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surgery Risk factors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3초

Respiratory Severity Score as a Predictive Factor for the Mortality of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 Ahn, Ja-Hye;Jung, Young Hwa;Shin, Seung Han;Kim, Hyun-Young;Kim, Ee-Kyung;Kim, Han-Suk
    • Neonatal Medicine
    • /
    • 제25권3호
    • /
    • pp.102-108
    • /
    • 2018
  • Purpose: Congenital diaphragmatic hernia (CDH) is rare but potentially fatal. The overall outcome is highly variabl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a simple and dynamic parameter that helps predict the mortality of CDH patients in real time, without invasive tests. Methods: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59 CDH cases. Maternal and fetal information included the gestational age at diagnosis, site of defect, presence of liver herniation, and lung-to-head ratio (LHR) at 20 to 29 weeks of gestational age. Information regarding postnatal treatment, including the number of days until surgery, the need for inhaled nitric oxide (iNO), the need for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and survival, was collected. The highest respiratory severity score (RSS) within 24 hours after birth was also calculated. Results: Statistical analysis showed that a younger gestational age at the initial diagnosis (P<0.001), a lower LHR (P=0.001), and the presence of liver herniation (P=0.003) were prenatal risk factors for CDH mortality. The RSS and use of iNO and ECMO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survival.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 only remaining significant risk factor was the highest preoperative RSS within 24 hours after birth (P=0.002). The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as 0.9375, with a sensitivity of 91.67% and specificity of 83.87% at the RSS cut-off value of 5.2. The positiv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82.14% and 92.86%, respectively. Conclusion: Using the RSS as a prognostic predictor with simple calculations will help clinicians plan CDH management.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salivary ductal carcinoma: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 Kim, Tae Hyung;Kim, Mi Sun;Choi, Seo Hee;Suh, Yang Gun;Koh, Yoon Woo;Kim, Se Hun;Choi, Eun Chang;Keum, Ki Cha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125-131
    • /
    • 2014
  • Purpose: We reviewed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s with salivary ductal carcinoma (SDC)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from 2005 to 2012.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6 patients were identified and 15 eligible patients were included in analysis. Median age was 61 years (range, 40 to 71 years) and 12 patients (80%) were men. Twelve patients (80%) had a tumor in the parotid gland, 9 (60%) had T3 or T4 disease, and 9 (60%) had positive nodal disease. All patients underwent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delivered using 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or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Locoregional failure-free survival (LRFFS), distant failure-free survival (DFFS),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Differences in survival based on risk factors were tested using a log-rank test. Results: Median total radiotherapy dose was 60 Gy (range, 52.5 to 63.6 Gy). Four patients received concurrent weekly chemotherapy with cisplatin. Among 10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with neck dissection, 7 received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With a median follow-up time of 38 months (range, 24 to 105 months), 4-year rates were 86% for LRFFS, 51% for DFFS, 46% for PFS, and 93% for OS. Local failure was observed in 2 patients (13%), and distant failure was observed in 7 (47%). The lung was the most common involved site of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SDC patients resulted in good local control, but high distant metastasis remained a major challenge.

70세 이상의 식도암 환자에시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 (Esophagectomy for Esophageal Cancer in Elderly Patients Over 70 Years of Age)

  • 송석원;이현성;김문수;이종목;조재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6호
    • /
    • pp.428-433
    • /
    • 2005
  • 식도암의 수술 시 고령은 수술 합병증 및 사망의 고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수술 술기와 수술 전후 환자 관리의 발전으로 고령의 식도암 환자에서도 식도절제술 후 합병증 및 사망률이 많이 감소하였다. 이 연구는 70세 이상의 식도암환자에서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 후 결과를 70세 미만의 군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3월부터 2004년 7월까지 국립암센터 폐암센터에서 식도암으로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을 시행한 1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환자를 70세 이상$(제1군,\;n=27,\;15.5\%)$과 70세 미만$(제2군,\;n=147,\;84.5\%)$으로 나누어 수술전 상태, 수술 후 합병증 발생, 수술 사망 및 생존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환자들의 연령은 평균 63_4세였으며, 남자가 159명이었다. 병리조직 소견은 $93.1\%$가 편평상피세포암이었다. 병변의 위치는 $78.8\%$에서 중부 및 하부 식도였다. 근치적 절제는 162명$(93.1\%)$에서 가능하였다 평균 재원기간은 19.4일이었으며, 두 군간에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합병증은 61명$(35.1\%)$에서 발생하였다. 이 중 호흡기계 합병증이 33예$(19.0\%)$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제1군에서 수술 전 고혈압 및 심장과 폐기능의 저하가 더 많았으나(p=0.064, p=0.002, p=0.057), 수술 후 합병증 발생률에는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44.4\%\;vs.\;33.3\%,\;p=0.28)$. 수술 사망은 7명$(4.0\%)$이었으며,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3.7\%\;vs.\;4.1\%)$. 평균 생존은 26.5개월로, 1년 생존율 $81.0\%$, 3년 생존율은 $40.5\%$이었고, 생존율은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p=0.64). 걸론: 70세 이상의 식도암 환자에서 만족스러운 조기 결과로 안전하게 식도절제술 및 재건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고령의 식도암 환자에서도 식도 절제술 및 재건술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완전 절제된 IB기 비소세포폐암에서 수술 후 재발의 위험 인자 (Risk Factor for Recurrence in Completely Resected Stage IB Non-small Cell Lung Cancer)

