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mph Nodes, Pathology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35초

Single Oral Dose Toxicity Study of Aqueous Extracts of Binso-san in ICR Mice

  • Park, Kyung;Kim, Dae-Jun;Byun, Joon-Seok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4-142
    • /
    • 2010
  • Although BinSo-San(BSS), a mixed herbal formula consisted of 11 types of medicinal herbs and have been used as anti-inflammatory agent, In the present study, the acute toxicity (single oral dose toxicity) of lyophilized BSS aqueous extracts was monitored in male and female mice after oral administration according to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 Guidelines (2005-60, 2005). In order to observe the 50% lethal dose ($LD_{50}$), approximate lethal dosage (ALD), maximum tolerance dosage (MTD) and target organs, test articles were once orally administered to female and male ICR mice at dose levels of 2000, 1000, 500, 250 and 0 (control) mg/kg (body wt.) according to the recommendation of KFDA Guidelines (2005-60, 2005). The mortality and changes on body weight, clinical signs and gross observation were monitored during 14 days after dosing according to KFDA Guidelines (2005-60, 2005) with organ weight and histopathology of 12 types of principle organs. We could not find any mortality, clinical signs and changes in the body weights except for dose-independent increases of body weight and gains restricted in 1000 mg/kg of BSS extracts-dosing female group. Hypertrophic changes of lymphoid organs.thymus, spleen and popliteal lymph nodes were detectedat postmortem observation with BSS extracts dose-dependent increases of lymphoid organ weights, and hyperplasia of lymphoid cells in these all three lymphoid organs at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These changes are considered as results of pharmacological effects of BSS extracts or their components, immunomodulating effects, not toxicological signs. In addition, some sporadic accidental findings such as congestion spots, cyst formation in kidney, atrophy of thymus and spleen with depletion of lymphoid cells, and edematous changes of uterus with desquamation of uterus mucosa as estrus cycles were detected throughout the whole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both male and female vehicle controls. The significant (p<0.01) increases of absolute weights of kidney and pancreas detected in BSS extracts 1000 mg/kg-treated female group are considered as secondary changes from increases of body weight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BSS extract is non-toxic in mice and is therefore likely to be safe for clinical use. The LD50 and ALD of BSS aqueous extracts in both female and male mice were considered as over 2000 mg/kg because no mortalities were detected upto 2000 mg/kg that was the highest dose recommended by KFDA and OECD. In addition, the MTD of BSS extracts was also considered as over 2000 mg/kg because no BSS extracts-treatment related toxicological signs were detected at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except for BSS or their component-related pharmacological effects,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detected in the present study.

소아에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한 막성 신병증 1례 (Membranous Nephropathy Associated with Epstein-Barr Virus Infection in a Child)

  • 이은희;임동희;임형은;유기환;원남희;홍영숙;이주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1호
    • /
    • pp.88-92
    • /
    • 2008
  • 막성 신병증은 성인에 비해 소아에서는 드문 신병증으로 감염, 자가면역, 종양에 의한 이차성 신병증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과의 관련은 잘 알려지지 않아, 최근 1개 보고에서 면역기능이 저하된 2례를 소개한 바 있을 뿐이다. 이에 저자들은 면역기능이 정상으로 보이는 소아에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한 막성 신병증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갑상선암의 임상적 관찰(제 3 보) (Clinical Study on Thyroid Cancer(The 3rd Report))

