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birth weight premature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6초

저농도 산소의 사용기간에 따른 미숙아 망막병증의 진행과 예후에 관한 연구 (The outcomes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 relation to duration of low dose oxygen therapy)

  • 이필상;최재원;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1호
    • /
    • pp.50-55
    • /
    • 2009
  • 목 적 : 최근 신생아 집중치료의 발전으로 미숙아의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미숙아 망막병증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재태 연령 및 출생체중과 미숙한 망막이 중요한 위험인자이지만, 이 외에 무호흡, 패혈증, 인공호흡기의 사용, 장기간의 산소사용 역시 유의한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만성 폐질환 환아에서 nasal cannula를 통한 저농도 산소($FiO_2$ 25% 미만)의 사용 기간이 미숙아 망막병증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미숙아 망막병증의 예방 및 진행의 완화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1년 2월 1일부터 2006년 1월 31일까지 본원 출생아중 재태 연령 37주 미만이면서 출생체중 1,750 g 미만의 생존한 미숙아들로, 안저 검사를 받고 최소 6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273명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기초로 후향적 분석을 통해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위험인자들을 검토하고, 저농도 산소의 사용 기간이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생과 임상경과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만성 폐질환은 생후 28일 혹은 재태주령 36주가 되는 시점에 산소 의존도가 있었던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과 :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짧은 재태연령과 적은 출생체중이었고, 기타 무호흡, 표면활성제의 사용, 인공호흡기,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뇌실내 출혈 등의 순으로 상대적 위험도가 높았다. 저농도 산소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생률은 높아지고,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병 시기는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수술적 치료를 받은 환아들에서 일단 미숙아 망막병증이 발병한 후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정도의 심각한 미숙아 망막병증으로 진행하는 기간 간격은 짧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만성 폐질환 환아군에서 산소를 투여하고 있는 기간 중보다는 산소를 중단한 이후에 미숙아 망막병증이 급격하게 진행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심각한 미숙아 망막병증의 발병 및 급속한 진행을 예방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저농도 산소라도 사용기간을 줄이고, 산소 사용 중단 이후에는 좀 더 적극적인 추적 안저 검사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태변성 장 폐쇄의 임상적 특성 및 치료 (Meconium Obstruction in Neonates-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 장은영;이미정;김명준;신재호;장해경;한석주;오정탁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7권1호
    • /
    • pp.15-22
    • /
    • 2011
  • Meconium obstruction (MO) in neonates arises from highly viscid meconium and the poor motility of the premature gut. Recently the incidence of the MO in neonates has been Increasing, but,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is disease have not yet been clarified. Between March 2004 and April 2010, 24 neonates were treated for MO at Severance Children's Hospital.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Twenty neonates were diagnosed with MO and 4 neonates were diagnosed with Hirschsprung's disease (HD). The mean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of the 20 neonates with MO were $1.45{\pm}0.90kg$ and $31.1{\pm}4.6$ weeks, respectively. Thirteen neonates (65 %) diagnosed with MO weighed less than 1.5 kg and 10 neonates (50 %) weighed less than 1 kg. Half of the neonates with MO were treated by non-operative methods and the other half were treated by operative methods. Compared with the group that weighed over 1.5 kg, the group that weighed less than 1.5 kg were more frequently operated upon (61.5% vs. 28.5%), and contrast enemas were performed later and more frequently. Also the group that weighed less than 1.5 kg had a higher mortality rate (15.4% vs. 0%). Three of the four neonates with HD were diagnosed with long-segment aganglionosis. In conclusion, MO occurred in very low birth weight neonates more often and must be differentiated from HD. Also, MO in very low birth weight neonates should be treated with special attention due to more a complicated clinical course.