  • 석양기;이응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0호
    • /
    • pp.680-684
    • /
    • 2007
  • 배경: IB기 비소세포폐암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완전 절제이나, 수술 후 재발이 생기면 생존율이 떨어진다. 최근 IB기 비소세포폐암의 완전 절제 후 시행하는 보조 요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적절한 보조 요법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재발의 위험 인자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대상 및 방법: 11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환자의 성별, 나이, 수술 방법, 조직학적 유형, 분화의 정도, 종양의 크기, 장측 흉막 침범 유무 등과 재발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생존율과 무재발률은 Kaplan-Meier 방법으로 구하였으며, log rank test로 단변량 분석을,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을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다고 판정하였다. 결과: 3년 생존율 및 무재발률은 각각 87.0%, 79.4%였다. 단변량 분석에서 분화도가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며, 다변량 분석에서도 저분화의 경우가 예후가 좋지 않았다. 결론: 완전 절제된 IB기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저분화도가 재발과 연관된 인자이므로 수술 후 보조 요법이 필요할 것으로 기대된다.

폐국균종의 수술위험인자 분석 (Analysis of Surgical Risk Factors in Pulmonary)

  • 김용희;이은상;박승일;김동관;김현조;정종필;손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281-286
    • /
    • 1999
  • 배경: 본 연구는 폐국균종으로 폐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술후 합병증의 종류 및 발생빈도와 이에 관련된 술전.후 위험인자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8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서울중앙병원 흉부외과에서 폐국균종으로 폐절제술을 시행받은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위험인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남녀비는 24대 18이였으며 평균나이는 46.6$\pm$11.5세(29~69세)였다. 술전 주요증상은 객혈(90%), 발열, 호흡곤란, 농담, 체중감소등이 있었다. 폐결핵 병력이 있는 경우는 34례(81%)으며, 동반질환은 기관지확장증(n=11), 활동성 결핵(n=9), 당뇨(n=8) 및 폐 유암종(n=1)과 급성골수아구성 백혈병(n=1)이 있었다. 발병 부위로는 우상엽 16례 및 좌상엽 10례로 대부분 상엽에 호발되었다(62%). 수술은 폐엽 절제술 32례, 폐구역 또는 설상 절제술 4례, 전폐 절제술 2례 및 폐엽 절제술과 폐구역 절제술을 병행한 경우가 4례였다. 결과: 수술 사망률은 2%였으며, 술후 합병증의 발생률은 33%(n=14)로 지속적인 공기누출(n=6)이 가장 흔하였다. 폐국균종의 외과적 폐절제술에 따른 합병증의 발생위험과 관련하여 나이, 성별, 폐기능검사 소견, 발열, 체중감소, 객혈량, 객혈기간, 국균종의 크기, 낭종벽의 두께, 활동성결핵 유무, 당뇨 유무, 기관지확장증 유무, 술전 스테로이드의 사용여부, 술전 기관지동맥 색전술의 시행여부 및 수술방법상의 차이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술전 방사선 소견상 주위 폐조직으로 침윤이 심할수록 술후 합병증의 발생빈도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p=0.04). 결론: 폐국균종의 술후 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위 폐조직으로의 침윤 정도에 대한 정확한 술전 방사선학적 평가가 중요하다. 추적관찰, 8.1개월)동안 14례에서 모두 정상 동방결절율동으로 전환되었고, 9례(64%)에서 좌심방의 수축을 관찰할수 있었으며, 11례(79%)에서는 항부정맥제를 투여하지 않고 있다. 결론: Maze III 술식에서 냉동절제를 시행하지 않더라도 승모판막 질환과 동반된 심방세동에 효과적인 수술임을 알 수 있었다.보관후의 이소 이식술시 적절한 면역억제제의 투여로 기관 내강 및 기관 상피세포가 잘 유지됨을 알 수 있어, 보다 장기간의 기관 보관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초냉동 보관의 시행 여부와는 상관없이 면역억제제를 투여하지 않은 군에서 폐색성 모세기관지염과 비슷한 양상의 기관 내강의 섬유조직 과잉 증식 및 기관 상피세포의 소실 등이 관찰되었다. 쥐와 같은 소동물에서의 이러한 시도는 폐이식술과 관련된 어려운 문제중의 하나인 폐색성 모세기관지염의 병인,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연구에 있어 좋은 실험 모델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로 변화한 CO, dp/dt, SV, SW, LVEDP 같은 좌심실 혈역학 지표들의 변화의 폭을 비교하면 그룹 B에서 그룹 A에서보다 더 컸다(p<0.05). 그룹 A에서 유도된 급성 심부전 상태와 그룹 B의 만성 심부전 상태가 CO, dp/dt, SV, SW, LVEDP 같은 좌심실 혈역학 지표들 면에서 통계학적으로 차이가 없고(p>0.05), 육안적으로 광배근을 관찰하였을 때 그룹 A에서는 광배근의 유착 및 염증소견이 모두에서 있었고 그중 2마리에서는 광배근의 수축을 목격할 수 없었던 반면, 그룹 B에서는 5마리 모두에서 광배근이 활발하게 수축하였다는 점을 함께 고려하면 그룹 B에서의 더 큰 증폭 효과가 광배근의 활성도 및 수축력의 차이로부터 기인한다고 평가할 수 있다. 결론: 이상에서 역동적 심근성형술의 수축기 혈역학적 변화는 심부전 상태에서만 긍정적인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그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근육의

