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1

검색결과 90,665건 처리시간 0.086초

Triglyceride Regulates the Expression of M1 and M2 Macrophage-specific Markers in THP-1 Monocytes

  • Kim, Hyun-Kyung;Kim, Sung Hoon;Kang, Yeo Wool;Kim, Bohee;Rhee, Ki-Jong;Kim, Yoon Suk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0-226
    • /
    • 2016
  • Hypertriglyceridemia induces atherosclerosis and accordingly is a major causative factor in cardiovascular diseases. Macrophages that develop into foam cells are a crucial component i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Monocytes can be differentiated into M1 or M2 macrophages. M1 macrophages promote inflammatory responses, whereas M2 macrophages exhibit anti-inflammatory activity. Recently, we found that triglyceride (TG)-treated THP-1 monocytes express a variety of macrophage-specific surface markers, indicating that TG treatment could trigger the differentiation of monocytes into macrophag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G-induced macrophages express the M1 or the M2 macrophage phenotype. THP-1 cell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TG for different times and the expression of M1- and M2-specific markers was evaluated by RT-PCR. We found increased expression of M1 markers (CD40, CD80, and CD86) in TG-treated THP-1 cells in a TG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The expression of M2 markers (CD163, CD200R, and CD206) showed variable responses to TG treatment.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TG treatment triggers the differentiation of monocytes into M1 macrophages, rather than into M2 macrophages, suggesting that TG contributes to pro-inflammatory responses.

인산공급이 대두근류의 인산형태와 bacteroid의 인산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ernal-phosphorus supply on the phosphorus status of soybean nodules and the P-uptake system of isolated bacteroids)

  • 사동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17-124
    • /
    • 1991
  • 기주 식물에 대한 인산공급이 근류의 인산 형태와 bacteroid의 인산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B. japonicum MN 110을 접종한 대두식물을 1.0, 0.25, 0.05 mM-P 조건에서 재배하였다. 1.0, 0.25, 0.05 mM-P 조건에서 재배한 대두식물의 근류 Pi 농도는 각각 4.1, 2.5, 2.0 mM이었으며 인산공급이 근류의 Pi, SOP, lOP의 분포에는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0.25, 0.05 mM-P 조건에서 재배한 대두식물의 유엽 Pi 농도는 대조구(1.0 mM-P)의 각각 33%, 20%이었으며 노엽 Pi 농도는 대조구의 각각 16%, 7%였다. 잎에서는 인산 결핍이 전인산에 대한 Pi의 분포를 감소시켰으나 lOP의 분포는 증가시켰다. 근류내의 bacteroid의 수는 $0.87-1.30{\times}10^{11}\;/GFW\;nodule$이었으며, 인산흡수도는 15-16 pmoles /min/$10^8$ bacteroid로 기주식물의 인산공급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산결핍 대두식물의 근류내 Pi농도는 bacteroid의 생육과 번식에 충분하며 인산결핍에 의하여 기주식물의 생육이 저해될 때에도 bacteroid의 인산흡수는 억제상태에 있음을 나타낸다.

  • PDF

잉어에 있어서 Quinolones (Ciprofloxacin, Norfloxacin 및 Oxolinic acid)의 경구투여에 따른 장기내 분포상 (Distribution of Quinolones (Ciprofloxacin, Norfloxacin and Oxolinic acid) after Oral Administration in Carp (Cyprinus carpio))

