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3

검색결과 79,523건 처리시간 0.085초

아미노산, Polyamine 및 flavonoid 첨가가 복숭아 화분의 저온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 Acid, Polyamine, and Flavonoid on the Pollen Germination of Peach(Prunus persica SIEB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 천병덕;최인수;강점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1-715
    • /
    • 2006
  • 복숭아는 다른 과수에 비하여 개화기가 빨라 저온으로 인한 화분발아 장해로 결실율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복숭아의 화분 발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화분발아 배지에 아미노산, polyamine, flavonoid 등을 첨가하여 일련을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온에서 배지내 첨가물질로써 asparagine, glutamine, spermine, putrescine, kaemferol이 유효하였으며, 이들의 적정농도는 asparagine과 glutamine는 10 mM, spermine 100 mM, putrescine 1000 uM, kaemferol은 1.0 uM 이였다. 저온에서 발아율이 높았던 처리는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혼용조합이었고, 다음이 $100\;mg{\cdot}L^{-1}\;H_3BO_3+10\;mM$ glutamine 혼용조합, $100\;mg{\cdot}L^{-1}\;H_3BO_3+200\;{\mu}M$ spermine 혼용조합 순이었다. 기본배지에 치상된 ‘장택백봉’의 화분 발아율은 25.4%, '수봉' 13.9% 불과하였으나,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첨가된 배지는 두 품종 모두 대조구보다 화분 발아율이 $18{\sim}19%$ 증진되었다. 아미노산과 폴리아민 첨가에 의한 화분발아율 증진 효과는 '장택백봉' 보다는 '수봉'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단결정 0.7Pb(Mg1/3Nb2/3)O3-0.3PbTiO3 의 상전이에 미치는 전장의 영향 (Effect of Electrical Field on the Phase Transformation of 0.7Pb(Mg1/3Nb2/3)O3-0.3PbTiO3 Single Crystals)

  • 이은구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329-333
    • /
    • 2013
  • The structural phase transformations of $0.7Pb(Mg_{1/3}Nb_{2/3})O_3-0.3PbTiO_3$ (PMN-0.3PT) were studied using high resolution x-ray diffraction (HRXRD)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and electric field. A phase transformational sequence of cubic (C)${\rightarrow}$tetragonal (T)${\rightarrow}$rhombohedral (R) phase was observed in zero-field-cooled conditions; and a $C{\rightarrow}T{\rightarrow}$monoclinic $(M_C){\rightarrow}$ monoclinic ($M_A$) phase was observed in the field-cooled conditions. The transformation of T to $M_A$ phase was realized through an intermediate $M_C$ phase. The results also represent conclusive and direct evidence of a $M_C$ to $M_A$ phase transformation in field-cooled conditions. Beginning from the zero-field-cooled condition, a $R{\rightarrow}M_A{\rightarrow}M_C{\rightarrow}T$ phase transformational sequence was found with an increasing electric field at a fixed temperature. Upon removal of the field, the $M_A$ phase was stable at room temperature. With increasing the field, the transformation temperature from T to $M_C$ and from $M_C$ to $M_A$ phase decreased, and the phase stability ranges of both T and $M_C$ phases increased. Upon removal of the field, the phase transformation from R to $M_A$ phase was irreversible, but from $M_A$ to $M_C$ was reversible, which means that $M_A$ is the dominant phase under the electric field. In the M phase reg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lattice parameters and tilt angles were weakly temperature dependent over the range of investigated temperatures.

Microbial Conversion of Ginsenoside from the Extract of Korean Red Ginseng (Panax ginseng) by Lactobacillus sp.