  • PDF

Awareness and U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in Korean Lung Cancer Patients

  • Choi, Joon Young;Ji, Wonjun;Choi, Chang-Min;Chung, Chaeuk;Noh, Jae Myoung;Park, Cheol-Kyu;Oh, In-Jae;Yoon, Hong In;Kim, Hyeong Ryul;Kim, Ho Young;Yeo, Chang Dong;Jang, Seung Hun;Public Rel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Lung Cancer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4권2호
    • /
    • pp.105-114
    • /
    • 2021
  • Backgroun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CAM) has been used frequently, and its use continues to increase in lung cancer patients, despite insufficient scientific of its efficacy. To investigate this situation, we analyzed the current awareness and use of CAM in Korean lung-cancer patients. Methods: This prospective survey-based study was performed at seven medical centers in South Korea between August and October 2019. The survey assessed general patient characteristics and the awareness and use of CAM. We analyzed differences in the clinical parameters of patients aware and not aware of CAM and of CAM non-users and users. Results: Of the 434 patients included in this study, 68.8% responded that they were aware of CAM and 30.9% said they had experienced it. In univariate analysis, the patients aware of CAM were younger with poor performance status, had advanced-stage lung cancer, received more systemic therapy, and received concurrent chemoradiation therapy (CCRT).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younger age, poor performance status, advanced stage, and prior CCRT were identified as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CAM awarenes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ancer-associated clinical parameters of CAM non-users and users. Conclusion: Specific clinical parameters were associated with patients' awareness of CAM, although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characteristics between CAM users and non-users.

선천성 심질환을 가진 3개월 소아에서 장기간의 체외 막형 산소화 보조 후 몸무게 차이가 큰 공여자-수용자간 심장 이식 (Transplantation of an Extremely Oversized Heart after. Prolonged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ssistance in a 3-month-old Infant with Congenital Heart Disease)

  • 조현진;서동만;장원경;박천수;김영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5호
    • /
    • pp.630-634
    • /
    • 2009
  • International Society for Heart and Lung Transplantation (ISHLT)는 2007년 보고에서 선천성 심질환, 1세 미만의 나이, 이식 당시 체외 막형 산소화 보조가 심장 이식 후 사망의 유의한 위험 요소임을 보고하였으며, 몸무게 차이가 클 경우에도 사망의 위험도를 높인다고 하였다. 이 증례의 환아는 심한 좌심실 유출로 협착, 승모판 폐쇄 부전이 있어 Ross수술과 승모판 성형술을 시행하였으나 술 후 심한 좌심실 기능부전으로 체외 막형 산소화 보조를 적용하였다. 체외 막형 산소화 보조 30일이 경과한 생후 3개월 경 공여자-수용자간 몸무게 비가 4.42에 이르는 매우 큰 심장을 성공적으로 이식하였기에 이식의 기술적인 주요 사항을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한국인 비흡연 여성에서 폐암의 유전적 감수성 표지자로서의 GSTT1 유전자형 (The GSTT1 Genotype as A Marker for Susceptibility to Lung Cancer in Korean Female Never-Smokers)

