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sodium

검색결과 1,343건 처리시간 0.032초

자기치유 물질을 이용한 그라우팅공법의 현장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field applicability for grouting method using self-healing grout material)

  • 최용성;김병일;유완규;이재덕;최용기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22권5호
    • /
    • pp.485-500
    • /
    • 2020
  • 소규모 설비, 시공 용이성 등 다양한 장점으로 인하여 국내의 건설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그라우팅 관련 기술은 과거에 비해서 비약적으로 발전되었지만 품질의 균질성, 장기 내구성 및 환경공해 등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노력은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물유리계 그라우팅 재료가 갖는 낮은 강도와 내구성, 용탈현상 발생 등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자기치유 물질을 이용한 그라우팅공법이 개발되었다. 자기치유 물질을 이용한 그라우팅공법은 주입재가 지반 내 물과 반응하여 생성한 결정 성장형 자기치유 물질에 의해서 주입재와 지반이 일체화되기 때문에 지반의 내구성 및 차수성 향상, 용탈방지 및 친환경성 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널 및 주변지반을 대상으로 자기치유 물질을 이용한 그라우팅공법의 예비시험 및 현장적용(표준관입시험, 현장투수시험, 공내 전단시험, 공내재하시험, 지시약반응시험 등)을 실시하였고 시공 전·후에 대한 실규모 시공조건에서의 주입범위, 차수 및 지반개량 효과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예비시험 및 현장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치유 물질을 이용한 그라우팅공법의 현장적용성 및 개량효과는 양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Butyrate and taurine exert a mitigating effect on the inflamed distal intestine of European sea bass fed with a high percentage of soybean meal

  • Rimoldi, Simona;Finzi, Giovanna;Ceccotti, Chiara;Girardello, Rossana;Grimaldi, Annalisa;Ascione, Chiara;Terova, Genciana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9권10호
    • /
    • pp.40.1-40.14
    • /
    • 2016
  • Background: Due to the paucity of oceanic resources utilized in the preparation of diets for cultured fish, commercial feed producers have been trying to replace fishmeal (FM) using alternative protein sources such as vegetable protein meals (VMs). One of the main drawbacks of using VMs in fish feed is related to the presence of a variety of anti-nutritional factors, which could trigger an inflammation process in the distal intestine. This reduces the capacity of the enterocytes to absorb nutrients leading to reduced fish growth performances. Methods: We evaluated the mitigating effects of butyrate and taurine used as feed additives on the morphological abnormalities caused by a soybean meal (SBM)-based diet in the distal intestine of sea bass (Dicentrarchus labrax). We used three experimental diets, containing the same low percentage of FM and high percentage of SBM; two diets were supplemented with either 0.2% sodium butyrate or taurin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intestine of fish were determined by light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Infiltration of $CD45^+$ leucocytes in the lamina propria and in the submucosa was assessed by immunohistochemistry. We also quantified by One-Step Taqman$^{(R)}$ real-time RT-PCR the messenger RNA (mRNA) abundance of a panel of genes involved in the intestinal mucosa inflammatory response such as $TNF{\alpha}$ (tumor necrosis factor alpha) and interleukins: IL-8, IL-$1{\beta}$, IL-10, and IL-6. Results: Fish that received for 2 months the diet with 30% soy protein (16.7% SBM and 12.8% full-fat soy) developed an inflammation in the distal intestine, as confirmed by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stry data. The expression of target genes in the intestine was deeply influenced by the type of fish diet. Fish fed with taurine-supplemented diet displayed the lowest number of mRNA copies of IL-$1{\beta}$, IL-8, and IL-10 genes in comparison to fish fed with control or butyrate-supplemented diets. Dietary butyrate caused an upregulation of the $TNF{\alpha}$ gene transcription. Among the quantified interleukins, IL-6 was the only one to be not influenced by the diet. Conclusions: Histological and gene expression data suggest that butyrate and taurine could have a role in normalizing the intestinal abnormalities caused by the SBM, but the underling mechanisms of action seem different.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의 공생활성에 미치는 해안 간척지 토양환경의 영향 (Effects of Soil Environment on Symbiotic Activit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 in the Coastal Reclaimed Lands)

