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184V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6초

정상적(正常的)인 한우(韓牛)의 심전도(心電圖)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흉부단극유도(胸部單極誘導)의 파형(波形)과 전위(電位) (Studies on electrocardiogram of the normal Korean native cattle II. Wave forms and amplitudes of the unipolar precordial chest leads)

  • 최인혁;김수용;김남수;서두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35-746
    • /
    • 1993
  • Electrocardiographic parameters of amplitude and the shape of waves on the unipolar precordial chest leads in the normal Korean native cattles have been measured with a 3 channel electrocardiograph built in a computed and analysis. The study was conducted on 98 heads of mean age of 17.6 months. The wave forms of P, T and QRS complex wave in all leads showed various types. The parameters of the amplitude in the wave types showed the most frequency in each lead that were analyzed as follow : 1. In P wave, amplitudes of positive type showed a frequency of 92.9% and 93.9% in leads $CV_6LU$ and $CV_6LL$ that were $83.8{\pm}31.0{\mu}V$ and $76.0{\pm}30.7{\mu}V$, and negative type showed a frequency of 97.9% in lead V 10 that were $-80.2{\pm}29.4{\mu}V$, respectively. But the plate type in leads $CV_6RU$ and $CV_6RL$ showed frequency of 48% and 58.3%, respectively. 2. Average amplitude of the QRS complex were in a range of $277.0{\pm}154.0{\mu}V$ to $648.2{\pm}146.2{\mu}V$(mean of $418.8{\pm}139.4{\mu}V$) in all leads that were manifested the Low-Voltage QRS complex(below 1 mV in unipolar precordial leads). Average amplitudes of each wave type in the QRS complex were $-250.0{\pm}139.8{\mu}V$ and $-399.2{\pm}226.8{\mu}V$ in the QS group types that showed a frequency of 50.0% and 82.5% in the leads $CV_6LU$ and $CV_6LL$, respectively. And average amplitudes of the R group types showed a frequency of 85.6%, 56.1% and 75.8% in the $CV_6RU$, $CV_6RL$ and $V_{10}$ that were $321.5{\pm}142.1{\mu}V$, $271.6{\pm}139.9{\mu}V$ and $552.4{\pm}132.7{\mu}V$, respectively. 3. In T waves, Amplitudes of the positive type showed a frequency of 60.2%, 46.9% and 83.7% in leads of $CV_6LL$, $CV_6RU$ and $CV_6RL$ that were respectively $184.7{\pm}93.7{\mu}V$ $103.7{\pm}64.43{\mu}V$ and $111.8{\pm}39.3{\mu}V$, the negative type showed a frequency of 62.2% and 93.7% in leads $CV_6LU$ and $V_{10}$ that were $142.2{\pm}82.1{\mu}V$ and $-280.3{\pm}107.2{\mu}V$, respectively. 4. Average amplitude of ST segment were $3.7{\pm}33.1{\mu}V$, $0.9{\pm}23.1{\mu}V$, $10.9{\pm}28.6{\mu}V$, $5.8{\pm}28.3{\mu}V$ and $-34.7{\pm}48.4{\mu}V$ in leads $CV_6LL$, $CV_6RU$, $CV_6RL$, $CV_6LU$ and $V_{10}$ respectively.

  • PDF

Aspergillus niger 유래의 Soluble과 고정화 Transglucosidase의 속도상수, pH 및 열 특성 비교 (Comparison of Kinetic Parameters, pH and Thermal Properties of Soluble and Immobilized Transglucosidase from Aspergillus niger)

