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molecular weight organic acid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7초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Acids in Brassica pekinensis Rupr. and Growing soil Influenced by Simulated Nitrate Deposition

  • Xie, Wen-Ming;Liu, Xing-Quan;Ko, Kwang-Yong;Lee, Kyu-Se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9-284
    • /
    • 2008
  • We investigated whether carboxylate exudation of Brassica pekinensis Rupr. was affected by nitrate deposition from simulated acid rain. A gas chromatographic (GC) analysis was employed for the determin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acids (LOA) in rhizosphere soils, bulk soil, roots and leaves of Brassica pekinensis Rupr.. Rhizosphere soils were collected after 8 weeks of plant growth by first removing the bulk soil from the root system and then by mechanical move off the rhizosphere soil that adhered to the root surface with soft brush. Soil and plant materials were simultaneously extracted with the mixture of methanol and sulfuric acid (100:7, v/v). Seven organic acids, oxalic, malonic, fumaric, succinic, maleic, L-malic and citric acid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by GC equipped with FID. Oxalic, L-malic, and citric acids were found in both the bulk and rhizosphere soils, while most LOAs were not detected in the control treatment. On the contrary, except maleic acid, all other organic acids were detected in the leaves and roots of cabbages treated with nitrate deposition.

고간류(藁稈類)의 부숙과정중(腐熟過程中) 가수분해물중(加水分解物中)의 유기산(有機酸) 함량(含量) 변화(變化) (Changes in the Contents of Some Organic Acids in The Hydrolysates of Decomposing Straws of Rice, Barley, Wheat and Rye)

  • 김정제;김강순;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2-305
    • /
    • 1991
  • 저분자량(低分子量)을 가진 6개(個)의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하기 위하여 볏짚, 보릿짚, 밀짚과 호밀짚을 부숙(腐熟)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가수분해(加水分解)시킨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저분자량(低分子量)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은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변화(變化)한다. 2. Formic acid와 Acetic acid가 전시료중(全試料中)에서 가장 많은 량(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3. Malic acid는 볏짚과 보리짚에서 극(極)히 미량(微量)으로 검출(檢出)되었다. 4. Monocarboxylic acid의 molarity가 Dicarboxylic과 Tricarboxylic acid의 molarity를 합(合)한 것보다 훨씬 많았다.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이런 경향이 더욱 뚜렷하였다 5. Formic acid와 Acetic acid는 서로 보상관계가 있었으며 토양(土壤)에 잔유하는 기간도 상당히 오래일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호소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정수장의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 및 제어 방안 (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Disinfection Byproducts in a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Using Lake Water)

  • 이기창;제갈봉창;최일환;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69-276
    • /
    • 2015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지역에서 호소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한 정수장의 원수 및 공정별 처리수의 자연유기물질(NOM) 및 소독부산물(DBPs) 생성특성을 조사하고 정수공정내 DBPs 제어방안을 제시하였다.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FEEM) 분석결과 원수의 NOM은 토양과 미생물의 복합기원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NOM의 분자량크기 및 분획제거 특성은 liquid chromatography-organic carbon detector (LC-OC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체로 휴믹물질과 저분자량 유기물질 분획이 많았고, 고분자량물질은 저분자량물질보다 응집 침전공정에서 제거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염소주입 후 정수공정별로 진행될수록 반응시간이 길어져 DBPs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생성된 DBPs는 일반적인 정수처리로 제거되지 않았다. THMs은 chloroform이 74%로 주종을 이루었으며 bromodichloromethane (22%)와 dibromochloromethane (4%)도 발생했다. HAAs는 dichloroacetic acid (50%)와 trichloroacetic acid (48%)가 주종을 이루었고 dibromoacetic acid (2%) 등 브롬계열은 농도가 낮거나 발생되지 않았다. HANs은 dichloroacetonitrile (60%), bromochloroacetonitrile (30%), dibromoacetonitrile (10%)이 발생되었다. 실험기간 동안 해당 정수장에서 DBPs 발생은 용존유기물농도와 수온보다 전염소주입농도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염소주입농도의 조절로 DBPs 생성농도를 이전에 비해 16~44% 감소시킬 수 있었다.

