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Diseases, Obstructive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27초

양측성 흉막 삼출증을 동반한 Churg-Strauss 증후군 1예 (A Case of Churg-Strauss Syndrome with Bilateral Pleural Effusions)

  • 김민수;이승현;한승범;권건영;전영준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2호
    • /
    • pp.258-264
    • /
    • 2001
  • 저자들은 비염과 기관지 천식의 병력이 있으면서 열감, 설사, 신경염 증상과 함께 양측성 흉막액과 심낭액 그리고 페침윤을 보인 환자에서 흉박액 성분검사상 저당, 산성 삼출액 소견과, 폐조직 검사상 호산구 침윤과 혈관염 및 육아종성 염증 소견을 보인 Churg-Strauss 증후군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The Phosphodiesterase 4 Inhibitor Roflumilast Protects against Cigarette Smoke Extract-Induced Mitophagy-Dependent Cell Death in Epithelial Cells

  • Kyung, Sun Young;Kim, Yu Jin;Son, Eun Suk;Jeong, Sung Hwan;Park, Jeong-Wo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1권2호
    • /
    • pp.138-147
    • /
    • 2018
  • Background: Recent studies show that mitophagy, the autophagy-dependent turnover of mitochondria, mediates pulmonary epithelial cell death in response to cigarette smoke extract (CSE) exposure and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emphysema in vivo during chronic cigarette smoke (CS) exposure, although the underlying mechanisms remain unclear. Metho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ole of mitophagy in the regulation of CSE-exposed lung bronchial epithelial cell (Beas-2B) death. We also investigated the role of a phosphodiesterase 4 inhibitor, roflumilast, in CSE-induced mitophagy-dependent cell death. Results: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CSE induces mitophagy in Beas-2B cells through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increased the expression levels of the mitophagy regulator protein, PTEN-induced putative kinase-1 (PINK1), and the mitochondrial fission protein, dynamin-1-like protein (DRP1). CSE-induced epithelial cell death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eas-2B cells exposed to CSE but was decreased by small interfering RNA-dependent knockdown of DRP1. Treatment with roflumilast in Beas-2B cells inhibited CSE-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mitophagy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phospho-DRP1 and -PINK1. Roflumilast protected against cell death and increased cell viability, as determined by the lactate dehydrogenase release test and the MTT assay, respectively, in Beas-2B cells exposed to CSE.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oflumilast plays a protective role in CS-induced mitophagy-dependent cell death.

Inhibition of Vitamin D Receptor Translocation by Cigarette Smoking Extracts

  • Uh, Soo-Taek;Koo, So-My;Kim, Yang Ki;Kim, Ki Up;Park, Sung Woo;Jang, An Soo;Kim, Do Jin;Kim, Yong Hoon;Park, Choon Si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3권5호
    • /
    • pp.258-265
    • /
    • 2012
  • Background: Vitamin D can translocate a vitamin D receptor (VDR) from the nucleus to the cell membranes. The meaning of this translocation is not elucidated in terms of a role in pathogenesi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till now. VDR deficient mice are prone to develop emphysema, suggesting that abnormal function of VDR might influence a generation of COPD. The blood levels of vitamin D have known to be well correlated with that of lung function in patients with COPD, and smoking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in development of COP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hether cigarette smoke extracts (CSE) can inhibit the translocation of VDR and whether mitogen 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re involved in this inhibition. Methods: Human alveolar basal epithelial cell line (A549) was used in this study. 1,25-$(OH_2)D_3$ and/or MAPKs inhibitors and antioxidants were pre-incubated before stimulation with 10% CSE, and then nucleus and microsomal proteins were extracted for a Western blot of VDR. Results: Five minutes treatment of 1,25-(OH2)D3 induced translocation of VDR from nucleus to microsomes by a dose-dependent manner. CSE inhibited 1,25-$(OH_2)D_3$-induced translocation of VDR in both concentrations of 10% and 20%. All MAPKs inhibitors did not suppress the inhibitory effects of CSE on the 1,25-$(OH_2)D_3$-induced translocation of VDR. Quercetin suppressed the inhibitory effects of CSE on the 1,25-$(OH_2)D_3$-induced translocation of VDR, but not in n-acetylcysteine. Conclusion: CSE has an ability to inhibit vitamin D-induced VDR translocation, but MAPKs are not involved in this inhibition.