  • 최민순;박관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9-276
    • /
    • 2005
  • 본 실험에서 잉어를 대상으로 CPF, NRF 및 OXA등의 약제를 어체당 20 mg/kg 현탁액을 경구투여 후에 1-96 시간 경시적으로 약물의 동태를 조사 하였다. 각 약제별 최고장기농도도달시간은 간장 (8 h), 혈액 (12 h), 신장(12 h) 및 근육 (24 h) 이었다. 각 약제별 최대농도는 CPF (13.8-19.6 ${\mu}g$/$m\ell$), NRF (11.8-15.9 ${\mu}g$/$m\ell$), 및 OXA (10.8-13.9 ${\mu}g$/$m\ell$)순으로 나타났다. 약제농도는 최고치의 도달 이후 빠르게 소실되다가 48-96 h는 완만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때 장기별 약제농도는 근육 (3.3-6.3 ${\mu}g$/$m\ell$)> 간장 (2.5-5.5 ${\mu}g$/$m\ell$)> 신장 (2.3-4.2 ${\mu}g$/$m\ell$) > 혈장 (2.1-3.0 ${\mu}g$/$m\ell$)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OXA의 경우 다른 약제에 비해서 약물의 정체기가 나타났다. 즉 혈중은 12-36 h;, 고농도저류대 (24 hr; 10.9-8.8 ${\mu}g$/$m\ell$), 근육은 36-96 h에 중간농도대 (60 hr; 8.5-5.8 ${\mu}g$/$m\ell$) 및 간장은 12-96 h에 저농도대 (84 hr; 6.8-3.3 ${\mu}g$/$m\ell$)등이 형성되었다.약제의 혈중농도에 대한 각 장기농도비 (간장;L, 신장;K, 및 근육;M / 혈액;B)는 시간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CPF는 즉 L>K>M (0.65-1.2/0.82-0.93/1.0-1.7)순으로 시간대별로 차이가 없었다. NRF는 시간대별로 1-8 h 및 12-24 h L>K>M (0.65-1.3/0.86-1.0)순이었으나, 36 h 이후 L>M>K (0.89-1.26)순이었다. OXA의 있어서는 1-8 h에는 L>K>M (0.95-2.1), 12-36에는 M>K>L (0.51-1.0) 및 48-96 h에는 M>L>K (1.0-2.3)으로 나타났다.

Chemical Marker를 이용한 살균도 예측 (Evaluation of Lethality by Chemical Marker)

  • 최양문;김희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2-37
    • /
    • 1997
  • Meatball system에서 M-1과 M-2의 생성속도상수 및 활성화 에너지와 더불어 B. stearothermophilus ATCC 12980의 사멸율을 검토하였다. $121^{\circ}C$에서 M-1과 M-2의 생성속도상수는 각각 0.03과 0.28 Abs/min 였으며, 활성화 에너지는 27.9와 24.6으로 계산되었다. M-2는 M-1 보다 빨리 생성되었다가 감소되었으며, $121^{\circ}C$에서는 M-2는 약 10분, M-1은 40분 이상 생성량이 증가하였다. 이런 결과는 M-1이 M-2 살균도의 예측에 있어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B. stearothermophilus ATCC 12980의 D-value는 111, 114.4, 117.7, $121^{\circ}C$에서 각각 7.5, 4.5, 1.9와 0.58이였으며, 포자의 사멸율과 M-1의 생성은 일차함수적 상관관계로 나타낼 수 있었다. $126^{\circ}C$이상의 온도에서는 설정온도에 도달시까지 포자가 사멸하여 정확한 D-value를 구하기가 불가능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hemical marker를 이용하여 식품살균시 미생물의 사멸율은 물론 과가열 정도를 예측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Prognostic Value of Phosphorylated mTOR/RPS6KB1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 Zhang, Yong;Ni, Huan-Juan;Cheng, De-Y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6호
    • /
    • pp.3725-3728
    • /
    • 2013
  • Background: The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mTOR) /RPS6KB1 activation has recently been implicated in tumour development, but its role in lung cancer remains unclea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mTOR/RPS6KB1 signaling pathway in non-small-cell lung cancer (NSCLC). Methods: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expression of phosphorylated mammalian target of rapamycin (p-mTOR) and its downstream ribosomal phosphorylated RPS6KB1 (p-RPS6KB1) in NSCLC patients. We also analyzed p-mTOR/p-RPS6KB1 protein expression in 45 fresh NSCLC tissues using Western blotting. Results: The expression level of p-mTOR and p-RPS6KB1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SCLC tumor specimens than that in adjacent noncancerous normal lung tissues (P<0.01). p-mTOR expression correlated with p-RPS6KB1. Furthermore, high expression level of p-mTOR or p-RPS6KB1 in NSCLC was associated with a shorter overall survival (both P<0.01).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high level of p-mTOR expression was an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HR=2.642, 95%CI 1.157-4.904, p=0.002). Conclusions: p-mTOR and p-RPS6KB1 could be useful prognostic markers for NSCLC.