  • 최창운;문대혁;이명철;조보연;고창순;이문호;오승근;최국진;박성회;김용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9-65
    • /
    • 1986
  • Clinical features of 406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verified thyroid carcinomas were investigated from May, 1978 to April, 1985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the following results. 1) The incidence of thyroid cancer according to their histological classification was 79.8% of papillary carcinoma, 14.5% of follicular carcinoma, 1.5% of medullary carcinoma, 2.2% of anaplastic carcinoma, 2 cases of squamous carcinoma and 3 cases of lymphoma. 2) The age distribution showed the peak incidence in the fourth decade (25.1%), followed by the fifth and the third decade. 3) The ratio of male to female patients was 1 : 6.1. The ratio is 1 : 5.9 in papillary carcinoma and 1 : 8.8 in follicular carcinoma. 4) The mean age was 40.2 year in papillary carcinoma, 37.4 year in follicular carcinoma. 36.5 year in medullary carcinoma, 60.3 year in anaplastic carcinoma, 62.0 year in squamous carcinoma, 59.7 year in lymphoma. 5) The diameter of the thyroid masses was smaller than 1.5cm in 19.9% of the patients, from 1.5cm to 5cm in 50.5%, from 5cm to 10cm in 25.4% and larger than 10cm in 25.4%. 6) Metastasis to the regional lymph nodes at diagnosis was noted in 44.2% of total patients, and distant metastasis was 5%, and local infiltration was 44.2%. 7) The clinical staging was revealed 42.1% of the patients in stage I, 9.1% in stage II, 35.7% in stage III, 5.2% in stage IV, and 7.9% in undetermined stage.

  • PDF

국소진행성 유방암에서 F-18 FLT-PET 적용 가능성에 대한 예비 연구: F-18 FDG-PET와 비교 (A Pilot Study for the Feasibility of F-18 FLT-PET in Locally Advanced Breast Cancer: Comparison with F-18 FDG-PET)

  • 이재현;김의녕;홍일기;안진희;김성배;안세현;공경엽;김재승;오승준;문대혁;류진숙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1호
    • /
    • pp.29-38
    • /
    • 2008
  • 목적: 최근에 세포증식성 PET 방사성의약품으로 소개되고 있는 FLT를 이용하여 국소진행성 유방암 환자에서 FLT-PET 영상을 시행하여 종양 영상으로서의 향후 적용 가능성을 살펴보고, FDG와 FLT의 섭취양상에 대한 비교 및 정상 장기에 대한 섭취분포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2005년 8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총 22명(모두 여성, 평균나이; 42세)의 국소진행성 유방암 진단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종양의 조직형은 침윤성관상피암이었다.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conventional imaging workup, FLT PET/CT, FDG-PET를 시행하였다. MRI로 측정 한 종양 장경의 평균은 $7.2{\pm}3.4$ cm 이었다. 원발 병소와 림프절 섭취에 대한 육안적인 분석과 반정량적인 분석(SUVmax, $SUV_{75}$, TB ratio)을 하였고, 림프절 섭취에 대한 FDG-PET와 FLT-PET의 일치도를 살펴보았다. 정상장기에서의 FLT와 FDG 분포양상을 비교하기 위해 간과 골수의 SUVmax와 $SUV_{75}$을 측정하였다. 결과: 모든 원발 종양근 FLT-PET와 FDG-PET에서 섭취 증가를 나타냈다. MR로 측정한 종양 장경과 FLT-PET 또는 FDG-PET의 SUVmax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다(p>0.05). 종양의 SUVmax (FLT $6.5{\pm}5.2$ vs FDG $8.3{\pm}4.9$, p=0.02)와 $SUV_{75}$ (FLT $5.3{\pm}4.3$ vs FDG $6.9{\pm}4.2$, p=0.02)에서는 FDG가 FLT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중등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SUVmax; rho=0.450, p=0.04 / $SUV_{75}$; rho=0.472, p=0.03). 반면, TB 섭취비는 FLT가 FDG보다 현저히 높았다(FLT $11.7{\pm}7.7$ vs FDG $6.3{\pm}3.8$, p=0.001). 림프절 섭취 분포에 대한 비교에서는 FDG와 FLT-PET는 34개 구역에서 33개가 일치하였다. FLT와 FDG의 정상 장기의 섭취분포를 보았을 때 FLT는 간(FLT $4.2{\pm}1.2$ vs FDG $1.8{\pm}0.4$)과 골수(FLT $7.4{\pm}1.2$ vs FDG $1.6{\pm}0.4$)의 섭취가 FDG보다 높고 환자마다 다양하였다. 결론: 국소진행성 유방암에서 FTLT는 FDG보다 종양 섭취도는 낮지만 종양과 전이 림프절 섭취가 PET에서 잘 관찰되었다. FLT-PET는 종양 대 주변섭취의 비가 FDG-PET보다 높았으며, 전이 림프절의 진단에서도 FDG-PET와 높은 일치율을 보여 종양 진단 영상으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FLT는 정상 간과 골수 조직의 섭취가 높고 개인차가 커서 이들 장기의 전이를 진단하는 데는 제한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위암조직에서 p53 유전자의 돌연변이 (p53 Gene Mutation in Gastric Cancer Tissue)