Characteriz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Polyphenols from Pine (Pinus radiata) Bark

  • Mun, Sung-Phil;Ku, Chang-Sub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424-430
    • /
    • 2006
  • Low molecular weight polyphenols were isolated from hot water extracts of radiata pine (Pinus radiata) bark using a Sephadex LH-20 column and characterized by $^1H$ and $^{13}C$ NMR, UV, FT-IR, and GC-MS analyses. Major compounds isolated and identified were protocatechuic acid, trans-taxifolin, and quercetin. Trans-taxifolin, an important intermediate in biosynthetic route of proanthocyanidin (PA), was isolated in large quantities and indicates that PA is a major component of radiata pine bark. Small amounts of polyphenols were identified by GC-MS analysis. The presence of p-hydr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protocatechuic acid, cis- and trans-feruic acid, p-coumaric acid, trans-caffeic acid, (-)-epicatechin, (+)-catechin, trans- and cis-taxifolin, (+)-gallocatechin, and quercetin was confirmed by comparison of mass fragmentation patterns and retention times (RT) with authentic samples. In addition, the presence of astringenin, astringenin glycoside, trans- and cis-leucodelphinidin was strongly assumed from characteristic mass fragment ions due to their conjugated structure and retro Diels-Alder reaction, and also from biosynthetic route of PA. GC-MS analysis allowed us to detect small amounts of phenolic acids and flavonoids and eventually discriminate trans- and cis-configuration in the identified polyphenols.

Ion chromatography에 의(依)한 나뭇잎의 저분자량(低分子量) 유기산(有機酸) 분석(分析) (Determin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Acids in Pacific Silver Fir Leachates by Using Ion Chromatography)

  • 최인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3호
    • /
    • pp.22-29
    • /
    • 1993
  • 나뭇잎으로부터 발생되는 저분자량 유기산을 이온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방법은 자연상태의 나뭇잎 (needle litter)을 유기용매의 추출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어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온 크로마토그래피의 사용방법과 침엽수잎(Pacific Silver Fir)의 부후정도에 따른 유기산의 종류와 농도의 변이를 간략하게 소개한다. 초기의 침엽수잎 여과액으로부터는 $C_2$에서 $C_4$까지의 아세트산(acetic acid),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옥살산(oxalic acid) 그리고 포름산(formic acid) 등이 주종을 이루지만 부후정도가 커짐에 따라 방향핵을 가진 방향핵 유기산(aromatic organic acid)이 발생한다.

  • PDF

유기성 폐기물의 고온고압수 반응에 의한 카르복시산 생성 (Carboxylic Acids Produced from Hydrothermal Treatment of Organic Wastes)

  • 강길윤;오창섭;김용하
    • 에너지공학
    • /
    • 제13권3호
    • /
    • pp.228-233
    • /
    • 2004
  • 본 논문은 다양한 종류의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하여 고온고압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저분자 카르복시산의 거동에 관해 고찰하였으며 산화제 첨가에 대한 영향도 동시에 검토를 행하였다. 그 결과 acetic, formic, succinic 및 lactic acid와 같은 유기산이 주된 생성물임을 알 수 있었다. 생선내장의 경우 35$0^{\circ}C$(P=16 MPa)의 조건에서 acetic acid비 수율은 26mg/g-dry를 얻을 수 있었으며 산화제로서 $H_2O$$_2$를 첨가했을 경우 42mg/g-dry로 수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글루코오스를 이용한 실험결과에서는 약 29mg/g-dry의 acetic acid를 얻을 수 있었다. 유기산 생성에 관한 온도 의존성을 검토한 결과, acetic acid는 열적 안정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formic acid는 상대적으로 쉽게 분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산화제를 첨가 할 경우, acetic acid와 같은 유기산의 생성을 촉진 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부숙과정중(腐熟過程中) 낙엽류(落葉類)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의 유기산함량(有機酸含量) 변화(變化) (Changes of Some Organic Acids in the Hydrolysates of Decomposing Litters of Wild Grasses and Tree Leaves)

  • 김정제;최강순;신영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07-410
    • /
    • 1992
  • 산야초(山野草), 활엽수(闊葉樹)와 침엽수낙엽(針葉樹落葉)을 실험실조건하(實驗室條件下)에서 90일간(日間) 부숙(腐熟)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산가수분해(酸加水分解)시킨후 6개(個)의 저분자량(低分子量)의 유기산(有機酸)을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Formic, acetic, succinic, malic, tartaric와 citric acid가 검출(檢出)되었으며 이중(中) malic acid는 전시료중(全試料中)에서 극(極)히 미량(微量)으로 함유(含有)되어 있었다. 2. 산야초(山野草)의 경우 저분자량(低分子量) 유기산(有機酸)의 농도(濃度)는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감소(減少)했으며 formic acid와 acetic acid등(等) monocarboxylic acid는 dicarboxylic acid와 tricarboxylic acid에 비(比)해 훨씬 높은 농도(濃度)를 보였고 formic acid와 acetic acid는 상호보충(相互補充) 관계(關係)가 있었다. Citric acid는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하였다. 3. 활엽수낙엽(闊葉樹落葉)의 경우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monocarboxylic acid농도(濃度)가 상대적(相對的)으로 높았다. Formic acid와 acetic acid사이는 상호보충(相互補充) 관계(關係)가 있음이 구명(究明)되었다. 4. 침엽수낙엽(針葉樹落葉)의 경우 부숙기간(腐熟期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유기함유량(有機含有量)의 변화(變化)가 별(別)로 나타나지 않았다. 산야초(山野草)와 활엽수낙엽(闊葉樹落葉)과는 대조적(對照的)으로 dicarboxylic acid인 succinic acid농도(濃度)가 가장 높았다.

