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ang Prabang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3초

Fishborne Trematode Metacercariae in Luang Prabang, Khammouane, and Saravane Province, Lao PDR

  • Rim, Han-Jong;Sohn, Woon-Mok;Yong, Tai-Soon;Eom, Keeseon S.;Chai, Jong-Yil;Min, Duk-Young;Lee, Soon-Hyung;Hoang, Eui-Hyug;Phommasack, Bounlay;Insisiengmay, Sithat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1호
    • /
    • pp.107-114
    • /
    • 2013
  • Fishborne trematode (FBT) metacercariae were investigated in fish from 3 Provinces of Lao PDR. Total 242 freshwater fish of 40 species were collected in local markets of Luang Prabang (59 fish of 16 species), Khammouane (81 fish of 19 species), and Saravane (97 fish of 14 species), and each of them was examined by artificial digestion method. Four species of metacercariae (Opisthorchis viverrini, Haplorchis taichui, Haplorchis yokogawai, and Centrocestus formosanus) were detected. O. viverrini was detected in 35 fish (14.5%), and their density was 252 per infected fish (Luang Prabang, 88 metacercariae in 5 fish; Khammouane, 187 in 6 fish; Saravane, 303 in 24 fish). H. taichui was found in 102 fish (42.1%), and their density was 485 per infected fish (Luang Prabang, 260 metacercariae in 38 fish; Khammouane, 1,084 in 23 fish; Saravane, 359 in 41 fish). H. yokogawai was detected in 92 fish (38.0%), and their density was 222 per infected fish (Luang Prabang, 362 metacercariae in 17 fish; Khammouane, 126 in 20 fish; Saravane, 214 in 55 fish). Metacercariae of C. formosanus were found in 8 fish (3.3%), and their density was 3 per infected fish. In the present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FBT metacercariae, in particular, H. taichui, H. yokogawai, and O. viverrini, are highly prevalent in fish from Luang Prabang, Khammouane, and Saravane Province, Lao PDR.

Indochinamon ou (Crustacea: Potamidae) as a New Second Intermediate Host for Paragonimus harinasutai in Luang Prabang Province, Lao PDR

  • Sohn, Woon-Mok;Ryu, Jae-Sook;Min, Duk-Young;Song, Hyun-Ouk;Rim, Han-Jong;Vonghachack, Youthanavanh;Bouakhasith, Daluny;Banouvong, Virasack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7권1호
    • /
    • pp.25-29
    • /
    • 2009
  • Paragonimus harinasutai metacercariae were found in a species of freshwater crab, Indochinamon ou, collected in a small stream of Namback District, Luang Prabang Province, Lao PDR. Adult flukes were recovered after experimental infection of the metacercariae to dogs. Metacercariae were round or slightly elliptical, $0.666{\times}0.626\;mm$ in average size, and had a thin cyst wall of about $20{\mu}m$ in thickness, a black excretory bladder, convoluted ceca, and some pinkish materials in the body. Adults were somewhat elongated, $95.2{\times}36.5\;mm$ in average size, covered with single-tipped tegumental spines, had a smaller oral sucker than the ventral sucker, a moderately branched ovary, and 5-6 lobulated testes. Eggs were ovoid and bilaterally symmetrical in shape, $79{\times}45{\mu}m$ in average size, and had a uniformly thickened shell. By the present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I. ou is a new second intermediate host for P. harinasutai.

Local Adaptability of Buckwheat Species in Luang Prabang Region, Lao P.D.R

  • Briatia, Xoxiong;Lee, Myung-Heon;Hong, Soon-Kwan;Sung, In-Je;Chang, Kwang-Jin;Park, Byoung-Jae;Park, Cheol-Ho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7-362
    • /
    • 2012
  • The potential cultivation of buckwheat species in Luang Prabang region, Lao PDR where the species has not been naturally grown and not traditionally utilized was studied to introduce buckwheat as a new agricultural material, especially for food and medicine. The growth of Tartary buckwheat species was higher than common buckwheat showing 2.3 fold of plant height compared to common buckwheat. Number of flower per plant in Tartary buckwheat (731) was three fold higher than common buckwheat (244). Dry weight per plant was respectively 1.7 g in Suwon No. 1, 2.6 g in Suwon No. 2, and 1.4 g in KW45. The rate average of seed setting was similar between common buckwheat (41 to 46 %) and Tartary buckwheat (44%). Total seed yield of Tartary buckwheat (184 kg/10 a) in 10a could be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at of common buckwheat (108 kg/10 a).