Incidence of Adverse Effects and Discontinuation Rate between Patients Receiving 250 Micrograms and 500 Micrograms of Roflumilast: A Comparative Study

  • Joo, Hyonsoo;Han, Deokjae;Lee, Jae Ha;Rhee, Chin Koo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1권4호
    • /
    • pp.299-304
    • /
    • 2018
  • Background: Roflumilast is the only approved oral phosphodiesterase-4 inhibitor for the treatment of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n patients with chronic bronchitis and a history of frequent exacerb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cidence of adverse effects associated with roflumilast treatment in a real-world setting. Further, we compared the incidence of adverse effects and the discontinuation rate among patients receiving different doses. Methods: We identified all outpatients diagnosed with COPD at Seoul St. Mary's Hospital between May 2011 and September 2016 and retrospectively reviewed their medical records. Roflumilast was prescribed to patients in doses of $500{\mu}g$ and $250{\mu}g$. Results: A total of 269 COPD patients were prescribed roflumilast in our hospital during the study period. Among them, 178 patients were treated with $500{\mu}g$ and 91 patients were treated with $250{\mu}g$. The incidence of adverse effects was 38.2% in the $500{\mu}g$ group and 25.3% in the $250{\mu}g$ group (p=0.034). The discontinuation rate of roflumilast was 41.6% (n=74) in the $500{\mu}g$ group and 23.1% (n=21) in the $250{\mu}g$ group (p=0.003). When adjusted by age, sex, smoking status, and lung function, $500{\mu}g$ dos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discontinuation of roflumilast (odds ratio, 2.87; p<0.001). Conclusion: There was a lower incidence of adverse effects and discontinuation among patients treated with $250{\mu}g$ compared with $500{\mu}g$ dose. Further studies regarding the optimal dose of roflumilast are required.

Roles of Inflammatory Biomarkers in Exhaled Breath Condensates in Respiratory Clinical Fields

  • Yong Jun Choi;Min Jae Lee;Min Kwang Byun;Sangho Park;Jimyung Park;Dongil Park;Sang-Hoon Kim;Youngsam Kim;Seong Yong Lim;Kwang Ha Yoo;Ki Suck Jung;Hye Jung Par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7권1호
    • /
    • pp.65-79
    • /
    • 2024
  • Background: Exhaled condensates contain inflammatory biomarkers; however, their roles in the clinical field have been under-investigated. Methods: We prospectively enrolled subjects admitted to pulmonology clinics. We collected exhaled breath condensates (EBC) and analysed the levels of six and 12 biomarkers using conventional and multiplex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spectively. Results: Among the 123 subjects, healthy controls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 (81 participants; 65.9%), followed by the preserved ratio impaired spirometry group (21 patients; 17.1%) and th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group (21 patients; 17.1%). In COPD patients, platelet derived growth factor-AA exhibit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PD assessment test (ρ=0.5926, p=0.0423) and COPD-specific version of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SGRQ-C) score (total, ρ=0.6725, p=0.0166; activity, ρ=0.7176, p=0.0086; and impacts, ρ=0.6151, p=0.0333). Granzyme B showed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with SGRQ-C score (symptoms, ρ=0.6078, p=0.0360; and impacts, ρ=0.6007, p=0.0389). Interleukin 6 exhibit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SGRQ-C score (activity, ρ=0.4671, p=0.0378). The absolute serum eosinophil and basophil counts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pro-collagen I alpha 1 (ρ=0.6735, p=0.0164 and ρ=0.6295, p=0.0283, respectively). In healthy subjects,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forced vital capacity demonstrat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C chemokine ligand 3 (CCL3)/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1 alpha (ρ=0.3897 and p=0.0068). FEV1 exhibit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CL11/eotaxin (ρ=0.4445 and p=0.0017). Conclusion: Inflammatory biomarkers in EBC might be useful to predict quality of life concerning respiratory symptoms and serologic markers. Further studies are needed.