  • 구기범;박성훈;정호영;이명훈;유완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4호
    • /
    • pp.214-220
    • /
    • 2006
  • 목적: 종양 억제, 세포 주기 조절 및 세포 고사의 기능과 연관 있는 유전자인 p53은 인간 종양에서 가장 흔히 발견되는 돌연변이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위암에 있어서 p53의 돌연변이 정도와 생존율 등을 비교하여 각각의 상관관계와 예후 인자로써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9년 3월부터 2001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위암으로 수술한 331명 환자의 조직을 이용하여, polymerase chain reaction 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방법으로 p53 돌연변이를 확인하고, 환자의 임상 병리학적 인자와의 관계를 비교하였고, 환자의 생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331명의 환자들의 조직 중 66예(19.9%)의 조직에서 p53 돌연변이가 관찰되었다. 이들 66예 중에서 exon 5에서 23예, exon 6에서 8예, exon 7에서 21예, exon 8에서 17예의 돌연변이를 보였는데, 이중 3예에서 2개의 exon에 돌연변이(exon 5와 exon 6, exon 6과 exon 7, exon 6과 exon 8)를 보였다 p53 돌연변이는 나이와 성별, 육안형, 병리학적 병기, 조직학적 분류, 종양의 위치에 따라서 차이는 없었으나, 장형 156예 중 36예(23.1%), 미만형 145예 중 19예(13.1%)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07), p53 돌연변이에 따른 생존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632). Exon 5는 장형(9.7%)에서 미만형(2.8%))보다 p53 돌연변이 빈도가 높았고(P=0.024), 림프절 전이가 있는 군에서 림프절 전이가 없는 군보다 p53 돌연변이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25.0% vs 15.6%, P=0.034). 나머지 항목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한 예에서의 p53 돌연변이에 따른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04). 결론: p53 돌연변이는 위암 환자의 예후인자로써 가치가 충분하지 않다.

  • PDF

소아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면역조직화학적 소견 (Analysis of disease mechanism of subacute necrotizing lymphadenitis in children)