  • 안장우;박관화;서진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30-637
    • /
    • 1998
  • Aspergillus niger 유래의 TG를 공유결합법으로 고정화시키고 고정화된 TG에 대한 효소적 특성을 soluble TG와 비교하였다. Soluble TG의 $K_m$은 21 mM, $V_{max}$는 0.4 mM/min 인데 비해, 고정화 TG의 $K_m$은 184 mM, $V_{max}$는 7.4 mM/min로 나타났다. 고정화 TG는 soluble TG와 같이 최적 pH도 5.0으로 동일하였으나 고정화 TG가 soluble TG에 비해 pH 6.0에서는 45%, pH 7.0에서 16%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pH에 대한 안정성은 두 형태의 효소 모두 pH 2.0에서 pH 9.0까지의 비교적 넓은 pH 범위에서 90%이상의 활성이 유지되었다. 고정화 TG의 반응최적 온도는 soluble TG가 $60{\sim}70^{\circ}C$인데 반해 $70{\sim}80^{\circ}C$로 향상되었다. 고정화 TG의 열안정성은 soluble TG보다 $32{\sim}40%$이상 더 높은 활성이 유지되었다. 고정화 TG의 열불활성화 곡선으로부터 구한 D-value는 $65^{\circ}C$에서 7690초, $70^{\circ}C$에서 200초, $75^{\circ}C$에서 83초, $80^{\circ}C$에서는 7.2초이고 Z-value는 soluble TG가 $6.4^{\circ}C$, 고정화 TG가 $5.3^{\circ}C$로 나타났다. Soluble TG와 고정화 TG의 효소반응 활성화에너지는 각각 $7.7{\times}10^3\;J/mol,\;8.8{\times}10^3\;J/mol$이었다. 고정화 TG의 반응중 물질전달의 저항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호남탄전지역 폐탄광의 산성광산배수와 하상퇴적물의 환경지구화학적 특성 (Environmental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Acid Mine Drainage and Stream Sediments in the Abandoned Honam Coal Mine Area, Korea)

  • 박영석;김종균;김진;장우석;이기형;한민수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3호
    • /
    • pp.241-255
    • /
    • 2002
  • 이 연구는 호남탄전지역 폐탄광에서 배출된 산성광산배수와 하상퇴적물에 대한 환경지구화학적 특성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화학적 분석을 위해 54곳에서 하천수를 채취하였고, 광물학적-화학적 분석을 위해 34개의 하상퇴적물을 채취하였다. 하천수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현장에서 바로 측정하였고, ICP-AES, ICP-MS 와 IC를 이용하여 화학조성을 측정하였으며, 하상퇴적물의 광물학적 특성은 XRD, SEM 그리고 EDS를 이용하였다. 하천수의 물리화학적 특성은 pH 2.85~8.12, Eh -62~215 mV, EC 0.205~146 ms/m, ER 0.234~255 {$\Omega}{\cdot}$m, DO 0.03~1068 mg/L 그리고 TDS 10.96~1420 mg/L 이었고, 화학조성에서 K 0.118~3.184 mg/L, Mg 2.1~114.48 mg/L, Ca 2.59~125.02 mg/L, Al 0.01~44.72 mg/L, Fe 0.108~89.49 mg/L, Na 5.45~125.41 mg/L를 함유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상퇴직물에 대한 XRD분석에서 석영, 일라이트, 괴사이트 등의 피크가 보였으며, 98$0^{\circ}C$로 가열하였더니 헤마타이트의 피크가 관찰되었다. 하상퇴적물의 중금속에 대한 고찰에서 Fe 22575~34713 ppm, Zn 41.66~970.3 ppm, Cd 0.52~52.07 ppm, Cu 1.25~198.50 ppm, Pb 0.43~77.35 ppm이 각각 검출되었다.