대구 경북지역에서 진단된 노령자 폐암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Elderly Patients with Lung Cancer Diagnosed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 김현숙;현대성;김경찬;이상채;정태훈;박재용;김창호;차승익;이관호;정진홍;신경철;전영준;한승범;최원일;김연재;정치영;임건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5권1호
    • /
    • pp.15-22
    • /
    • 2008
  • 연구배경: 폐암은 우리나라 암 사망원인 질환의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질환으로 특히 노령 인구에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노령의 폐암 환자는 동반된 질환, 노령에 따른 장기 기능의 저하 등의 이유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70세 이상의 노령 폐암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에 따른 생존기간 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대구, 경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경북대학병원, 구미 순천향병원, 대구가톨릭대학병원, 대구파티마병원, 동산의료원, 영남대학병원)에서 세포학적 혹은 조직학적으로 원발성 폐암을 진단받은 706명의 환자들을 70세 이상 환자군과 70세 미만 환자군으로 나누어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결 과: 전체 환자 중 70세 이상의 환자는273명(38.7%)이었다. 70세 이상의 환자는 70세 미만보다 호흡곤란의 증상이 많았으며(p<0.001),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빈도가 높았고(p<0.001), 활동도가 좋은 경우가 적었다(p<0.001).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70세 미만의 환자와 70세 이상의 환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962일 vs 298일, p=0.001), 한 가지라도 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1,109일 vs 708일, p=0.14). 결 론: 70세 이상의 비소세포폐암 환자에서 환자의 활동도 등을 고려하여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술후 폐기능 변화의 예측에 대한 연무 흡입스캔과 관류스캔의 비교 (Comparison of Inhalation Scan and Perfusion Scan for the Prediction of Postoperative Pulmonary Function)

  • 천영국;곽영임;윤종길;조재일;심영목;임상무;홍성운;이춘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2호
    • /
    • pp.111-119
    • /
    • 1994
  • 배경 및 목적: 폐암 환자의 다수가 흡연력이 있고 만성 폐쇄성 폐질환이 병발되어 있으므로 수술후 폐기능의 변화를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수술후 합병증을 예방하는데 중요하다. 폐 절제술 후 잔여 폐기능을 예측함에 있어 현재까지 99mTc-MAA를 이용한 폐관류 스캔이 많이 이용되어 왔지만 이론적으로 폐환기와 폐관류의 불일치가 있는 경우 오차가 있을 수 있어 $^{99m}Tc$-DTPA 연무흡입 환기 스캔을 이용해 잔류 폐기능을 예측하여 관류 스캔을 비교하여 보았다. 방법: 수술전 연무 흡입스캔과 관류 스캔을 시행하고 수술전에 폐기능을 실시하여 잔여 폐기능을 예측하고 수술후 2개월 뒤에 폐기능을 실시하여 상관관계를 비교하여 보았다. 전 폐절제술인 경우: 수술전 폐기능$\times$전체 폐에 대한 잔류폐의 비 폐엽 절제술인 경우: 수술전 폐기능$\times$(1-침범된 폐의 전체폐에 대한 비$\times$절제될 폐의 분절 수/침범된 폐의 총 분절 수) 결과: 1) $FEV_1$에서 연무 흡입스캔을 이용하여 예측한 값과 실측치 간의 상관 계수는 0.94(p<0.0001), 폐관류 스캔을 이용한 경우는 0.86(p<0.0001)이었으며 두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FVC에 흡입스캔을 이용한 경우 상관 계수가 0.91(p<0.0001)이었고 폐관류 스캔에서는 0.72(p=0.0005)로 연무 흡입스캔으로 예측한 군에서 상관 관계가 좋았다. 3) $FEF_{25-75%}$에서의 결과는 연무 흡입스캔을 이용한 경우 상관 계수가 0.87(p=0.0001), 폐관류 스캔에서는 상관 계수가 0.87(p<0.0001)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두 스캔을 동시에 시행한 군에서 비교한 결과를 보면 연무 흡입 스캔에서 상관 계수는 $FEV_1$ 0.97(p<0.0001), FVC 0.95(p<0.0001), $FEF_{25-75%}$ 0.85(p<0.001)이었고 폐관류 스캔에서는 $FEV_1$ 0.97(p<0.0001), FVC 0.96(p<0.0001), $FEF_{25-75%}$ 0.83(p<0.002)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수술후 잔여 폐기능을 예측함에 있어 연무 흡입스캔 및 관류 스캔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비교적 정확했고 폐기능중에서는 $FEV_1$이 가장 상관 관계가 좋았다.