Synthesis and Magnetic Relaxation Properties of Paramagnetic Gd-complexes of New DTPA-bis-amides. The X-ray Crystal Structure of [Gd(L)(H2O)]·3H2O (L = DTPA-bis(4-carboxylicphenyl)amide)

  • Dutta, Sujit;Kim, Suk-Kyung;Lee, Eun-Jung;Kim, Tae-Jeong;Kang, Duk-Sik;Chang, Yong-min;Kang, Sang-Ook;Han, Won-Sik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7권7호
    • /
    • pp.1038-1042
    • /
    • 2006
  • A new type of DTPA-bis-amides (L1-L4) and their Gd(III)-complexes of the type $[Gd(L)(H_2O)]{\cdot}nH_2O$ (5: L1; 6: L2; 7: L3; 8: L4) have been prepared and characterized by analytical and spectroscopic techniques. The X-ray crystal structure of 8 has been determined for structural confirmation. The coordination geometry adopts a tricapped trigonal prism geometry with L4 acting as a chelate octadentate and a water molecule in the coordination sphere. Crystals are monoclinic, $P2_1$, a = 14.468(3), b = 19.235(4), c = 13.527(2) $\AA$ $\beta$ = $107.245(3)^{\circ}$, V = 3595.2(11) $\AA^3$, Z = 4, $D_{calc}$ = 1.570. Significant increases in relaxivities are observed with 6 and 7 as compared with that of $Omniscan^{(R)}$, a commercial MR agent: R1 = 12.46 $mM^{-1}\;s^{-1}$, R2 = 8.76 $mM^{-1}\;s^{-1}$ for 6; R1 = 12.77 nm-1 s-1, R2 = 7.60 mM-1 s-1 for 7; R1 = 4.9 $mM^{-1}\;s^{-1}$, R2 = 4.8 $mm^{-1}\;s^{-1}$ for $Omniscan^{(R)}$. In the case of 5, however, both R1 and R2 are found to be lower to show 2.09 $mM^{-1}\;s^{-1}$, and 1.82 $mM^{-1}\;s^{-1}$, respectively.

천연유래의 항보체 활성물질 선발을 위한 미량탐색법 (Micro-screening Method for the Anticomplement Substances from Natural Resources)

  • 오세량;정근영;이형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2호
    • /
    • pp.147-152
    • /
    • 1996
  • 천연으로부터 보체 저해활성 물질을 선발할 목적으로 용혈성 보체측정법(hemolytic complement assay, $CH_{50}$)을 이용한 미량 탐색법을 확립하였다. 보체결합 반응은 microplate에서 수행하였으며, 표준 용혈(50% hemolysis)을 설정하기 위한 최적조건은 classical pathway (CP)의 경우 양 적혈구 농도를 $5.0{\times}10^8\;cells/ml$로 하였을때 hemolysin 희석농도 $1/75{\sim}1/100$ 및 보체 희석농도 $1/80{\sim}1/120$이었으며, alternative pathway (AP)의 경우는 토끼 적혈구 농도 $4.0{\times}10^8\;cells/ml$에서 보체 희석농도 l/5, EGTA 4mM 및 $Mg^{2+}\;4{\sim}8mM$ 이었다. 비수용성 화합물의 검정에는 dimethyl sulfoxide를 1% 수준이 되도록 시료의 농도를 조절하여 첨가하였다. 본 실험 조건에서 3종의 phenylpropanoid는 모두 농도에 비례하여 항보체 활성을 나타내었는데, 그중 rosmarinic acid의 항보체 활성은 CP의 경우 $0.063{\sim}0.5mM$에서 $5.4{\pm}3.6%{\sim}95.8{\pm}0.2%$, AP의 경우 $0.063{\sim}1\;mM$에서 $35.1{\pm}0.9%{\sim}95.6{\pm}1.1%$으로 측정되었다.