  • Cho, Hye-Jin;Jung, Eun-Young;Oh, Sung-Hoon;Yoon, Brian;Suh, Hyung-Joo;Lee, Hyun-Sun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5권2호
    • /
    • pp.105-112
    • /
    • 2010
  • Thirty-four strains of Lactobacillus species were isolated from soil and eight of these isolates (M1-4 and P1-4) were capable of growing on red ginseng agar. The M1 and P2 strains were determined to be L. plantarum and other strains (M2, M3, M4, P1, P3 and P4) were determined to be L. brevis. Fermentation of red ginseng extract (RGE) with strains M1, M2, P2 and P4 resulted in a low level of total carbohydrate content (174.3, 170.0, 158.8 and 164.8 mg/mL, respectively). RGE fermented by M3 showed a higher level of uronic acid than the control. The polyphenol levels in RGE fermented by M1, P1 and P2 (964.9, 941.7 and $965.3\;{\mu}g/mL$,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936.8\;{\mu}g/mL$). Total saponin contents in fermented RGE (except M1)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RGE fermented by M2 and M3 had the highest levels of total ginsenosides (31.7 and 32.7 mg/mL, respectively). The levels of the ginsenoside Rg3 increased from 2.6 mg/mL (control) to 3.0 mg/mL (M2) or 3.1 mg/mL (M3). RGE fermented by M2 and M3 also had the highest levels of Rg5+Rk1 (7.7 and 8.3 mg/mL, respectively). Metabolite contents of ginsenoside (sum of CK, Rh1, Rg5, Rk1, Rg3 and Rg2) of M2 (13.0 mg/mL) and M3 (13.9 mg/mL) were also at a high level among the fermented RGE. Protopanaxadiol and protopanaxatriol content of ginsenoside of M2 (10.9 and 5.4 mg/mL, respectively) and M3 (11.0 and 5.7 mg/mL, respectively) were at higher levels than other fermented RGE.

동결융해 후 토끼 정자의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와 Their Tissue Inhibitors (TIMPs) 발현 양상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and Their Tissue Inhibitors (TIMPs) in Frozen Sperm of Rabbit)

  • 김상환;최화식;윤종택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47-252
    • /
    • 2019
  • We observed MMPs expression in all sperm groups, with pro-MMP showing lower expression than active MMPs.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each freezing extender, the sperm membrane integrity (HOST: Hypoosmotic Swelling Test) analysis in TCGGD (Tris 250 mM, Citric acid 88 mM, Glucose 47 mM, Glycerol 3%, Dimethylsulpoxide 3.5 M) is 59.8 ± 0.7, TCGSD (Tris 250 mM, Citric acid 88 mM, Glucose 47 mM, Sucrose 0.1 M, Dimethylsulpoxide 3.5 M) is 59.3 ± 0.5 were significantly higher (p < 0.05) among the experimental groups. And MMPs analysis result, we observed MMPs expression in all sperm groups, with pro-MMP showing lower expression than active MMPs. The expression of active MMP-2 was the highest in sperms frozen in TCGSD and TCGD (Tris 250 mM, Citric acid 88 mM, Glucose 47 mM, Dimethylsulpoxide 3.5 M), Meanwhile, sperms from the TCGGD and TCGED (Tris 250 mM, Citric acid 88 mM, Glucose 47 mM, Ethylene glycol 3%, Dimethylsulpoxide 3.5 M) group showed lower level of active MMP-2 expressio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ding glycerol or sucrose to the sperm freezing buffer would not only suppress MMPs expression but also minimize DNA fragmentation, providing a mean to improve the success rate in the in vitro manipulation of rabbit sperm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CGGD or TCGSD extender method for freezing-thawing of rabbit sperm increased the viability after thawing.

차로 고속도로 차량 횡방향 주행궤적에 의한 차로별 적정폭 연구 (Evaluation of Variable Lane Width Need Based on Vehicle Lateral Displacement on Eight Lane Freeway)

  • 서정남;장명순;이풍희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9-156
    • /
    • 1997
  • 8차로 고속도로에서 중앙분리대와 길 어깨에 의해 측방 여유폭이 제공되는 외측차 로(1.4차로)와 측방 여유폭이 제공되지 않는 내측차로 (2.3차로)에서 나타나는 운전자의 횡 방향 주행특성을 4개 지점에서 비디오 촬영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차량의 횡 방향 주행궤적은 차로의 중심으로부터 주행방향의 좌측으로 이격된 주행 행태를 보이고 있 으며 이는 운전석의 위치에 의한 영향으로 판단된다. (2) 차량의 병행 주행시 외측 차로의 중심 이격 거리는 평균 0.38m이고 내측차로의 중심 이격 거리는 평균 0.34m로 나타났으며 T-test 겨로가 내측 차로와 외측 차로의 주행 이격 거리는 신뢰도 95%에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외측 차로의 주행궤적간 이격 거리는 평균 3.90m이고 내측 차로의 주행궤적 간 이격 거리는 평균 3.54m로서 내측 차로의 주행궤적간 이격 거리는 외측 차로의 주행궤 적간 이격 거리보다 0.36m 작다. 특히 내측 차로의 주행궤적간 이격 거리는 내측 차로간 차로 중심간 간격인 3.6m 보다 0.1m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내측차로 확장 대안으로 기존 도로폭 유지안 (3.5m, 3.7m, 3.5m)과 기존 도로폭 확장안 (3.6m, 3.7m, 3.7m, 3.6m)을 고려할 수 있으며 두 대안의 비교·분석결과 경제적 영향을 고려할 때 기존 도로폭 유지안이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가솔린 휘발가스의 바이오필터 처리에 관한 동력학적 연구 (Kinetics of the Biofilter Treating Gasoline Vapor)