  • 장상수;정치영;이신엽;이재희;전효성;박선하;손지웅;이응배;김창호;감신;박랑운;김인산;정태훈;박재용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485-494
    • /
    • 2003
  • 배경 : Glutathione S-transferase(GST)는 발암 전구물질의 해독에 관여하는 효소로, GSTM1과 GSTT1 소실형을 갖는 개체는 폐암의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여성 폐암은 위험 인자, 조직형 등의 역학적 특성이 남성과 차이가 많기 때문에 유전적 감수성 인자 또한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한국인에서 GSTM1과 GSTT1 유전자형과 폐암 발생 위험도의 상관 관계를 남성과 여성을 분리하여 조사하였다. 방법 : 1997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폐암으로 확진된 25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조군은 경북대학교 병원 건강 검진센터를 방문한 검진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GSTM1과 GSTT1의 유전자형은 말초 혈액에서 DNA를 추출한 후 다중중합효소 연쇄 반응(multiplex PCR)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남성에서는 GSTM1과 GSTT1 유전자형에 따른 폐암 발생 위험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성에서는 GSTM1 유전자형과 폐암 발생 위험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GSTT1 소실형의 빈도는 폐암군 70.3%, 대조군 55.3%로 폐암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odds ratio(OR, 대응비)=2.18, 95% confidence interval(CI, 신뢰구간)=1.21-3.93). 흡연력과 연령에 따라 층화분석한 경우 GSTT1 소실형은 60세 이하(OR=4.82, 95% CI=1.61-14.4)와 비흡연자(OR=4.29, 95% CI=1.94-9.48]에서 여성 폐암 위험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 GSTT1 유전자형은 한국인 비흡연 여성에서 폐암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유전적 인자로 생각된다.

Primary Invasive Mucinous Adenocarcinoma of the Lung: Prognostic Value of CT Imaging Features Combined with Clinical Factors

  • Tingting Wang;Yang Yang;Xinyue Liu;Jiajun Deng;Junqi Wu;Likun Hou;Chunyan Wu;Yunlang She;Xiwen Sun;Dong Xie;Chang Chen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2권4호
    • /
    • pp.652-662
    • /
    • 2021
  • Objective: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CT imaging features and survival outcomes in patients with primary invasive mucinous adenocarcinoma (IMA). Materials and Methods: Preoperative CT image findings were consecutively evaluated in 317 patients with resected IMA from January 2011 to December 2015. The association between CT features and long-term survival were assessed by univariate analysis. Th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were identified by the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es. The survival comparison of IMA patients was investig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and propensity scores. Furthermore, the prognostic impact of CT features was assessed based on different imaging subtypes, and the results were adjusted using the Bonferroni method. Results: The median follow-up time was 52.8 months; the 5-year disease-free survival (DFS) and overall survival rates of resected IMAs were 68.5% and 77.6%, respectively. The univariate analyses of all IMA patients demonstrated that 15 CT imaging features, in addition to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recurrence or death of IMA patients. The multivariable analysis revealed that five of them, including imaging subtype (p = 0.002), spiculation (p < 0.001), tumor density (p = 0.008), air bronchogram (p < 0.001), emphysema (p < 0.001), and location (p = 0.029)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The subgroup analysis demonstrated that pneumonic-type IMA had a significantly worse prognosis than solitary-type IMA. Moreover, for solitary-type IMAs, the most independent CT imaging biomarkers were air bronchogram and emphysema with an adjusted p value less than 0.05; for pneumonic-type IMA, the tumors with mixed consolidation and ground-glass opacity were associated with a longer DFS (adjusted p = 0.012). Conclusion: CT imaging features characteristic of IMA may provide prognostic information and individual risk assessment in addition to the recognized clinical predictors.

Analysing Risk Factors of 5-Year Survival Colorectal Cancer Using the Network Model

  • Park, Won Jun;Lee, Young Ho;Kang, Un G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9호
    • /
    • pp.103-10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5-year survival of colon cancer through network model and to use it as a clinical decision supporting system for colorectal cancer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2,540 patients who underwent colorectal cancer surgery from 1996 to 2018. Eleven factors related to survival of colorectal cancer were selected by consulting medical experts and previous studies. Analysis was proceeded from the data sorted out into 1,839 patients excluding missing values and outlier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 BMI, and heart diseas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5-year survival of colorectal cancer. Additionall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age, BMI, heart disease, diabetes, and other diseases were correlated with 5-year survival of colorectal cancer. Sex was related with BMI, lung disease, and liver disease. Age was associated with heart disease, heart disease, hypertension, diabetes, and other diseases, and BMI with hypertension, diabetes, and other diseases. Heart disease wa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diabetes, hypertension, diabetes, and other diseases. In addition, diabetes and kidney disease were associate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network model was constructed with the Network Correlation Coefficient less than p <0.001 as the weight. The network model showed that factors directly affecting survival were age, BMI levels, heart disease, and indirectly influencing factors were diabetes, high blood pressure, liver disease and other diseases. If the network model is used as an assistant indicator for the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it could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survival rate of pati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