Current Status of Human Taeniasis in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 Jeon, Hyeong-Kyu;Yong, Tai-Soon;Sohn, Woon-Mok;Chai, Jong-Yil;Min, Duk-Young;Yun, Cheong-Ha;Rim, Han-Jong;Pongvongsa, Tiengkham;Banouvong, Virasack;Insisiengmay, Bounnaloth;Phommasack, Bounlay;Eom, Keeseon S.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259-263
    • /
    • 2013
  • Human taeniasis was investigated in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Lao PDR) between 2000 and 2011 as part of the nation's helminthiasis survey. A total of 55,038 inhabitants, including 29,846 school children, were examined using the Kato-Katz and scotch-tape anal swab method, and morphological observation of adult worms. Molecular identification of Taenia tapeworms was performed by multiplex PCR or DNA sequence analysis of the mitochondrial cox1 gene. Taenia eggs were present at a rate of 1.5% (845/55,038) in the subject population. Adult tapeworms were identified as T. solium or T. saginata by analyzing the collectable stool specimens (n=126). Three specimens identified as T. solium were found in Luang Prabang, while the remaining 123 specimens, which were T. saginata, were found in Bokeo, Bolikhamxay, Champasak, Houaphan, Khammouane, Luang Namta, Luang Prabang, Oudomxay, Phongsaly, Saysomboune, Saravane, Savannakhet, Xayaboury, Xekong, Xieng Khouang Province, and Vientiane Municipality.

위성영상과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라오스 루앙프라방 지역의 화전지역 분석 (An Analysis of Shifting Cultivation Areas in Luang Prabang Province, Lao PDR, Using Satellite Imagery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 조명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3-53
    • /
    • 1994
  • 삼림을 베어서 태우고 난 직 후의 라오스 북부 화전지역의 MOS-1 위성영상을 처리하여 유역분지 단위로 화전지역의 면적을 산출하였으며, 지형도상에서 얻어낸 하계망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PC Arc - Info의 GIS software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화전의 분포비율이 높은 유역분지에서는 1차수하천의 분기율도 높게 나타남을 알수 있으며, 라오스에 있어서 화전이 지표 의 침식과 토지의 황폐화를 초래하여 여러가지 환경문제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는 것이 규명 되었다.

Genetic Diversity of mtDNA D-loop Polymorphisms in Laotian Native Fowl Populations

  • Kawabe, K.;Worawut, R.;Taura, S.;Shimogiri, T.;Nishida, T.;Okamoto,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1호
    • /
    • pp.19-23
    • /
    • 2014
  • Here, we studied the genetic diversity of native fowls in Laos by analyzing a mitochondrial DNA (mtDNA) sequence polymorphism. A 546-bp fragment of the mtDNA D-loop region was sequenced in 129 chickens from the areas of Vientiane, Luang Prabang and Pakse. In total, 29 haplotypes were identified and formed five clades. Haplotype diversity and nucleotide diversity of the native fowls in Laos were $0.85536{\pm}0.0172$ and $0.010158{\pm}0.005555$, respectively. Although the Laotian native fowls were distributed across five clades, most of them were clustered in two main clades (A and B), which were originated in China. The other haplotypes were contained in clades D, F, and I, which originated from continental southeast Asia. These results suggest that multiple maternal lineages were involved in the origin of domestic chicken in Laos. Moreover, there appear to be at least two maternal lineages, one from China and the other from the southeast Asian continent.