  • 박준석;남궁완
    • 유기물자원화
    • /
    • 제9권3호
    • /
    • pp.70-76
    • /
    • 2001
  • 바이오필터를 적절하게 설계하고 처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바이오필터에서의 오염물질에 관한 동력학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가솔린 휘발가스의 바이오필터 처리시 분해특성을 동력학적으로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바이오필터 충전물질로는 퇴비를 사용하였으며, TPH 가스유입농도는 약 $300mg/m^3$에서 $7,000mg/m^3$로 하였다. 가스유입속도는 6m/hr와 15m/hr로 하였다. 6m/hr의 속도로 가스를 주입할 경우 $3,000mg/m^3$ 이하의 농도에서는 약 60%가 유입부분인 하층 25cm깊이에서 제거되었다. 가솔린 휘발가스의 제거특성은 1차 반응모델로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농도와 가스유입속도별로 1차 반응속도상수(k)를 비교한 결과 전체적으로 6m/hr에서의 k값이 15m/hr일 때보다 높게 나타났다. $3,000mg/m^3$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6m/hr일 때의 k값(0.09/min)이 15m/hr일 때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가스유입속도와 유입농도 그리고 1차반응속도상수 등을 검토한 결과 가솔린 휘발가스를 80% 이상제거하기 위해서는 100cm 충전높이에서 농도를 약 $2,000mg/m^3$ 이하로 주입하되 6m/hr의 가스유입속도를 유지시켜 주는 것이 필요하였다. 바이오필터 운전조건 중 가스속도를 통제하는 것이 가스농도를 통제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

  • PDF

충남 지역 공동주택의 미생물농도 분포특성에 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airborne bioaerosol concentration at the apartment in chungnam area)

  • 손부순;천재영;양원호;정태웅
    • 환경위생공학
    • /
    • 제20권4호통권58호
    • /
    • pp.21-30
    • /
    • 2005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distribution of bioaerosol in apartment houses in the region of Chungnam (Chunan, Asan) for 1 month, December, 2004.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By using SDA metho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microbe and fungus in the air inside and outside apartment house below 4 years are $69,42cfu/m^3\;and\;15.66cfu/m^3$, while apartment house over 4 years, $214.58cfu/m^3\;and\;216.43cfu/m^3$, respectively With gravitational sedimentation method,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microbe and fungus of apartmenthouse below 4 years are $100.63cfu/m^3\;and\;22.83cfu/m^3$, while apartment house over 4 years, $216.43cfu/m^3\;and\;70.000cfu/m^3$, respectively. 2. The I/O ratio of floating germ of apartment house below 4 years and over 4 years are 2.87 and 5.12 for total microbe, and 3.32 and 8.28 for fungus, respectively. The I/O ratio of falling germ of apartment house below 4 years and over 4 years are 1.55 and 2.81 for total microbe, and 2.85 and 4.08 for fungus, respectively. The apartment house below 4 years shows a low I/O ratio in all cases. 3.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microbe between inside master bedroom and living room of apartment house below 4 years is $13.183cfu/m^3$, total microbe, and $4.787cfu/m^3$, fungus, while, apartment house over 4 years, $43.531cfu/m^3$, total microbe, and $21.932cfu/m^3$, fungus. The measured differenc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4. Air sampler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microbe with the age of apartment house.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total microbe and fungus for outside apartment house below 4 years and over 4 years are $49.82cfu/m^3$ and $3.78cfu/m^3$, respectively. The difference of inside living room shows $160.23cfu/m^3$ for total microbe and $28.01cfu/m^3$ for fungus, and the difference of inside master bedroom shows $225.43cfu/m^3$ for total microbe and $56.73cfu/m^3$ for fungus. The differenc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outside apartment house below 4 years and years 4 years are $34.66cfu/m^3$, total microbe, and $15.66cfu/m^3$, fungus, while inside apartment house below 4 years and over 4 years, $196.93cfu/m^3,\;and\;78.67cfu/m^3$, respectively. The measured difference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12m × 3m 스틸 모듈러 시스템의 보-중간기둥 접합부 구조성능 (Structural Performance of Beam-Middle Column Connection of 12m × 3m Steel Modular System)