  • PDF

초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출생체중별 발관시기 및 첫 발관 시의 성공/실패 예측인자 (Extubation Time by Birth Weight and the Predictors for Success/Failure at the First Extubation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최창원;박성은;전가원;유은정;황종희;장윤실;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5호
    • /
    • pp.488-494
    • /
    • 2005
  • 목 적 : 본 연구는 초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 출생체중에 따른 발관 양상을 알아보고 첫 발관에서의 성공/실패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6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던 113명의 출생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저출생체중아들을 대상으로, 첫 발관 성공군과 실패군 간에 첫 발관 성공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인자들의 차이를 비교하여 보았다. 결 과 : 출생체중이 작아질수록 발관 성공일은 유의하게 지연되었다 : 900-999 g에서 $16{\pm}3$일; 800-899 g에서 $20{\pm}3$일; 700-799 g에서 $35{\pm}4$일; 600-699 g에서 $37{\pm}9$일; 599 g 이하에서 $49{\pm}12$일. 113명의 대상환아들 중 25명(22%)이 첫 발관에 실패하였다. 경계역의 유의성으로 조기양막파수는 발관 성공과 관련이 있었고, 공기 누출 증후군은 발관 실패와 관련이 있었다. 첫 발관 시도 시의 출생 후 나이, 교정연령, 체중, 영양상태와 인공환기기 설정은 발관 성공/실패 여부와 관련이 없었다. 첫 발관에 실패한 환아들은 첫 발관에 성공한 환아들에 비해 발관 성공일이 유의하게 지연되었고, 후발 패혈증의 빈도와 사망률도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저자들은 첫 발관 성공/실패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지 못하였다. 첫 발관에 실패한 경우에는 후발 패혈증과 사망의 위험이 증가하였다. 향후 발관 성공/실패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들을 찾아내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인공호흡기 치료와 관련된 폐간질기종 발생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risk factors for pulmonary interstitial emphysema related to mechanical ventilator care)

  • 김상엽;이필상;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1호
    • /
    • pp.1179-1184
    • /
    • 2008
  • 목 적: 폐간질기종은 인공호흡기치료를 받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낮은 재태 연령, 인공호흡기사용에 있어서의 높은 최대흡기압력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다. 이에 저자들은 자궁내 염증반응을 포함한 폐간질기종에 대한 여러 위험인자들을 알아보고 폐간질기종을 줄일 수 있는 기본 여건 마련과 향후 인공호흡기 치료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0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7년간 대구 파티마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을 진단받고 폐표면활성제 및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183명을 대상으로 하여 폐간질기종의 분류를 시행하였으며 후향적 병력고찰을 통해 각 환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 과: 총 183예의 미숙아중 폐간질기종은 17예에서 발생하였으며 폐간질기종이 있었던 군에서 출생 체중, 재태 연령, RDS grade III 이상, 융모양막염, 조기양막파수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5). 인공호흡기 사용기간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지만(P<0.05), 최대 평균기도압과 최대 흡입산소분압은 의미가 없었다. 폐간질기종은 우측 또는 양측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발생시간을 보면 대부분이 72시간내에 발생하였다. 폐간질기종이 있었던 군은 대조군에 비해 사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망원인은 폐기흉이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였다. 결 론: 폐간질기종의 위험인자로는 인공호흡기치료를 받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에서 낮은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 그리고 융모양막염과 조기양막파수의 위험인자가 있을 시 최소 생후 72시간동안은 태아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되며 증상이 없을 경우라도 흉부사진을 주기적으로 관찰하면서 폐간질기종 여부를 집중 관찰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의 2005-2009년도 영아사망률 중에서 출생체중, 임신나이 별 구분에 따른 신생아 사망률의 비율 관찰 (Analysis of Infant Mortality Rate in Korea Concerning According to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from 2005 to 2009)

