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 anguillicaudatus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1초

미꾸리(Misgurnus anguillicaudatus)와 새코미꾸리 (Koreocobitis rotundicaudata) 개체군의 생태지표 특성 및 이.화학적 수질구배 분석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Gradients in Two Different Loach Populations-Misgurnus anguillicaudatus and Koreocobitis rotundicaudata)

  • 신은주;최지웅;안광국
    • 환경생물
    • /
    • 제31권4호
    • /
    • pp.419-42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꾸리과 어류인 두 개체군($M_a$, $K_r$)의 생태지표 특성 및 화학적 수질구배를 분석하였고 이를 근거로 기존의 내성도 분류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각 개체군의 화학적 특성에 따른 분포를 분석한 결과, 모든 수질변수에서 $K_r$-개체군이 좁은 분포 범위를 보였고 $M_a$-개체군이 넓은 분포 범위를 보여 $K_r$-개체군은 깨끗한 수 환경을 선호하며 $M_a$-개체군은 악화된 수환경에 잘 적응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_a$-개체군은 공서어종 중 잡식종, 내성종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K_r$-개체군은 충식종, 민감종이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지에 대한 생태적, 물리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M_a$-개체군이 낮은 값을 나타내 $M_a$-개체군 분포지점이 비교적 생물학적 교란이 심하며 물리적 서식지가 악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M_a$-개체군은 수생태계의 변화에 대한 적응력이 뛰어나며 Kr-개체군은 이러한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기존 문헌의 내성도 분류가 타당하다는 것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각 개체군의 분포특성은 어류를 이용하여 수생태계를 평가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기름종개과(Family Cobitidae) 어류의 계통분류에 관한 연구 5. 미꾸리속 어류 2종의 유전적 변이 (Systematic Study on the fishes of the Family Cobitidae (Pisces, cypriniformes). 5. Genetic Variations of Two Species of the Genus Misgurnus from Korea.)

  • 양서영;김종범김재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52-465
    • /
    • 1994
  • 미꾸리속의 미꾸리(Misgumus anguillicaudatus)와 미꾸라지(M. mizolepis)의 종내 및 종간 유전적 변이와 유전적 차이를 알아보고자 2종 15개집단과 대만산 Paramisgumus김늠bwanus 1개 집단을 대상으로 전기영동법의 의한 동위효소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ongui각caudotus 9개 집단의 평균 유전적 변이정도는 P=34.20%, Ho=0.099, He=0 114였고. M. mizolepgs 6개 집단은 평균 P=35.55%, Ho=0 141, He=0.148이었으며, p연abwonus는 P=45.9%, Ho=0.132. 연e=0.119로서 일반적인 담수어류에 비해 높은 변이를 나타내었다 종간 평균 유전적 근연치를 비교한 결과 M. aneuflISca udatuo와 M. mfzole부랍 사이는 5=0.467이었고. M. angu연흘audatus와 P. dabrvanus 사이는 5=0.475로 비교적 근연관계가 낮았으나 M. mizolep결와 P. dabwanuo 사이는 5=0.834로 매우 가까운 유연관계를 나타냈다 유전적 차이치를 토대로 M. ongu비상라udctus와 M. mfzolep결의 종분화 연대를 산출한 결과 이들은 약 350만년전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관행 논과 친환경 논의 어류상 및 미꾸리와 왜몰개 개체군 특성 (Fish fauna and characteristics of Misgurnus anguillicaudatus and Aphyocypris chinensis populations in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onventional paddy fields)