  • 심성철;이상현;조봉호;우성식;최문식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793-805
    • /
    • 2008
  • 최근 들어 군막사 및 학교건축물의 증축 등 공사기간의 최소화가 가장 중요시 되는 건설프로젝트에 모듈러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다. 기존 모듈러 시스템의 표준모듈은 ${6m\times3m}$로 모듈간 접합부에 기둥이 자주 중복되어 부재수와 벽체두께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2m\times3m}$ 모듈을 제안하였다. 이 모듈을 실현하기 위해 필수적인 다양한 중간기둥-보 접합상세를 제안하였으며, 실험과 해석을 통해 기둥-보 접합부의 최대하중과 파괴모드를 평가하였다. 해석 및 실험결과는 유한요소해석을 통해 비교적 정확히 접합부의 최대하중과 파괴모드를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안된 상세 중 일부는 기둥의 설계하중을 상회하는 강도를 보유하고 있어, ${12m\times3m}$모듈의 보-중간기둥 접합상세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3D 스캐너를 이용한 지하공동의 굴진장 및 여굴 평가 기초연구 (A Study on Assessment of Advance and Overbreak in Underground Excavation Utilizing 3D Scanner)

  • 노유송;김정규;고영훈;김승준;정소걸;양형식
    • 화약ㆍ발파
    • /
    • 제33권4호
    • /
    • pp.1-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채광 중인 광산을 대상으로 굴진장, 여굴, 미굴 등의 요소들을 효율적으로 산정하고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활용하여 공간좌표를 기록하는 point-cloud를 획득하였고, 3차원 모델링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지하 공동을 모델링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각 요소들을 고찰하였을 때 심발부 굴진장은 평균 2.6m, 전체는 평균 2.4m로 나타났으며, 천공장 3.8m를 기준하여 굴진율은 평균 심발부 67%, 전체 64%로 평가되었다. 또한 설계 단면을 기준으로 여굴량을 측정한 결과로 평균 좌측벽 $4.5m^3$, 우측벽 $4.5m^3$, 천반 $5m^3$, 총 $14m^3$로 측정되었으며, look-out을 기준으로 여굴량을 측정한 결과 좌측벽 $3m^3$, 우측벽 $3.1m^3$, 천반 $2.3m^3$, 총 $8.4m^3$로 측정되었다. 평균 굴착량 대비 여굴량은 설계 단면 기준 약 8%, look-out 기준 약 5%로 평가되었다.

몰리브덴(Ⅲ)과 바나듐(Ⅲ) 이핵 착물의 합성과 특성 (제5보)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Dinuclear Mo(Ⅲ) and V(Ⅲ) Complexes (Ⅴ))

  • 오상오;류은영
    • 대한화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530-537
    • /
    • 1995
  • $MCl_z(M=Mo;\;z=5,\;M=V;\;z=3)$과 N, P 주개 리간드를 acetonitrile 용매에서 반응시켜 중성 착물 $MCl_3(phda)(MeCN)]과 \; [MCl_3(PPh_3)_2(MeCN)](M=Mo,\;V)$을 합성하였다. Acetone 용액에서 이들 중성 착물과 AgClO_4$를 반응시켜 양이온 착물 $MCl_{3-n}L_2(MeCN)(S)_n](ClO_4)_n$(n=1,2:s=solvent)을 얻었다. 염소가 연결된 $[(MeCN)(phda)ClM({\mu}-Cl)_2M'Cl(PPh_3)_2(MeCN)](ClO_4)_2$ 및 pyrazine이 연결된 $[(MeCN)(phda)Cl_2M({\mu}-pyz)M'Cl_2(PPh_3)_2(MeCN)](ClO_4)_2$형의 호모(M=M'), 헤테로 $(M{\neq}M')$ 이핵 착물을 합성하였다. 합성한 착물들은 원소분석과 적외선, $^1H,\;^13C$ 핵자기 공명 및 전자 흡수스펙트럼을 이용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