  • PDF

페중엽증후군에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굴곡성 기관지경검사의 의의 (Chest Computerized Tomographic Scan and Flexible Fiberoptic Bronchoscopy in the Diagnosis of Middle Lobe Syndrome)

  • 이남호;이홍렬;김세규;장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3호
    • /
    • pp.236-241
    • /
    • 1992
  • 연구배경 : 최근 전산화 단층 촬영술의 발달로 인해 폐 허탈의 원인으로 기관지 폐쇄질환과 비폐쇄질환의 감별뿐만 아니라 폐쇄질환중에서도 양성질환과 악성질환의 감별이 비교적 용이하게 되었다. 과거 폐중엽중후군의 일반적 특성 및 원인질환에 관한 국내보고는 많았으나 폐중엽증후군에서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굴곡성 기관지경검사의 종합적 평가에 의한 진단적 의의에 관한 보고는 찾아 보기 어려웠다. 이에 저자등은 폐중엽 증후군 16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방법 : 저자들은 1987년 1월부터 1992년 1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호흡기내과에 입원하여 중엽증후군으로 진단된 16명을 대상으로 임상특징,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 및 기관지경 소견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 1) 남녀의 비는 특기할 차이가 없었으나, 50세 이상이 81.3%를 차지 하였다. 2) 임상증상은 기침이 11예(68.7%)로 가장 많았고, 객담 7예(43.8%), 흉통 7예(43.8%), 호흡곤란 5예(31.3%), 식욕 부진 4예(25.0%)의 순이었다. 3) 이학적 소견은 염발음(31.3%)이 5예로 가장 많았고, 통음 2예(12.5%) 호흡음 감소 5예(31.3%), 천명음 1예(6.2%)의 순이었다. 4) 흉부 전산화 단층촬영소견은 16예중 5예에서 종괴에 의한 폐쇄소견올 보였으며 7예에서 비특이적 폐쇄소견을 보였고 3예에서는 폐쇄소견이 없었다. 5) 기관지경소견은 16예중 종괴소견이 5예, 폐쇄나 협착 소견이 7예, 삼출액을 동반한 궤양소견이 1예, 분비물로 막힌 경우가 1예, 점막충혈 소견이 2예있었다. 6) 원인질환으로는 결핵성 질환이 6예(37.6%)로서 가장 많았고 다음이 폐압 3예, 양성협착 2예(12.6%), 폐농양 1예(5.2%), 기관지 결석증 1예(12.6%), 폐렴 1예(12.6%), 기관지 연골종 1예(12.6%), 비특이성 염증 1예(12.6%)의 순이었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폐중엽증후군의 원인질환으로 결핵성 질환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기관지경 검사를 시행하므로서 전산화 단층촬영으로 감별키 어려웠던 국소 질환의 관찰 및 이로부터 얻은 검체를 통하여 진단적 소견을 얻을 수 있어 폐중엽증후군의 진단과 확진에 흉부 전산화단층촬영과 기관지경 검사의 병용이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기관지확장제의 사용에 따른 단독 폐용적 반응 (isolated volume response)과 GOLD 분류와의 관계 (Isolated Volume Response to a Bronchodilator and GOLD Classification in Patients with COPD)