  • 고성덕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4호통권87호
    • /
    • pp.562-573
    • /
    • 1998
  • 간척연도가 다른 두 간척지의 고등식물의 근권에 존재하는 arbuscular mycorrhizal fungi(AMF)의 포자밀도, 공생강도와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 및 AMF포자의 수직분포 등을 조사하여 토양특성에 따른 AMF의 공생생활성의 반응, 식물의 인 흡수에 미치는 AMF의 영향 등을 규명하였다. 간척지에서 AMF 포자의 수직분포는 포자가 표토로부터 20cm 깊이 이내에 분포하는데 그 원인은 뿌리의 수직분포, 지하수위 및 토양의 통기(aeration)와 관계가 있을 것이다. 토양 특성의 수직분포 중에서 토심이 깊어짐에 따라 증가되는 토양요인을 W.C., A-P 및 K이었고, 감소하는 요인은 O.M, Ca 및 Zn이었다. AMF의 공생생활성인 포자밀도와 공생강도는 토양의 pH, O.M., T-N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고 W.C., A-P, Na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두 반응 패턴이 나타났다. 간척지 식물의 인 흡수는 AMF의 공생활성이 커짐에 따라 증가되고, AMF의 공생활성은 토양의 인 함량이 적음에 따라 커짐으로써 식물은 AMF의 공생활성에 의하여 인 함량이 적은 토양에서 많은 양의 인을 흡수하였다.

  • PDF

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에너지와 영양소 섭취 실태 및 식품선호도 조사 (Study on Energy and Nutrient Intake and Food Preference of the Elderly in Care Facilities)

  • 권종숙;이승희;이강민;이윤나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0-217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energy and nutritional intake and investigate the preference for food and cooking methods of the residents in elderly care faciliti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72 residents (10 males and 62 females) aged ${\geq}70$ years in elderly care facilities using questionnaires, food photographs for estimating dietary intake and records for daily physical activity. Results: Average age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85.0 years and 41, 36 and 8 had dementia, hypertension and diabetes mellitus, respectively. 15%, 65% and 19% of subjects were physically mobile, enervated, and immobile, respectively. Daily energy intake was 1360.2 kcal in men and 1378.0 kcal in women, which were 68.0% and 86.1% of the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of dietary reference intake for Koreans (KDRI) for ${\geq}75$ year old individuals, respectively. Estimated energy expenditure (EEE) of subjects calculated using formula from KDRI was 1361.9 kcal and EER calculated using estimated daily physical activity (EDPA) was 1232.9 kcal. Energy intake and EEE from KDRI were higher than EER from EDPA. Dietary intake of dietary fiber, calcium, potassium, zinc, vitamin $B_2$, niacin, vitamin C were lower, and protein, phosphorous, iron, sodium, vitamin A, vitamin $B_1$, vitamin $B_6$, vitamin E were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ones of KDRI. Subjects liked meats, fishes and shellfish, and fruits, while subjects disliked milk, seaweeds and salted fish and salted vegetables. Cooked rice, soybean paste soup, beef, cooked sliced radish strip, and yogurt were favorite foods, with steam being a favorite cooking method. Subjects considered nutri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improving food service quality.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utilized for improving food-service for the residents in elderly care facilities, and provide a basis for setting reference intake of energy and nutrients of the elderly having very low activity levels.

게 가공폐기물을 이용한 식품보존료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Development of Food Preservative with the Waste of Crab Processing)

  • 장동석;조학내;구효영;최위경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0-78
    • /
    • 1989
  • 게 껍질 속에 함유된 chitin으로 부터 높은 항균력을 나타내는 chitosan의 제조 방법과 특성을 구명하였으며, 이 chitosan을 이용하여 식품의 변질에 관련된 미생물을 중심으로 항균력을 조사하여 천연 식품 보존료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1. 상법에 따라 조제한 분자량 2,800,000의 고분자 chitosan은 2,000ppm의 농도로 대장균의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는 등, 항균력을 보유하고 있기는 하였으나 미약하였다. 2. Deacetylation 처리 시 $50\%$ 수산화나트륨 용액에서 8시간 boiling시켜 얻은 분자량 35,000의 저분자 chitosan은 75ppm으로 대장균의 중식을 억제시킬 수 있어서 고분자 chitosan에 비해 20배 가량 항균력이 증대되었다. 3. 세균에 대한 chitosan의 항균력에 있어서 Bacillus sp. 나 구균류 등의 Gram 양성균은 50ppm 첨가로 균의 증식이 억제되었으나, Gram 음성균에 대해서는 균종에 따라 차이가 커 Pseudomonas sp. 와 Vibrio sp. 는 100ppm으로, Salmonella는 2,000ppm으로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었다. 4. 진균류에 있어서 Saccharomyces sp.는 100ppm으로 억제되었으나, Hansenula sp.는 5,000ppm에서도 증식이 일어나 효모류는 균종간에 차이가 켰으며, 곰팡이류에 대해서는 별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숙성시킨 물김치에 chitosan을 첨가하여 저장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었는데, chitosan $0.2\%$ 첨가후 $5^{\circ}C$에 저장함으로서 무첨가구에 비해 10일 가량 품질을 안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이 chitosan은 천연 식품 보존료로 이용 가능하다고 하겠다.