  • PDF

쥐의 비장세포로부터 $IL-1\beta$ 분비에 있어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M11C (비렉틴 구성물질)의 효과 (Effect of M11C (Non-lectin Components) Obtained from Korean Mistletoe on the $IL-1\beta$ Secretion from Mouse Splenocytes)

  • 전명하;강태봉;장성호;최완수;성낙술;허억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38-45
    • /
    • 2007
  • 한국산 겨우살이 (Viscum album L)는 면역조절작용이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한국산 겨우살이 열탕추출물 M11C (non-lectin components)가 비장세포를 활성화시켜 $IL-1\beta$를 생산 분비하게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비장세포를 M11C로 자극한 후, 배양액을 수집 혹은 세포 용해물을 수거해 $IL-1\beta$ 분비와 전사량을 ELISA, immunoblotting, RT-PCR로 검사했었다. 비장세포로부터 $IL-1\beta$ 분비와 전사 효과에 있어서 M11C는 농도 의존성과 자극시간 의존성을 보였다. 비장세포로부터 최대의 $IL-1\beta$ 분비를 위한 M11C의 최대의 농도와 자극시간은 각각 $200{\mu}g/m\ell$와 8시간 이었다. 그리고 최대 $IL-1\beta$ mRNA 전사를 위한 M11C의 최대의 농도와 자극시간은 각각 $200{\mu}g/m\ell$와 4시간 이었다. 최대의 전사시간은 최대의 분비시간보다 4시간 빨리 도달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최대의 $IL-1\beta$ 분비효과가 당분해효소인 Viscozyme L에 의해 완전히 저해되었다. 이는 M11C (non-lectin components)의 구성물질 들 중 다당체 혹은 올리고당들이 $IL-1\beta$ 생산 분비를 유도하는 주된 물질임을 말해주고 있다.

분열효모에서 sphpr1 유전자의 결실이 생장 및 mRNA Export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Repression of sphpr1 Expression on Growth and mRNA Export in Fission Yeast)

  • 이현주;윤진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71-174
    • /
    • 2012
  • THOC1/Hpr1는 mRNA가 전사되는 동안 mRNP의 포장과 mRNA 방출에 관여하는 진화적으로 잘 보존된 THO 복합체의 한 소단위이다. 분열효모 Schizosaccharomyces pombe에서도 THOC1/Hpr1과 유사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sphpr1로 명명)를 찾아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배체 S. pombe 균주에 하나의 sphpr1 유전자만을 결실시킨 후 4분체 분석을 수행한 결과, 이 유전자는 생장에 필수적이었다. 티아민에 의해 발현이 조절되는 강력한 nmt1 프러모터를 이용하여 sphpr1를 과발현시키더라도 세포의 생장과 mRNA 방출에는 전혀 영향이 없었다. 하지만, sphpr1의 발현을 억제하면 생장이 억제되었으며 poly$(A)^+$ RNA가 핵 안에 축적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sphpr1 유전자가 생장과 mRNA의 핵에서 세포질로의 방출에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Expression and Significance of Microsomal Prostaglandin Synthase-1 (mPGES-1) and Beclin-1 in the Development of Prostate Cancer

  • Xu, Lu-Wei;Qian, Ming;Jia, Rui-Peng;Xu, Zheng;Wu, Jian-Ping;Li, Wen-Cheng;Huang, Wen-Bin;Chen, Xing-Guo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4호
    • /
    • pp.1639-1644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ression and significance of microsomal prostaglandin synthase-1 (mPGES-1) and Beclin-1 in the development of prostate cancer (PCa).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on paraffin-embedded sections with rabbit polyclonal against mPGES-1 and Beclin-1 in 40 PCa, 40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and 10 normal prostate specimens for this purpose.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qRT-PCR) was applied for mRNA expression of mPGES-1 and Beclin-1, while MTT assays were used to ascertain the best working concentration of the mPGES-1 inhibitor (CAY10526). The effect of CAY10526 treatment on expression of Beclin-1 in DU-145 cells was studied using Western blot analysis. Localization of Beclin-1 and mPGES-1 was in endochylema.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ression was noted among PCa, BPH and normal issues (P<0.05). Beclin-1 expression inversely correlated with mPGES-1 expression in PCa tissue (P<0.05). CAY10526 could significantly block mPGES-1 expression and the proliferation of DU-145 cells (P<0.05), while increasing Beclin-1 levels (P<0.05). Overexpression of mPGES-1 could decrease the autophagic PCa cell death.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mPGES-1 may lead to DU-145 cell death and up-regulation of Beclin-1. The results suggest that inhibition of mPGES-1 may have therapeutic potential for PCa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