  • 허규영;이승현;정진용;김세중;이경주;이은주;정혜철;이승룡;이상엽;김제형;신철;심재정;인광호;강경호;유세화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1호
    • /
    • pp.23-29
    • /
    • 2005
  • 배 경 : 만성 폐쇄성 폐질환은 기관지 천식과 달리, 흡연과 연관이 있으며, 서서히 진행하는 고정된 기류제한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여러 연구에서 기류폐쇄의 가역성은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도 흔히 관찰되며, 지속적으로 흡입성 기관지확장제로 치료하였을 때에도 이러한 가역성이 보여, 증상의 경감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기관지 확장제의 반응정도와 질환의 중증도를 확인하는 연구는 없었으며, 이번 연구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기류폐쇄의 정도와 기관지 확장제의 반응정도의 상관성을 GOLD 분류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방 법 :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들로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의 노력성 폐활량에 대한 비($FEV_1/FVC$)가 0.7 이하인 경우를 대상으로 하여 GOLD 분류법과 기관지확장제 반응 여부에 따라 분류하였다. 기관지확장제 사용후 1초간 노력성 호기량, 노력성 폐활량의 변화정도에 따라 단독 용적 반응군, 단독 기류 반응군, 기류-용적반응군, 비반응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는모두124명으로, 평균연령은 $65.89{\pm}8.43$세 였다. 기관지확장제에 반응을 보였던 반응군이 기관지확장제에 반응을 보이지 않았던 비반응군에 비해 폐기능 검사 수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낮았으며,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 GOLD 단계의 중증도가 더 높은 소견을 보였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에서 운동 시 발생하는 산소 불포화 반응과 관련된 인자 (Factors Related to Exertional Oxygen Desaturation in Patients with COPD)

  • 심상우;조준연;권용식;채진녕;박지혜;이미영;노병학;최원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0권6호
    • /
    • pp.498-503
    • /
    • 2011
  • Background: The causes of exertional desaturation in patients with COPD can be multifactorial. We aimed to investigate factors predict exertional desaturation in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COPD. Methods: We tested 51 consecutive patients with stable COPD (FEV1/FVC, $40{\pm}13%$ predicted). Patients performed a six minute walk test (6MWT). Pulse oxymetric saturation (SpO2) and pulse rate were recorded. Results: Oxygen desaturation was found in 15 subjects after 6MWT, while 36 subjects were not desaturated. Lung diffusing capacity was significantly lower in desaturation (DS) group ($62{\pm}18%$ predicted) compared with not desaturated (ND) group ($84{\pm}20$, p<0.01).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of FEV1/FVC ratio or residual volume between two groups. The pulse rate chang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desaturated compared with the not desaturated group. Six minute walking distance, subjective dyspnea scale, airflow obstruction, and residual volume did not predict exertional oxygen desaturation. Independent factors assess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vealed that a pulse rate increment (odd ratio [OR], 1.19;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40; p=0.02), a decrease in baseline PaO2 (OR, 1.105; 95% CI, 1.003~1.218; p=0.04) and a decrease in lung diffusing capacity (OR, 1.10; 95% CI, 1.01~1.19; p=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xygen desaturation. Receiver operator characteristic (ROC) analysis showed that an absolute increment in pulse rate of 16/min gave optimal discrimination between desaturated and not desaturated patients after 6MWT. Conclusion: Pulse rate increment and diffusion capacity can predict exertional oxygen desaturation in stable COPD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airflow ob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