SWAT 모형을 이용한 메콩강 유역 격자형 강수 자료 강우-유출 성능 평가 (Evaluation of rainfall-runoff performance for gridded precipitation datasets in the Mekong River Basin Using SWAT Model)

  • 김영훈;정성호;하진경;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4-194
    • /
    • 2022
  • 정확한 강우-유출 해석은 하천 홍수예경보, 댐 유입량 산정 및 방류량 결정 등 수자원 관리 및 계획수립에 있어 중요하며 밀도높은 관측망(raingauge network)으로 부터 수집된 강우 자료는 강우-유출 해석의 가장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본 연구 대상 지역인 메콩강 유역은 국가공유하천(6개국: 중국, 라오스, 태국,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은 기초 자료 수집이 어렵고, 구축된 자료의 양적, 질적 품질이 국가별로 상이하여 수문해석 결과의 불확실성을 높일 우려가 있다. 최근 원격탐사 기술의 발달로 격자형 글로벌 강수자료의 획득이 용이해졌으며, 이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준 분포모형인 SWAT (Soil &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을 활용하여 격자형 위성 강수 자료(TRMM, GSMaP, PERSIANN-CDR)와 격자형 지점 강수 자료(APHRODITE, GPCC)의 메콩강 유역 강우-유출 모의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였다. 유출량 산정을 위한 관측소로는 Luang Prabang, Pakse, Stung Treng, Prek Kdam 관측소를 선정하였으며 지점강수량 정보가 비교적 충분한 2000-2007년을 대상으로 매개변수 보정(2000-2003) 및 유출모의 검증(2004-2007)을 수행하였다. 격자형 강우를 이용한 유출분석 결과, APHRODITE, GPCC 및 TRMM이 다른 격자형 강수 자료(GSMaP, PERSIANN-CDR)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Prevalence of Helminthic Infections among Inhabitants of Lao PDR

  • Eom, Keeseon S.;Yong, Tai-Soon;Sohn, Woon-Mok;Chai, Jong-Yil;Min, Duk-Young;Rim, Han-Jong;Jeon, Hyeong-Kyu;Banouvong, Virasack;Insisiengmay, Bounnaloth;Phommasack, Bounlay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2권1호
    • /
    • pp.51-56
    • /
    • 2014
  • The prevalence of helminthic infections was surveyed on a total of 6,178 residents (males 2,549 and females 3,629) in 102 villages of 9 provinces in Lao PDR between 2007 and 2011 under the project of Korea-Laos Collaborative Project for Control of Foodborne Trematode Infections in Lao PDR. Fecal specimens were collected and examined by the Kato-Katz thick smear and Stoll's egg counting techniques. The overall liver/intestinal helminth egg positive rate was 71.9% with a single or mixed infections with Opisthorchis viverrini and minute intestinal flukes (Ov/MIF), Ascaris lumbricoides, hookworms, Trichuris trichiura, Trichostrongylus sp., echinostomes, Taenia spp., and others. Ov/MIF revealed the highest prevalence (55.6%) followed by hookworms (27.8%) and T. trichiura (6.5%). The endemic regions with the highest prevalence of Ov/MIF were Savannakhet, Khammouane, Vientiane (Nam Ngum), Champasak (Khong Island), and Saravane Province. High prevalences of A. lumbricoides (33.8%), hookworms (47.8%), and T. trichiura (32.6%) were observed in Phongsaly, Luang Prabang, and Vientiane (Nam Ngum) areas,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 helminth parasites of current public health significance in different areas of Lao PDR.