  • 김현정;염정숙;박지숙;박은실;서지현;임재영;박찬후;우향옥;조재민;이정희;윤희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1호
    • /
    • pp.1198-1204
    • /
    • 2008
  • 목 적: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은 소아에서는 드문 질환으로 병인이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 절제 생검을 시행하여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으로 진단 받은 소아를 대상으로 임상 양상과 방사선학적 소견, 면역조직화학적 소견을 고찰하여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의 병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1998년 3월부터 2006년 7월까지 경상대학교 병원에서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으로 진단 받은 1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19개의 림프절 조직을 얻어 이에 대해 연구하였다. 의무기록을 기초로 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방사선학적 소견으로는 컴퓨터단층촬영 소견을 분석하였고, 모든 예에서 절제 생검을 시행하여 얻은 조직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시행하였다. 결 과: 나이는 5세에서 19세의 범위였다(평균 11.8세). 성별로 보면 남자가 10명, 여자가 7명으로 큰 차이가 없었고 주된 증상으로는 경부 종괴(17/19), 종괴 동통(6/17), 발열(12/19)이였다. 만져지는 림프절은 대부분은 경부 림프절로 방사선학적으로 측정한 최대 직경은 10예 모두 3 cm이하였고 좌측(3/10), 우측(2/10), 양측(5/10)에서 관찰되고 CT 소견상 6명(60%)에서 림프절 주위 침윤과 5명(50%)에서 육안적 괴사부위가 관찰되었다. 병리학적으로 증식형, 괴사형, 황색종형으로 나누었고 괴사형이 가장 많은 비율(58%)을 차지했다. 광학현미경상 Lesion (L), Perilesion (PL), Necrosis (N)으로 새롭게 분류하여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시행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CD4/CD8 비에서 CD8이 우세를 보였고 CD4는 주로 PL에서 CD8은 주로 L에서 염색 강도가 증가하였다. 결 론: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에서 방사선학적 소견과 임상 증상, 병리학적 소견을 종합해서 비교함으로써 아급성 괴사성 림프절염의 병인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조기 위암과 동반된 비장 변연부 림프종 1예 (The Synchronous Occurrence of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in a Patient with Early Gastric Cancer: A Case Report)

  • 박효준;김경미;최민규;노재형;손태성;배재문;김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2호
    • /
    • pp.63-67
    • /
    • 2009
  • 비장 변연부 림프종(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은 드문 종양이며, 주로 노년층에서 발견되며, 절반 이상이 10년 이상 생존할 만큼 양호한 경과를 보인다. 본원에서는 이전에 보고된 바가 없는 비장 변연부 림프종과 조기위암이 동시에 발견된 환자의 수술적 치료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74 세 남자환자로 5년 전 알코올성 간경화를 진단 받은 이후 추적관찰 중 시행한 위내시경 검사에서 유문부에 조기위암이 발견되었다.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 결과, 경미한 간경화와 비장비대, 복강 내 림프절병증이 관찰되었고, 근치적 절제를 위해 위 아전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당시 경미한 간경화와 비장이 매우 커져 있는 것과 더불어 다수의 복부 림프절비대가 관찰되었다. 이후 조직 검사 결과에서 조기위암과 림프절에서 비장 변연부 B 세포 림프종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회복 후 골수검사와 PET 검사 등을 시행하였으며, 조직검사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후 환자는 항암치료 계획 중이다. 비장 변연부 림프종은 Schmid 등에 의해 처음 명명되었으며, 비호치킨성 림프종의 1~2%를 차지한다. 이는 진단 당시 평균 나이가 65세이고, 드문 질환이지만 완만한 경과로 긴 생존 기간을 가지므로 추가로 악성종양이 발생될 수 있다. 대부분 진단 당시 무증상이며, 심각한 혈구 감소증이 없거나, 중등도의 비장비대를 동반한 무증상의 환자는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타당하다. 본 환자는, 조기 위암 수술 중 발견되어 비장 변연부 림프종으로 진단된 경우로, 동시에 발견된 경우는 보고된 바가 없다. 드물기는 하지만, 비장 변연부 림프종을 가진 환자의 주의 깊은 추적 관찰로 이차로 발생되는 악성 종양을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 PDF

상부 위암에서 유문보존 근위부 위아전절제술과 공장간치술을 시행한 위전절제술의 비교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vs. Total Gastrectomy with Jejunal Interposition for Proximal Gastric Adenocarcinomas)

