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 extorquens AM1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상이한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성장한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내의 폴리아민 (Polyamines in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grown on different energy sources)

  • 엄치용;이순희;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90-296
    • /
    • 1990
  • Putrescine, spermidine, and spermine were found to persent in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growing on methanol, succinate, glucose, or nutrient broth as an energy source. Spermidine was found to be a major polyamine in cells growing on methanol or succinate, while putrescine to be the one in nutrient broth-grown cells. The overall content of polyamines in cells growing on glucose was less than that in cells growing on other substrates. Spermine was the most abundant polyamine in glucose-grown cells. Accumulation of polyamines in M. extorquens AM1 was maximal at the mid-exponential or early stationary phase during growth on each substrate. The effect of polyamines added into the medium on the polyamine composition in M. extorquens AM1 was variable. Each polyamine added into the nutrient broth medium was found to increase the amount of the respective polyamine in the cell. Exogeneously added polyamines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M. extorquens AM1.

  • PDF

메탄올자화균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의 phaR 유전자 결실을 통한 poly 3-hydroxybutyrate (PHB) 생합성 억제 (Inhibition of poly 3-hydroxybutyrate (PHB) synthesis by phaR deletion in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 김유진;이광현;김현수;조숙형;이진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3호
    • /
    • pp.363-368
    • /
    • 2017
  • 메탄올자화균이란 일탄소 화합물인 메탄올을 주탄소원 및 에너지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미생물을 말한다.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은 serine cycle을 탄소대사경로로 이용하는 메탄올자화균 중에서도 가장 많이 연구가 진행된 균주이다. M. extorquens AM1의 poly 3-hydroxybutyrate (PHB) cycle은 EMCP (ethylmalonyl-CoA pathway), glyoxylate regeneration cycle, TCA cycle과 연결되어 있으며 EMCP 유래 유기산 또는 TCA 유기산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PHB cycle로 흐르는 carbon flux의 차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PHB 합성과 acetyl-CoA flux의 조절유전자로 알려져 있는 PhaR 유전자를 markerless gene deletion 방법을 이용해서 M. extorquens AM1에서 knockout했다. 결과적으로, knockout 균주인 ${\Delta}phaR$에서 야생종 대비 확연히 PHB granule이 줄어든 것이 확인되었다. Lag phase가 약 12 h 늦어졌지만, ${\Delta}phaR$은 야생종과 비슷한 세포성장과 메탄올소비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의 메탄올을 이용한 성장과 세포내 폴리아민 구성에 미치는 배양조건의 영향 (Effects of Cultivation Conditions on the Growth and Polyamine Composition in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Growing on Methanol)

  • 엄치용;박기정;강빈구;김영민
    • 미생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387-391
    • /
    • 1991
  •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 growing on methanol as a sole source of carbon and energy was found to grow most rapidly (t$t_{d}$ =6h) at 30.deg.C in a mineral medium (pH 7.0) containing 0.5% (v/v) methanol which was agitated at 200 rpm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 Cells grown under the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 contained more spermidine, but less putrescine, than the cells grown on 2.5%(v/v) ( $t_{d}$ =8h ) or at 20.deg.C ( $t_{d}$ =8h ). Cells cultivated under the optimal condition was found to contain more spermidine than the cells grown at pH 6.0 (( $t_{d}$ =7h ) and pH 8.0 ($t_{d}$ =7.3h). the cells growing at the stationary phase under the optimal condition accumulated more spermine or putrescine than the cells growing at the same phase on 2.5%(v/v) methanol or at pH 6.0 and pH 8.0, respectively. M. extorquens AM1 grown in a medium agitated at 100 rpm ( $t_{d}$ =8.8h ) contained less spermidine and spermine than the cells grown under the optimal cultivation condition.

  • PDF

벼(oryza sativa L.)에서 분리한 Methylotrophic N2-Fixing Bacteria의 형태학적 특성 (Phenotypic Characterization of Methylotrophic N2-Fixing Bacteria Isolated from Rice (Oryza sativa L.))