  • PDF

섬진강 주변 지하수의 수질 및 오염특성: 오염원 및 유해성 평가 (Groundwater Quality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at Seomjin River Basin: Pollution Source and Risk Assessment)

  • 나춘기;손창인
    • 자원환경지질
    • /
    • 제38권3호
    • /
    • pp.261-272
    • /
    • 2005
  • 섬진강 유역 지하수는 주로 높은 EC의 Na-Cl형과 낮은 EC의 $Na-HCO_3^-$형으로 분리되며, $K^+,\;Mg^{2+},\; NO_3^-$$SO_4\;^{2-}$성분이 부화된 특성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지하수의 EC가 증가할수록 TDS에서 차지하는 $Na^++Cl^-$의 당량분율은 증가한다. 용존이온들간 상관유형으로부터 $N^+$$Cl^-$은 주의 침투된 해수에서 유래되며, $K^+,\;Mg^{2+}$$SO_4\;^{2-}$은 화학비료와 같은 인위오염원에서 주로 유래됨을 알 수 있다. 농업용수 수질기준과 비교하여 그 기준을 초과하는 지하수는 해수침입을 반영하는 $Cl^-$ 경우 조사대상 관정의 $23\%$인 반면 인위적 오염원을 대표하는 $NO_3^-$ 경우 전체의 $50\%$에 달한다. EC-SAR관계를 바탕으로 한 지하수의 유해성 평가에서 조사대상 지하수의 $40\%$만이 농업용수로서 소다질화와 염류화를 초래할 가능성이 없는 적정한 수질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섬진강 유역 지하수의 수질저하를 초래한 오염원은 화학비료의 사용과 해수침입이다. 또한 모든 견과들은 화학비료의 사용이 연구지역의 지하수 오염에 가장 폭넓게 영향을 미치며, 일부 특정지역에서는 강쪽으로의 해수역류 확대라는 일차적 요인과 지하수의 과다양수라는 이차적 요인에 의해 섬진강으로부터 해수가 대수층으로 침투되어 더욱 지하수질이 악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수면부상성 점보입제의 수면부상성 및 경시분해 안정성 개선 (Improvement of floating ability and storage stability for jumbo granules)

  • 김승호;안병우;정봉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2-39
    • /
    • 1998
  • 노력절감형 생력화제형인 수면부상성 점보형입제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대상 제초제인 sulfonyl urea의 경시분해 안정성 해결이 필수적이므로, 본 연구는 azimsulfuron+molinate (0.075+7.5%)를 대상약제로 선정하여 우수한 수면부상성과 주성분인 azimsulfuron의 경시분해 안정성 확립 및 이에 따른 제조공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용제로는 paraffin oil이 선정되었고, 증량제로는 수면부상성에 더 효과적인 KCl이 선정되었으며, 이를 적용시켜 제제된 제품은 25분 안에 입자들의 100%가 부상하고 확산하는 우수한 수면부상성 및 확산성을 나타내었다. 주성분의 경시분해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수행한 실험의 결과는 증량제, 계면활성제, pH의 변화에 따른 유의성 있는 개선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NaOH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azimsulfuron의 염형성을 변화시킬 경우 NaOH 1.15M 조합에 다소 개선된 결과를 보였지만 충분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조공정을 변형시켜 실험한 결과 azimsulfuron을 white carbon에 액상인 sodium dialkyl sulfosuccinate로 흡착시킨뒤 분쇄하여 별도의 분상부분을 만들고 KCl, N-methyl acrylate, xanthan gum을 혼합시켜 고상 혼합부분과 재혼합한 후 반죽${\rightarrow}$조립${\rightarrow}$건조${\rightarrow}$액상부 살포 등의 방법으로 제제하였을 때, $40^{\circ}C$ 경시안정성 실험 결과 2주, 6주, 12주 후의 주성분 분해율이 1.2, 2.1, 7.2%로서 안정성이 뛰어난 제조 공정법을 확립할 수 있었다.

  • PDF

외대잔대(Adenophora racemosa J.Lee & S.Lee) 개체군의 classification과 ordination 분석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of Adenophora racemosa Population)

  • 지윤의;문병철;이아영;윤태숙;송호경;추병길;김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86-98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vegetation structure and soil properties of Adenophora racemosa population distributed in Jeombongsan, Seoraksan, Odaesan and Dutasan in Gangwon-do, Korea. From August 2007 until September 2009, $2m{\times}2m$ quadrate was established in native area of Adenophora racemosa in order to record a dominants and coverage, and soil factors at 22 sites. It was found that the altitude in the distributed areas for Angelica gigas population was 800 m or more. Adenophora racemosa population was classified into Rhododendron mucronulatum dominant population, Geranium var. hirsutum dominant population, Caret siderosticta dominant population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dominant population. In the site of study, soil pH, electrical conductivity, soil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rous, and exchangeable potassium, exchangeable calcium, exchangeable magnesium, exchangeable sodium concentration and total nitrogen were ranged from 5.0~7.1, 0.06~0.65dS/m, 0.96~8.94%, 12.3~32.8mg/kg, 0.12~0.89cmol+/kg, 0.34~10.08cmol+/kg, 0.1~l.4cmol+/kg, 0.02~0.29cmol+/kg and 0~8.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DCCA, Adenophora racemosa population were distributed in the high available phosphorous and exchangeable potassium,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dominant population was situated on low available potassium and high slope degree, Geranium var. hirsutum dominant population was high altitud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change magnesium, and Carex siderosticta dominant population and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were distributed on high total nitrogen, organic matter, available phosphorous.