반도체 검출기의 절연 최적화를 위한 다층 절연막 평가

  • 박정은;명주연;김대국;김진선;신정욱;강상식;남상희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372-372
    • /
    • 2014
  • 반도체 검출기는 입사되는 X선 에너지에 의하여 이온화되어 발생하는 전자 전공쌍을 수집함으로 방사선 정보를 확인하는 선량계로써 많은 연구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X선 에너지에 의하여 반도체 검출기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량이 높지 않기 때문에 누설 전류의 저감이 필수적이다. 누설 전류를 저감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반도체 층과 전극 층의 Schottky Contact 구조의 설계, Insulating Layer의 사용, 높은 비저항의 반도체 물질 연구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누설 전류 저감을 위하여 Insulating Layer를 전극층과 반도체 층 사이에 형성하는 연구에 있어서 Insulating Layer와 반도체 층의 계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Charge Trapping으로 인하여 생성되는 신호의 Reproducibility 저하, 동영상 적용의 제한 등의 문제점을 겪어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Charge Trapping의 최소화를 이루기 위하여 Insulating Layer의 두께 최적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Insulating Layer는 검출기 표면에 입사하는 X선 정보 손실을 최소화 시키는 동시에 누설 전류와 Charge Trapping을 최소화 시키는 방법으로써 CVD방법으로 검출기 표면에 균일하게 Insulating Layer를 코팅하였다. Insulating 물질은 Parylene을 사용하였으며, 그 중 온도, 습도 등 외부환경에 영향을 적게 받는 type C를 사용하였다. 증착에 사용한 장비의 진공도는 Torr로 설정하여 증착되는 Parylene의 두께가 약 $0.3{\mu}m$가 되게 하였으며, 실험에는 반도체 물질 PbO를 사용하였다. Parylene의 절연 특성은 Dark Current와 Sensitivity를 측정한 SNR을 이용하여 Parylene코팅이 되지 않은 동일 반도체 검출기와의 신호를 비교하였으며 또한 Parylene를 다층 제작한 검출기의 수집 신호량을 비교하였다. 제작한 검출기의 X선 조사 시의 수집 전하량 측정 결과, 100 kVp, 100mA, 0.03s의 X선 조건에서 $1V/{\mu}m$의 기준 시, Parylene를 코팅하지 않은 PbO 검출기의 Dark current는 0.0501 nA/cm2, Sensitivity는 0.6422 nC/mR-cm2, SNR은 12.184이었으며, Parylene단층의 두께인 $0.3{\mu}m$로 증착된 시편의 Dark current는 0.04097 nA/cm2, Sensitivity는 0.53732 nC/mR-cm2으로 Dark current가 감소되고 sensitivity도 감소하였지만 SNR은 13.1150으로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erylene이 $0.6{\mu}m$로 증착된 시편의 경우, Dark Current는 0.04064 nA/cm2, Sensitivity는 0.31473 nC/mR-cm2, SNR은 7.7443으로써 Insulating Layer가 없는 시편보다 SNR이 약 40%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rylene이 $0.9{\mu}m$로 증착된 시편의 경우 Dark current는 0.0378 nA/cm2, Sensitivity 0.0461 nC/mR-cm2로 Insulating Layer가 없는 시편에 비해 SNR은 약 1/12배 감소한 1.2196이었고, Parylene이 $1.2{\mu}m$로 증착된 시편의 SNR은 1.1252로서 더 감소하였다. 따라서 Parylene을 다층 코팅한 검출기일수록 절연 효과의 영향이 커짐으로써 SNR 비교 시 수집되는 신호량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도체 검출기의 누설 전류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신호 수집율에 영향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Insulating Layer의 두께를 적절하게 설정하여 적용하면 Insulating Layer가 없는 검출기에 비해 누설전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고 신호 검출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Jet Loop 반응기를 이용한 화학비료폐수의 생물학적 질소제거 연구 (A Study on the Biological Nitrogen Removal of the Chemical Fertilizer Wastewater Using Jet Loop Reactor)

  • 서종환;이철승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7-165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optimum design parameters in nitrification and denitrf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wastewater using pilot plant, Jet Loop Reactor. The chemical fertilizer wastewater which contains low amounts of organic carbon and has a high nitrogen concentration requires a post-denitrfication system. Organic nitrogen is hydrolyzed above $86\%$, and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nitrogen was influent wastewater 126mg/L and of effluent wastewater 16.4mg/L, respectively. The nitrification above $90\%$ was acquired to TKN volumetric loading below $0.5\;kgTKN/m^3{\cdot}d$, TKN sludge loading below $0.1\;kgTKN/kgVSS{\cdot}d$ and SRT over 8days. The nitrification efficiency was $90\%$ or more and the maximum specific nitrification rate was $184.8\;mgTKN/L{\cdot}hr$. The denitrification rate was above $95\%$ and the concentration of $NO_3-N$ was below 20mg/L. This case was required to $3\;kgCH_3OH/kgNO_3-N$, and the effluent concentration of $NO_3^--N$ was below 20mg/L at $NO_3^--N$ volumetric loading below $0.7\;kgNO_3^--N/m^3{\cdot}d$ and v sludge loading below $0.12\;kgNO_3^-N/kgVSS{\cdot}d$. At this case, the maximum sludge production was $0.83\;kgTS/kgT-N_{re}$ and the specific denitrfication rate was $5.5\;mgNO_3-N/gVSS{\cdot}h$.