  • PDF

Influence of light Regime on Nitrate Reductase Activity and Organic and norganic Solute Composition of Four Sedges (Carex spp.)

  • Choo, Yeon-Sik;Roland-Albert;Song, Seung-Dal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455-462
    • /
    • 1998
  •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norganic and organic solute patterns of plants in connection with nitrate metabolism according to different light regimes (1.9, 16.0, 91.5 $Wm^{-2}$). Besides measuring in vivo NRA, we also quantitatively analyzed ater-soluble inorganic ions, organic acids, low molecular weight carbohydrates, amino aciss and total N (% DW). Among 4 Carex species, C. pilosa is known as shade-adapted species and the others as half (C. gracilis) to full (C. rostrata & C. distans) light-adapted species. Compared to species adapted to high light intensity, shade-adapted C. pilosa showed reduced productivity under the highest light intensity. In general, nitrate and amino acid levels decreased at higher light intensity, while sugar and organic acid concentrations increased. In C. pilosa osmolality tended to rise with increasing light intensity, while in the other species it tended to fall. Under low light intensity, the drop in soluble carbohydrate contents is osmotically compensated for by an enhanced nitrate concentration. It is concluded that competition between nitrate and $CO_2$reduction for reductants and ATP from photosynthesis may have important ecological consequences for the adaptation of plants to low or high light conditions. Additionally, the patterns of ionic changes due to increased light intensities were essentially the same in all selected species, indicating similar characteristics of heir mineral ion and organic acid metabolism as well as in field-grown Carex species.

  • PDF

저분자량 유기산 세척을 이용한 오염토양으로부터의 Cu제거에 관한 연구 (Remediation of Copper-Contaminated Soil using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Acid Flushing Technique)

  • 이기철;강순기;공성호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0-36
    • /
    • 1998
  • 저분자량 유기산을 이용한 in-situ flushing 토양세척기법의 실제 현장 적용성 검토를 위해 실험실에서 회분식 실험을 통하여 적당한 세척제를 선정하고 이에 따른 여러 가지 운전변수를 찾아보았다. 대상 중금속으로는 Cu를 택했고, 세척제로는 실제 토양환경에 영향이 비교적 적은 저분자량 유기산인 acetic, citric, oxalic, succinic acid를 이용했다. 유기산을 이용하여 처리한 결과 실험에 사용된 유기산들 모두 1 mM의 저농도에서는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고 50 mM 이상의 고농도에서 보다 좋은 제거율을 보였는데, 50 mM과 100mM의 경우 제거율이 큰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citric arid와 oxalic acid의 경우 중성 및 약산성 상태에서 최대의 제거율이 나타났고 특히 citric arid의 경우 87.1%의 높은 제거율을 보였다. 유기산이 없을때는 강산성 상태에서 Cu의 최고제거율이 70% 정도였다. 그러나 각 경우에서의 speciation을 살펴보면 유기산이 없을 경우에는 추출된 Cu의 대부분이 유해한 free ion상태로 존재하게 되고 유기산이 있을 경우에는 추출된 Cu의 대부분이 유기산과 complex를 이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저분자 유기산을 이용한 폐금속광산 주변토양 정화 (Remediation of Soil Surrounding Abandoned Metal Mine By Using Low Molecular Weight Organic Acid)

  • 이동호;박옥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8년도 공동 심포지엄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183-188
    • /
    • 1998
  • The efficiency of removing cadmium, copper, and lead from a contaminated soil of abandoned metal mine was studied in a laboratory investigation where citric acid were used to extract the metal from the soil. The contamination level of Pb, Cu in the soil A were 875.5, 667.5mg/kg respectively. The mobility and bioavailability of the metals in soil were also estimated by Sequential Chemical Extractions. Citric acid were examined for its potential extractive capabilities. Concentrations of the acid examined in this study ranged from 0.025 to 0.15M. The pH of the suspensions and S/S ratio in which the extractions were performed ranged from 2.4 to 8.1, and from 2.1:1 to 20:1. Results showed that the removal of contaminant using citric acid was pH and S/S raton depend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