  • ;박명수;이형석;김충우;이규희;;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6-53
    • /
    • 2004
  • 벼(Oryza sativa L.)에 서식하고 있는 메탄올 자화세균(methylotrophic bacteria)의 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3지역(청원, 익산, 밀양)의 경작지 논에서 재배되고 있는 4품종(일미, 동진, 남평, 오대) 벼의 잎, 줄기, 이삭, 뿌리 및 근권토양을 수집하였다. Methanol이 유일한 탄소원으로 첨가된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분홍색 색소체를 갖는 35균주와 무색소체의 5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선별균주들의 형태학적, 생리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4개의 군집으로 구분하였다. 군집 I 및 IV 는 각각 nitrate와 nitrite reduction 특성에 의해 구별되었으며, pink pigment colony를 형성하는 또 다른 두 개의 군집들은 cellulase 생성유무에 의하여 구분되었다. 표준균주인 Methylobacterium extorquens AM1은 분리균주들과는 다른 군집으로 구분되었으며, M. fujisawaense KACC10744는 III 군집에 속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리된 모든 균주들은 urease, oxidase, catalase, pectinase 활성시험에서 양성반응을 나타냈으며, indole, MR-VP, $H_2S$, starch, casein 시험에서는 음성반응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분리 균주들의 열 내성은 없었으며, $45^{\circ}C$ 이상에서는 성장하지 못하였다. 군집 I에서 두개의 분리균주가 각각 gelatin 가수분해와 methane 이용능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의 균주들은 탄소원으로 monosaccharides, disaccharide, polyols를 이용하여 성장하였다. 분리 및 선별되어진 균주들 중 6 균주만이 $86.2-809.9nmol\;C_2H_4\;h^{-1}\;mg^{-1}$ protein 범위의 질소고정능을 나타내었다.

벼(Oryza sativa L.)의 잎 면으로부터의 IAA를 생성하는 Methylotrophic Bacteria의 분리 선별 및 특성 비교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IAA Producing Methylotrophic Bacteria from Phyllosphere of Rice Cultivars(Oryza sativa L.))

  • 이규회;;김충우;이형석;;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35-244
    • /
    • 2004
  • 국내 3지역으로부터 수집한 19종의 벼 잎에 서식하는 methylo-trophlc bacteria의 군집성을 비교하였다. Methanol에 따른 특징적인 생장을 나타내는 분홍색 색소를 띤 19개의 균체를 분리하였다. 분리된 이들 균체들은 Bergey의 방법에 따라 각각 생리, 생화학적 특성들을 조사 하였으며, 표현형들은 37가지의 특성들을 계통분석법을 통해 명찰히 구분하여, 최종 별개의 4군(cluster)으로 분리하였다. 대조균주인 M, extor벼둔 AM1과 M. fujisawaense KACC10744는 각각 IV군과 III군에 속해있다. I군에 속해있는 균체들은 nitrate의 환원을 근거로 하여 구분하였으며, 4개의 분리균주는 NaCl 0.5M 농도까지 염에 대한 내성을 보였다. I군과 III군의 균체들은 탄소원으로 methane을 이용하는 특성을 가졌으며, 4군의 대부분의 균체들은 탄소원으로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를 이용하였다. L-tryptophan의 존재 하에 모든 균체들의 indole-3-acetlc aclu (IAA) 생성 실험에서는 선별균체 중 8균체만이 IAA를 생성하였다. 게다가 배지의 질소원은 IAA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질소원으로 $(NH_4)_2SO_4$를 이용하였을 때 IAA 생성은 최대 20-30배까지 증가하였으나 $KNO_3$, $NH_4NO_3$ 그리고 $NH_4$ CI을 질소원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IAA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선별된 methylo trophic bacteria를 뿌리에 접종한 결과 균체가 생성한 IAA 영향으로 식물체의 뿌리와 줄기의 길이 그리고 곁뿌리의 수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균주를 접종한 벼 종자의 초기 뿌리 생장은 균을 접종하지 않은 종자보다 평균 27-56% 증가하였다. 높은 농도의 IAA ($400{\mu}g\;mL^{-1}$)를 처리했을 때는 오히려 뿌리의 생장을 억제 시켰으나, $10-200{\mu}g\;mL^{-1}$ 농도의 IAA를 처리했을 때는 뿌리 생장을 촉진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박테리아가 생산하는 IAA가 식물 뿌리생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