저농도 혈중연과 혈장레닌활성도 및 혈압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of Lew-Level Blood Lead to Plasma Renin Activity and Blood Pressure)

  • 박순우;김두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4권4호
    • /
    • pp.516-530
    • /
    • 1991
  • 일상생활을 통한 연섭취로 인한 고혈압 발생 가능성 및 이때 연이 혈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전을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환자 대조군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상자로서 울산 및 그 인근지역의 직업적 연폭로 과거력이 없는 남자 근로자 중 고혈압 환자 72명, 대조군 69명을 선택하였다. 혈중 연과 혈장레닌활성도(Plasma renin activity, PRA)를 측정하였으며 동시에 흡연유무, 음주유무, 고혈압 가족력 유무를 확인하고 body mass index(BMI), 혈청 소디움, 포타시움, 이온화 칼슘, 크레아티닌 및 총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고혈압군의 혈중 연농도는 $19.8{\pm}5.5{\mu}g/dl$로서 대조군의 $12.5{\pm}4.7{\mu}g/dl$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1) 또한 혈중 연의 고혈압발생에 대한 교차비(odds ratio)가 1.38로서 역시 유의하였다(p<0.01). PRA나 In(PRA)가 고혈압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고혈압군에서 혈중 연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PRA도 어느정도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p<0.1), In(PHA)를 종속변수로 하는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혈중 연농도(회귀계수 ; 0.037)가 10%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볼 때, 지금까지 알려진 정상치 범위 이내의 혈중 연과 고혈압 발생간의 인과 관계에 대해 계속 연구해 볼 필요성을 느끼며 이때 PRA의 변화가 작용 기전의 일부에 관여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 PDF

식물공장 시스템에서 재배한 브로콜리 새싹의 건조방법에 따른 이화학 및 항산화 특성 연구 (Physic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roccoli Sprouts Cultivated in the Plant Factory System)

  • 김은지;김태수;김미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7-69
    • /
    • 2013
  • Recently, an interest in functional foods has been increasing. It was recommended placing a short definition. Therefore, we performed research on the chemical functions and antioxidant ability of broccoli. This research is vital for preparing the most favorable conditions and environment for highly-functional broccoli. Broccoli produced after applying sprouting and light sources were used for research.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broccoli, including composition, free sugar, citric acid, mineral and vitamin (A, C, E) content, were analyzed. In addition, the ability of broccoli compounds to reduce total phenolic compounds, SOD-liked activity, EDA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hydroxyl radicals were inspected. Total analysis relied on the SAS (statistical analysis system). Broccoli sprouts produced through plant factory system's photosynthesis, treated under different light sources, had superior amounts of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compared to normal sprouts under fluorescent light. Is it a facility or does it refer to the inner metabolism of the cell? Broccoli sprouts under red light had superior amounts of glucose, fructose, malic acid, and oxalic acid, while broccoli sprouts under turquoise light had superior amounts of citric acid. Broccoli sprouts under white light had superior amounts of various minerals, such as potassium, magnesium, and sodium. In terms of antioxidant activity, data from the plant factory system shows an increase in EDA antioxidants (1.63 mg/mL, 30.82%). Sprouts applied with turquoise light had superior amounts of hydroxyl radical scavenging (65.62%), and sprouts applied with white light had superior amounts of activated SOD-like activity (52.69%). Research on dehydrated broccoli sprouts showed that sprouts dehydrated with cold air had superior amount of malic, citric, oxalic acid compared to sprouts dehydrated with hot air. In terms of vitamin levels, sprouts dehydrated with cold air had five times the normal amount of vitamin A and E, whereas sprouts dehydrated with hot air had higher amounts of vitamin C. Dehydration at low temperature also produced a higher amount of activated antioxidants (1.6 mg/mL of activated antioxidant ability, 63.04% of SOD-like activity, and 67.76% of hydroxyl radical scavenging). Our results show that antioxidant ability can vary by the type of photosynthesis and temperature level in which the sprouts are dehydrated. Therefore, thorough foundational data is required to product the most functional broccol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