Genetic analysis of the postsynaptic transmembrane X-linked neuroligin 3 gene in autism

  • Hegde, Rajat;Hegde, Smita;Kulkarni, Suyamindra S.;Pandurangi, Aditya;Gai, Pramod B.;Das, Kusal K.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19권4호
    • /
    • pp.44.1-44.9
    • /
    • 2021
  • Autism is a complex neurodevelopmental disorder, the prevalence of which has increased drastically in India in recent years. Neuroligin is a type I transmembrane protein that plays a crucial role in synaptogenesis. Alterations in synaptic genes are most commonly implicated in autism and other cognitive disorder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neuroligin 3 gene in the Indian autistic population by sequencing and in silico pathogenicity prediction of molecular changes. In total, 108 clinically described individuals with autism were included from the North Karnataka region of India, along with 150 age-, sex-, and ethnicity-matched healthy controls. Genomic DNA was extracted from peripheral blood, and exonic regions were sequenced. The functional and structural effects of variants of the neuroligin 3 protein were predicted. One coding sequence variant (a missense variant) and four non-coding variants (two 5'-untranslated region [UTR] variants and two 3'-UTR variants) were recorded. The novel missense variant was found in 25% of the autistic population. The C/C genotype of c.551T>C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autistic children than in controls (p = 0.001), and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autism (24.7-fold) was associated with this genotype (p = 0.001). The missense variant showed pathogenic effects and high evolutionary conservation over the functions of the neuroligin 3 protein.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ed a novel missense variant, V184A, which causes abnormal neuroligin 3 and was found with high frequency in the Indian autistic population. Therefore, neuroligin is a candidate gene for future molecular investigations and functional analysis in the Indian autistic population.

전자선 선질 R50=1.0과 1.4 g/cm2에 대한 PTW-Markus 전리함의 선질보정인자 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Beam Quality Correction Factors for the PTW-Markus Chamber for Electron Beam Qualities R50=1.0 and 1.4 g/cm2)

  • 김미영;이동주;문영민;정동혁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6권3호
    • /
    • pp.178-184
    • /
    • 2015
  • 마커스 전리함은 치료용 전자선의 흡수선량 측정에 널리 사용되는 소형 평행 평판형 전리함이다. 특히 TRS-398 프로토콜에서는 $R_{50}<4.0g/cm^2$ (약 10 MeV 이하)에서 평행 평판형 전리함의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 그러나 TRS-398 프로토콜에서 $R_{50}<2.0g/cm^2$ (약 4 MeV 이하)에 대한 선질보정인자($k_{Q,Q_0}$)가 없어 낮은 에너지에 대한 선량측정이 필요한 경우에 마커스 전리함을 사용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몬테칼로 계산(DOSRZnrc/EGSnrc)과 선량학적 계산을 이용하여 전자선 선질 $R_{50}=1.0$, 1.4, 2.0, 2.5, 3.0, $5.0g/cm^2$에 대하여 마커스 전리함(PTW-M34045)에 대한 $k_{Q,Q_0}$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정된 $k_{Q,Q_0}$에 대해 TRS-398 및 TG-51 프로토콜의 자료와 알려진 자료들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대전 일부 지역 치과종사자의 화학소독제에 관한 지식도 연구 (Knowledge on the chemical disinfectants among dental workers in some Daejeon region)

  • 민희홍;안권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55-470
    • /
    • 2007
  • The usage of appropriate disinfectants is essential for infection control in dental hospitals, dental clinics. Inadequate use of disinfectants is the cause of human or environmental toxicity and is a waste of cost. This study was aimed to assess the level of knowledge on the disinfection and chemical disinfectants among dental workers in dental hospitals, dental clinics. It's ultimately intended to serve as a basis for the preparation of more effective, appropriate educational programs on the disinfection and manuals on the use of disinfectants for dental workers. This study enforced a questionnaire with 184 dental workers employed in dental hospitals, dental clinics from 15 Aug. to 15 Sep. 2007, in the area of Daejeon. The obtained result were as follows; 1. The population sociological feature of dental hospital and dental clinic show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of dental service career(pM0.039). Dental service career of dental workers shows; below 3 years 42.9%, 4~6 years 34.7%, more than 7 years 22.4% in dental hospitals, below 3 years 30.4%, 4~6 years 26.7%, more than 7 years 43.0% in dental clinics(pM0.039). 2. The average score of dental workers knowledge in 'Critical item soaks in high-level disinfectants for 20minutes was 2.73V0.49 point, got from knowledge of dental instrument is appropriate to immerse before sterilization in the dental device disinfection(pM0.002). 3. In the general disinfection which it follows in education experience of chemical disinfectants direction for use, 'Direction for use by Spaulding process classification' responded that the correct answer was the education experience dental workers 60.0%, the education non-experience dental workers 39.5%(p=0.026). 4. In the dental device disinfection which it follows in education experience of chemical disinfectants direction for use. 'High level disinfection is not applied for the non-critical items and equipment' responded that the education experience dental workers 49.2%, the education non-experience dental workers 31.9%(pM0.045), 'Semi-critical items is applied same method in presence of the infection disease which it acts responded that the education experience dental workers 44.6% answer back, the education non-experience dental workers 24.4%(pM0.017). 5. 'A hand disinfectants of anticeptics have effect' the education experience dental workers 78.5% answer back, the education non-experience dental workers 52.9%(pM0.003). 1t uses with hand disinfectants when the instruments which be imbrued and patient contact', the education experience dental workers 78.5% answer back, the education non-experience dental workers 62.2%(pM0.026), 'Boric acid solution uses for the skin disinfectants the education experience dental workers 52.3% answer back, the education non-experience dental workers is 37.0%(pM0.016), 'Gluconate have effective difference which it follows in chemical disinfectant consistency and the solution type' education experience dental workers 72.3% answer back, education non-experience dental workers 47.9%(pM0.004). 6. The education experience dental workers were appeared higher than the education non-experience dental workers in knowledge of the disinfection and chemical disinfectants. Consequently system and the specialty education which is standardized continuously must be provided to all dental workers.