  • 방정환;김민경;최순군;어진우;엽소진;김명현
    • 환경생물
    • /
    • 제40권2호
    • /
    • pp.138-147
    • /
    • 2022
  • 논은 농업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서식지이다. 최근 안전한 먹거리와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필요성이 증가하여 벼 재배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관행농업지역 논과 친환경농업지역 논을 대상으로 어류상을 조사하고 영농 방법에 따른 미꾸리와 왜몰개 개체군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어류상 조사 결과, 총 6과 13종, 2,703 개체가 출현하였고, 관행 논과 친환경 논 모두에서 미꾸리와 왜몰개의 높은 개체수 비율을 보였다. 영농 방법에 따른 개체군 특성 조사 결과, 어류의 개체수 비율의 차이를 보였고, 개체 크기별 빈도 분포에서 친환경 논의 개체수가 관행 논보다 높게 나타났다. 미꾸리 개체군의 전장, 체장, 체중을 비교한 결과, 두 지역 간에는 체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왜몰개의 경우, 관행 논보다 친환경 논 개체군의 전장, 체장, 체중 값이 높게 나타났다. 전장-체중의 상관관계에서 회귀계수 b 값은 왜몰개보다 미꾸리가 높게 나타났고, 비만도 지수(K)를 분석한 결과, 미꾸리와 왜몰개 모두 관행 논의 K 값보다 친환경 논의 K 값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영농 방법에 따라 논에 서식하는 미꾸리와 왜몰개 개체군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농업생태계에서 생물다양성 확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계절변화에 따른 한국산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 피부의 조직학적 연구 (Seasonal Change of the Skin Morphology of Muddy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Cobitidae) from Korea)

  • 오민기;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0-96
    • /
    • 2008
  • 미꾸리 M. anguillicaudatus의 등, 후두부, 체측 부위에서 적출한 피부조직의 형태를 분석하여 계절의 변화에 따른 각 부위 조직의 형태변화를 관찰하였다. 각 피부조직은 점액세포를 포함한 상피세포들로 구성된 표피층과 결합조직의 진피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표피와 진피층의 경계에 모세혈관이 분포하고 있었다. 표피의 middle layer에 분포하는 점액세포는 수온이 낮아짐에 따라 그 형태가 원형에서 타원형 또는 장타원형으로 변화하였고, 단위면적당 세포의 개수와 크기 및 분비량이 증가하였는데, 특히 후두부에서 그 변화양상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등과 체측 부위의 비늘이 존재하는 진피층에서는 eosin에 염색되는 염기성 물질이 상당량 분비되어 진피층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을 보였다. 계절변화에 따른 이러한 피부조직의 구조적 변화를 미꾸리의 동면, 피부호흡 및 점액의 기능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미꾸리, Misgurnus anguillicaudatus의 생존율 향상을 위한 역교배체 생산 (Improved Early Survival in Backcrosses of Male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times$Cyprinid Loach (M. anguillicaudatus) Hybrids to Femal Cyprinid Loach)

  • 박인석;김봉석;임재현;박효민;남윤권;정창화;김동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63-371
    • /
    • 1997
  • 미꾸리 암컷과 미꾸라지 (Misgurnus mizolepis))$\times$미꾸리(M. anguillicaudatus) 잡종 수컷을 교배시켜 역교배체를 생산하였다. 역교배체의 수정율과 부화율은 친어 수컷으로 사용된 미꾸리와 유사하였다. 더욱이 역교배체는 난황흡수기에 저온에 저항성을 보여 전 실험군이 폐사한 미꾸리군에 비하여 단 14%의 낮은 초기 사망률을 나타내어 뚜렷한 생존율 증가가 관찰되었다. 역교배체의 적혈구 크기와 DNA 함량은 친어 암, 수의 중간을 나타내었고 역교배체는 2n=48 혹은 2n=49인 2가지 종류의 2배체 염색체수를 나타내었다. 부화후부터 6개월 동안 동일 조건에서 성장률을 조사한 결과, 역교배체는 친어 암, 수의 중간 성장을 보여 어류양식시 새로운 양식대상 어종으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역교배체는 거의 미꾸리와 체색 및 형태에서 유사하였으나 형질계측결과 친어 암수의 중간을 나타내는 형질 및 몇 개의 새로운 획득형질이 관찰되었다. 역교배체는 부화후 2개월 및 부화후 4개월에서 각기 성비를 조직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암컷을 전혀 발견할 수 없어 전 수컷 단성집단 생산의 가능성을 보였다.