합성곱신경망을 이용한 보정 위성강수자료 강우-유출 성능 평가 (Assessment of rainfall-runoff performance using corrected satellite precipitation products by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 김영훈;레수안히엔;정성호;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65-65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홍수, 가뭄 등 수재해가 세계 곳곳에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정확한 강우-유출 해석의 중요도는 높아지고 있으며 강우-유출 해석에 따라 수자원 관리 및 계획수립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 대상 지역인 메콩강 유역은 중국과 동남아시아 5개국(라오스, 태국, 미얀마, 베트남, 캄보디아)을 관통하는 국가공유하천으로 기초자료의 획득이 어렵고 국가별로 구축된 자료가 질적, 양적 품질이 상이하여 수문해석에서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기에 불확실성이 있다. 최근 기술의 발달로 글로벌 격자형 강수자료 획득이 용이함에 있어 미계측 대유역에서의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지만, 지점강수자료와 시·공간적 오차로 인한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격자형 강수자료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점 격자형 강수자료(APHRODITE)와 4개의 위성강수자료(CHIRPS, CMORPH, PERSIANN-CDR, TRMM)를 수집하고 합성곱 신경망 모형인 ConvAE 기법을 이용하여 위성강수자료의 시·공간 편의 보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하천 수위에 대한 장기간 정보 수집이 가능한 메콩강 본류 4개 관측소(Luang Prabang, Pakse, Stung Treng, Kratie)를 선정하였으며 SWAT 모형을 이용하여 매개변수 보정(2004~2013)과 격자형 강수자료의 보정 전·후의 유출모의(2014~2015)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격자형 강우를 이용한 보정 및 유출 분석 결과 4개의 위성강수자료 모두 성능이 향상되었으며 그 중 보정된 TRMM이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여 해당 유역에서의 APHRODITE를 대체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ConvAE를 이용한 보정기법과 이를 이용한 강우-유출 해석은 향후 다양한 격자형 강수자료를 활용한 미계측 대유역에서의 수문해석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메콩강 유역의 격자형 강수 자료에 의한 강우-유출 모의 성능 비교·분석 (Comparison of rainfall-runoff performance based on various gridded precipitation datasets in the Mekong River basin)

  • 김영훈;레수안히엔;정성호;연민호;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2호
    • /
    • pp.75-89
    • /
    • 2023
  • 강우-유출 해석은 하천 홍수예경보, 댐 유입량 산정 및 방류량 결정 등 수자원 관리 및 계획수립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며, 밀도높은 강우관측망으로부터 수집된 강우 자료는 정확한 강우-유출 해석을 위한 가장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본 연구 대상 지역인 메콩강 유역은 국가공유하천으로 강수 자료수집이 어렵고, 구축된 자료의 양적, 질적 품질이 국가별로 상이하여 수문해석 결과의 불확실성을 높일 우려가 있다. 최근 원격탐사 기술의 발달로 격자형 글로벌 강수자료의 획득이 용이해졌으며, 이를 활용한 미계측 유역 또는 대유역에서의 다양한 수문해석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대유역 수문해석에 있어 격자형 강수자료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3개의 위성 강수자료(TRMM, GSMaP, PERSIANN-CDR)와 2개의 지점 격자형 강수자료(APHRODITE, GPCC)를 수집하고, APHRODITE를 관측값으로 합성곱 신경망 모형인 ConvA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위성 강수자료의 시·공간적 편의보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메콩강 본류의 주요지점인 Luang Prabang, Pakse, Stung Treng, Kratie 4개 수위 관측소를 선정하여 SWAT 모형의 매개변수를 보정(2004~2011)하고 지점 격자형 강수자료 및 위성 강수자료의 보정전·후의 유출모의(2012~2013)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시위성 강수자료 및 GPCC는 APHPRODITE에 비해 정량적으로 과소 또는 과대추정되거나 공간적으로 매우 상이한 패턴을 나타낸 반면, GSMaP과 ConvAE를 이용하여 보정된 위성 강수자료의 경우, APHPRODITE에 대한 시·공간적 상관성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유출모의의 경우, 모든 지점에 대해서 ConvAE로 보정된 위성 강수자료를 이용한 유출모의 결과가 원시 위성강수자료를 이용한 유출결과 보다 정확도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격자형 위성 강수자료 보정기법과 연계한 강우-유출 해석은 향후 다양한 위성 강수자료를 활용한 미계측 대유역 수문해석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