  • PDF

주박으로부터 효모포자의 생산 (Producton of Yeast Spores from Rice Wine Cake.)

  • 임용성;배상면;김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4-189
    • /
    • 2004
  • 쌀 양조 후 남은 고체찌꺼기인 주박을 사용하여 Saccharomyces 효모 포자의 대량생산을 위하여 주박의 최적 전 처리과정, 최적 배지조성과 배양조건을 조사하였다. 포자형성을 위하여서는 주박으로 제조한 전포자형성배지(PSM)에서 효모를 배양한 추 1% potassium acetate로 구성된 포자형성배지(SM)에 10%를 재접종한 후 $25^{\circ}C$에서 4일간 포자형성을 시켰다. 주박과 물을 1:2 로 혼합한 후 $51^{\circ}C$에서 24시간 preincubation한 후 그 원심분리 상등액을 PSM으로 사용하여 48시간 배양하고 이를 다시 SM에 접종하여 4일 배양하였을 때 최대 포자 자낭 수 $0.72${\times}$10^{8}$ $m\ell$ 를 얻었다. SM배지에 1.4% 밀기울 국(koji)을 영양원으로 첨가하였을 때 형성된 자낭수는 $1.06${\times}$10^{8}$$m\ell$ 증가하였다 초기 SM pH가 5에서는 포자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pH 7∼11에서 포자가 형성되었다. 한편 주박의 전 처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기 위하여, 전 처리 하지 않은 주박을 직접 사용하여 포자형성을 시켜보았는데, 1% 갈색설탕을 함유하는 PSM에 2% 그리고 SM에 0.5%의 전 처리 하지 않은 주박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 최대 포자 자낭수 $1.27${\times}$10^{ 8}$ $m\ell$를 얻었다.

Serine 의 인공피부조직 투과 개선을 위한 Stearic Acid 기반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설계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Stearic Acid-Based Solid Lipid Nanoparticles for the Improvement of Artificial Skin Tissue Transmittance of Serine)

  • 여수호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79-184
    • /
    • 2021
  • 각질층은 피부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피부 내 수분을 유지시킨다. 피부 보습은 각질층 내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s, NMF)에 의존하는데, NMF 중 아미노산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 본 연구에서는 NMF 중 serine (Ser)의 피부 투과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생체 적합한 고형지질인 stearic acid 기반 고형지질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s, SLNs)를 설계하였다. Ser 봉입 SLNs은 이중 가온용융유화법으로 제조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는 256.30 ~ 416.93 nm이었고 제타전위는 -17.60 ~ -35.27 mV이었다. 유화제의 지용성 또는 친수성의 정도가 각각 높아질수록 입자크기 작아지고 안정성 및 봉입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Ser의 피부 투과 연구를 위해 인체 표피 유래 피부 조직(SkinEthicTM RHE)을 사용하였다. Ser의 피부 투과결과 SLN을 적용한 제형이 대조군인 Ser 용액에 비해 약 4.1 ~ 6.2 배 투과율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유화제의 지용성 또는 친수성의 정도가 각각 높아질수록 Ser의 피부 투과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Ser이 봉입된 SLN은 기능성화장품의 보습효과 처방을 위한 경피흡수 제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