  • PDF

시험용액의 조제방법에 따른 어독성 차이 (The Difference of Fish Toxicity by Preparation Methods of Test Solution)

  • 배철한;김연식;박연기;박은희;박현주;신동찬;이승열;이석희;정창국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9-225
    • /
    • 2010
  • 농약의 제형이 입제인 경우 제조방법에 따라 물중에 용해되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제조방법이 다른 흡착식 입제인 butachlor 5% GR와 fipronil 0.4% GR, 그리고 피복식 입제인 carbosulfan 3% GR와 diazinon 3% GR를 사용하여 잉어(C. carpio), 송사리(O. latipes) 그리고 미꾸리(M. anguillicaudatus)에 대한 급성 어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용액 조제방법은 물에 입제농약을 직접 처리하는 방법과 농약 입제를 마쇄한 후 처리하는 방법으로 구분하여 96시간까지 반수치사농도($LC_{50}$)를 구하였고, 아울러 시간경과에 따른 물중 농약 잔류농도를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4종의 농약 모두 물에 농약을 적접 처리한 시험구보다 농약을 마쇄하여 처리한 시험구에서 1.2~4배 정도 독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독성증가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butachlor GR의 diazinon GR의 잔류농도는 마쇄처리구에서 빠른 시간에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입제 형태의 농약을 물에 직접 처리하는 것보다 마쇄 후 처리하였을 때 물중 잔류 농도와 독성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48시간보다 96시간의 독성값이 비교적 안정적이고 오차가 작았다.

충주호 및 그 상류 지역의 Echinostoma spp.에 대한 연구 (Studios on Echinostomu spp. in the Chungju Reservoir and upper streams of the Namhan River)

  • 양용석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8권4호
    • /
    • pp.221-234
    • /
    • 1990
  •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know the epidemiological statug of echinostomiasis in the Chungju Reservoir and upper streams of Namhan River, together with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life history o( Echinostoma hortense. The stool specimens of 169 inhabitants and 473 junior high school students from 5 different villages revealed 3(0.5%) echinostomatid egg Positive cases. E. hortense adult worms were recovered from one patient after a treatment and purgation. For the other two patients, it was presumed that one had 2. hortense and another E. cinetorchis infection, based on the morphology of eggs. Five kinds of freshwater snails(168 Radix auricularia coreane, 534 Physa arutp, 144 Hippeutis cnntori, 56 Cipcngopaludina chinensis malleata and 125 Semiiulcospira nediila glebus) examined for the cercariae of echinostomes showed negative results. Ten kinds of freshwater fishes examined for E. herten-'emetacercariae revealed positive rates as Misgurnus anguillicaudatus 40.5%, Odentobutis obscura interrupta 20.3%, Moroco onycephalus 3.9%, and Coreoperca hawamebari 2.0%. In the experimental study, the metacercariae of E. horlense were infected to rats, eggs were collected from adult worms and cultivated, and miracidia were obtained. The miracidia were artificially infected to freshwater snails (R. auricularia), and cercarial shedding was studied. It was revealed that, when the snails were kept at a low temperature ($24^{\circ}C$), only 523 cercariae (on average) were produced during 24 hrs, while they were at a high temperature ($30^{\circ}C$), as many as 9, 990 cercariae (on average) were shed during the same time. The experimental infection of E. hortense cercariae to freshwater fishes was successful in 0. obscura interrupta 52.0%, M. anguillicaudatus 30.3%, C. kawamebari 27.0%, Cobitis lutheri 15.0%, M. cxycephazus 7.3%, Pseudogobio esocinus 4.3%, Squalidus cereanus 2.0%, Zccco platypus 1.3%, and Pungtungia herzi 1.3%. However, infection was not successful to snails, C. chinensis. It has been proved that the Chungju Reservoir and upper streams of Namhan riyrr are endemic areas of echinostomiasis, especially of E. horfense, and snails such as R. auritulerie coreana and fishes such as O. obscura interrupts, M. gnguillicgudgtus, and others are taking the role of 6rst and second intermediate hosts, respectively.