  • 노승무;정현용;이병석;조준식;신경숙;송규상;이태용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권3호
    • /
    • pp.145-150
    • /
    • 200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ortterm outcome of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by comparing it with a jejunal interposition after a total gastrectomy in proximal gastric adeno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For 22 patients (12 men and 10 women) who underwent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several clinica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In this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September 1993 and December 1999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25 patients (17 men and 8 women) who underwent an isoperistaltic simple jejunal interposition. Results: The average operative time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group (220 minutes) was shorter than that in the jejunal interposition group (243 minutes) (P<0.05). The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group at 2 years after the operation. The body weight ratio (postoperative body weight/preoparative body weight) in patients who had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patients with a jejunal interposition at 2 years after the operation. The jejunal interposition procedure had better outcomes in anastomotic site stricture, duration of hospital stay, and number of removed lymph nodes (P<0.05). Conclusions: We think that from the viewpoint of quality of life, a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as well as a jejunal interposition, is a useful reconstruction method for early adenocarcinomas of the proximal stomach. However, stricture of the esophagogastrostomy site in the pyloruspreserving proximal gastrectomy is a common problem to be solved in the future.

  • PDF

Heat shock protein X purified from Mycobacterium tuberculosis enhances the efficacy of dendritic cells-based immunotherapy for the treatment of allergic asthma

  • Kim, Hye-Young;Kang, Hyun Kyu;Cho, Joon;Jung, In Duk;Yoon, Gun Young;Lee, Min-Goo;Shin, Sung Jae;Park, Won Sun;Park, Jong-Hwan;Ryu, Seung-Wook;Park, Yeong-Min;You, Ji Chang
    • BMB Reports
    • /
    • 제48권3호
    • /
    • pp.178-183
    • /
    • 2015
  • Dendritic cells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whether na${\ddot{i}}$ve T cells mature into either Th1 or Th2 cells. We determined whether heat-shock protein X (HspX) purified from Mycobacterium tuberculosis regulates the Th1/Th2 immune response in an ovalbumin (OVA)-induced murine model of asthma. HspX increased interferon-gamma, IL-17A, -12 and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production and T-bet gene expression but reduced IL-13 production and GATA-3 gene expression. HspX also inhibited asthmatic reactions as demonstrated by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eosinophi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 lung tissues, airway luminal narrowing, and airway hyper-responsiveness. Furthermore, HspX enhanced OVA-induced decrease of regulatory T cells in the mediastinal lymph nodes.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HspX plays critical roles in the amelioration of asthmatic inflammation in mice. These findings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immunotherapeutic role of HspX with respect to its effects on a murine model of asthma.

위급한 객혈을 동반한 일측성 폐정맥 협착증 (Unilateral Pulmonary Vein Stenosis with Life-threatening Hemoptysis - A case report -)

  • 이재항;강창현;노정일;서정욱;이정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0호
    • /
    • pp.725-728
    • /
    • 2005
  • 환아는 생후 18개월 된 여아로 반복적인 위급한 과량의 객혈을 주소로 입원하였다. 과거력상 생후 6개월에 중증의 심비대 소견을 보이는 심방중격결손증을 진단받았으며 폐정맥 협착이 심비대에 의한 압박으로 생긴 이차적인 병변일 것이라 추정하여 심방중격결손폐쇄술만 시행하였다. 술 후 환아는 심비대와 폐정맥 협착이 완화된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추적 관찰 중 환아는 반복적인 다량의 객혈로 다시 입원하였고 전산화단충촬영 소견 상 폐정맥 협착이 다시 심해진 것으로 판독되었으며 기관지 주변에 성상을 알 수 없는 연조직 종괴들이 좌측 기관지를 압박하고 있었다.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는 반복적인 객혈로 인해 시험적 개흉술이 불가피하였고, 수술 소견상 좌폐정맥은 하나였으며 외견상 협착의 소견을 보였다. 좌측 기관지 주변에는 다발성 임파절 비대가 기관지를 압박하고 있었다. 또한 수술 중 다량의 객혈이 발생하여 전폐절제술을 시행할 수밖에 없었다. 술 후 병리 소견은 폐정맥 협착과 일치하였다. 환아는 2일간의 중환자실 관리 후 6일째 합병증 없이 퇴원하였다. 2개월간 추적 관찰되었으며 증상 없이 양호한 경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향후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