) at three days after inoculation (DAI). Length of radicle was found at 0.90 cm (control), 0.88 cm (T1), 0.99 cm (T2), 1.03cm (M1), 1.66 cm (M2), and 0.70 cm (M3) in 3 DAI. In addition, sprout length was found 4.5 cm (control), 10.4 cm (T1), 11.9 cm (T2), 5.7 cm (M1), 6.3 cm (M2), and 2.1 cm (M3) in 14 DAI. Fresh weight of sprouts were 0.78g (control), 1.03g (T1), 1.07g (T2), 0.96g (M1), 1.07g (M2), and 0.95g (M3). Among the treatment, topping of seeds on 200g of charcoal (T2) showed longest sprout length and fresh weight. Mixing treatments showed higher germination rates and sprout fresh weight. The results may be attributed to difference in micro-climate conditions (mostly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growth boxes in different treat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