  • PDF

어류의 공기호흡 기관 (Modified Organs of Air Breathing Fishes in Korea)

  • 김치홍;박종영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50-254
    • /
    • 2011
  • 한국의 담수어류 중 짱뚱어, 큰볏말뚝말둥어, 말뚝망둥어, 미꾸리, 미꾸라지, 자가사리 등 모두 6종에서 공기로 호흡하기 위해 변형된 부속기관이 알려져 있다. 짱뚱어, 큰볏말뚝말망둥어, 말뚝망둥어, 자가사리 4종은 부족한 산소를 공기로부터 흡입하기 위해 호흡상피 (respiratory epithelium)를 갖는다. 이러한 호흡상피는 풍부한 모세혈관과 2종류의 선세포(점액세포와 곤봉세포-자가사리, 점액세포와 거대세포-짱뚱어) 또는 1종류의 선세포로 구성된 팽대세포 (말뚝망둥어와 큰볏말뚝망둥어)를 갖는다. 특히 거대세포 (swollen cell)는 상피세포의 팽대로 인해 형성된 거미줄 구조 (web-like structure)를 갖고 있다. 또한 짱뚱어의 진피성돌기 (dermal bulge)는 진피성 모세혈관이 매우 풍부하며, 지느러미 등의 부속지를 제외한 피부에 존재한다. 또한 미꾸리와 미꾸라지는 장 상피 (intestinal epithelium)에 모세혈관이 아주 풍부하게 존재한다.

Expression of Immune-Related Genes during Loach (Misgurnus anguillicaudatus) Embryonic and Early Larval Development

  • Lee, Jang Wook;Kim, Jung Eun;Goo, In Bon;Hwang, Ju-Ae;Im, Jea Hyun;Choi, Hye-Sung;Lee, Jeong-Ho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9권4호
    • /
    • pp.181-187
    • /
    • 2015
  • Early life stage mortality in fish is one of the problems faced by loach aquaculture. However, our understanding of immune system in early life stage fish is still incomplete, and the information available is restricted to a few fish species. In the present work,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immune-related transcripts in loach during early development. In fishes, recombination-activating gene 1 (RAG-1) and sacsin (SACS) have been considered as immunological function.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the both genes was assessed throughout the early developmental stages of loach using real-time PCR method. maRAG-1 mRNA was first detected in 0 dph, observed the increased mostly until 40 dph. Significant expression of maRAG-1 was detected in 0 to 40 dph. These patterns of expression may suggest that the loach start to develop its function after hatching. On the other hand, maSACS was detected in unfertilized oocyte to molura stages and 0 to 40 dph. maSACS mRNA transcripts were detected in unfertilized oocytes, suggesting that they are maternally transferred.

Blocking the 1st Cleavage in Mud Loach, Misgurnus mizolepis

  • Yoon Kwon Nam;Gyeong Cheol Choi;Dong Soo Kim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67-173
    • /
    • 1999
  • Blocking the 1st mitotic cleavage was performed in mud loach (Misgurmus mizolepis) using UV-irradiated cyprinid loach (M. anguillicaudatus) sperm and ternal shocks Optimum UV range for inactivation of cyprinid loach sperm and thermal shocks. Optimum UV range for inactivation of cyprinid loach sperm was between 3,150 to 4,050 ergs/m$m^2$. Heat shock treatment ($41^{\circ}C$ for 3mins) with various treatment initiation times ranged from 22 to 50 min post insemination resulted wide range of success for induced gynogenesis. Best result was obtained when haploid egges were shocked at 28 min after insemination (corresponding to metaphase division of the 1st cleavage); 26% of total eggs inseminated were viable diploid gynogens. The hatching success and early survival of the both meiotic and mitotic gynogenetic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control crosses (P<0.05). Maternal origin of induced gynogenetic mud loach was verified by multi-locus DNA fingerprint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