  • 조미진;고진희;정성훈;최용성;한원호;장지영;배종우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182-188
    • /
    • 2011
  • 목적: 한국에서 최근 신생아사망률(NMR), 영아사망률(IMR)는 주산기, 신생아, 소아과 의료의 발전으로 현저한 개선을 이루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최근 5년간 IMR 중에서 NMR가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보아, NMR의 개선이 IMR의 감소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한국 통계청의 출생 자료 및 신생아 및 영아에 관련된 통계와 보고서의 자료를 기초로 하였다. 2005-2009년 간 한국에서 영아사망 중에서 신생아 사망이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와 출생 시의 출생체중와 임신나이에 따른 분포별 사망이 영아사망에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2005-2009년 간 한국의 총 출생 수는 감소하였으나, 미숙아 수, 저체중출생아(LBWI) 수, 극수제체중출생아(VLBWI) 수는 증가하였다. 연도별 신생아 및 영아 사망 수, NMR, IMR는 감소하였다. 전체 영아사망 중에서 신생아사망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 57.1%, 2009년 56.3%로 전체적으로 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신생아사망 중에서는 후기 신생아사망 보다는 조기 신생아사망의 비율이 높았다. 연도별로 출생 시 정상체중아, LBWI, VLBWI, 미숙아 사망 수는 감소추세 이었다. 전체 영아사망 중에서 출생 시 정상체중아에서 사망과 출생 시 LBWI 사망의 비는 2005년 42.1:57.9, 2009년 44.2:55.8, 전체 영아사망 중에서 출생 시 만삭아에서 사망과 미숙아 사망의 비는 2005년 42.9:57.1, 2009년 44.6:55.4로 LBWI, 미숙아의 사망이 높았다. 5년간 평균 수치의 출생체중별, 임신나이별 신생아 사망 비율도 관찰하였다. 결론: 한국에서 저출산 시대에 총 출생 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미숙아 LBWI의 빈도는 증가 추세이다. 한국에서 전반적인 연도별 전체 신생아 및 영아사망 수의 감소와 NMR, IMR의 개선과 IMR에서 NMR이 차지하는 비율의 감소 추세 등이 고무적이지만, 아직도 IMR에서 NMR의 비율은 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향후 한국에서 IMR의 보다 좋은 개선을 위하여 NMR의 지속적인 감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위해서 미숙아 LBWI, 이중에서도 고위험 신생아인 VLBWI와 임신나이 32주 미만의 미숙아의 예후를 더욱 향상해야 할 것이다. 본 자료를 향후 신생아 관리의 기초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와 구강자극 요법의 효과 (Feeding Desaturation and Effects of Orocutaneous Stimulation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최해원;박혜원;김희영;임진아;구소은;이병섭;김애란;김기수;피수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7권2호
    • /
    • pp.193-200
    • /
    • 2010
  • 목적: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는 경구수유를 진행하는데 여러가지 어려움을 겪어, 경구수유로의 이행이 늦어진다. 본 연구에 서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 중,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가 발생하는 군과 산소포화도 저하가 없는 군 사이의 특징을 비교하고,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경구수유 이행 및 입원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구강자극요법을 시행하는 경우,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와 경구수유 능력의 발달, 입원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방법: 제 1상 연구에서는 2003년 10월부터 2009년 1월까지 서울아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125명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를 대상으로 차트 분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여,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 여부에 따른 특성, 산소포화도 저하가 경구수유 능력 발달 및 입원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제 2상 연구에서는 2009년 3월부터 2010년 5월까지 29명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게 구강자극요법을 시행하며 전향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81명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통해 두 그룹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72.8%에서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를 보였고. 그 중 37.4%에서 서맥을 동반하였다. 수유 시산소포화도 저하가 발생하는 시점은 평균 58.2일이었고, 당시 평균 175.4 mL의 수유를 하고 있었으며, 대부분 위관영양과 경구수유를 병행하고 있었지만, 36.3%에서는 위관영양만 시행하고 있었다.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가 발생한 군은 정상군 보다 출생 시 재태연령이 낮고, 5분 아프가 점수가 낮았으며, 위식도 역류 및 상인두 부조화가 유의하게 많았다. 또한 기관지폐이형성이 있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수유 시 산소포화도의 저하가 발생할 확률은 19배 증가하였다. 수유 시 산소포화도 저하가 있는 군은 경구수유로 완전히 이행하는 시기가 늦었으며, 입원기간도 길었다. 위 결과를 토대로,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구강자극요법을 시행하였을 때 대조군에 비해 경구수유 시작시기 및 경구수유로 완전히 이행한 시기가 빨랐으며, 입원기간이 단축되었다. 결론: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구강자극요법은 경구수유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으며 입원기간을 단축하는데 도움이 된다.

신생아 위장관천공 (Neonatal Gastrointestinal Perforation)

  • 김성철;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3권1호
    • /
    • pp.41-46
    • /
    • 1997
  • Perforation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in neonatal period has been associated with a grim prognosis. Recently there has been some improvement in survival. To evaluate the remaining pitfalls in management, 19 neonatal gastrointestinal perforation cases from May 1989 to July 1996 were analysed retrospectively. Seven patients were premature and low birth weight infants. Perforation was most common in the ileum(56.3%). Mechanical or functional obstruction distal to the perforation site was identified in 7 cases; Hirschsprung's disease 3, small bowel atresia 3, and anorectal malformation 1. These lesions were often not diagnosed until operation. Five cases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and 1 of muscular defect were the other causes of perforation. In six cases, the cause of the perforation was not identified. Perinatal ischemic episodes were associated in five cases. Overall mortality was 15.1%. Because a considerable number of gastrointestinal perforations resulted from distal obstruction, pediatric surgeon should be alert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intervention of gastrointestinal obstruction, particularly in patients that are premature and have a history of ischemia.

  • PDF

신생아의 욕창발생실태 및 관련요인 (Incid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Pressure Ulcers in Newborns)

  • 최원영;주현옥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8권4호
    • /
    • pp.177-183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incidence of pressure ulcers and associated factors, by inspecting the skin of newborn babies in a newborn unit or newborn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01 newborn babies in either a newborn unit or NICU in D general hospital. The incidence of pressure ulcer was measured using the skin inspection tool for pressure ulcer, suggested by Agency for Health Care Policy and Research. Results: Incidence rate of pressure ulcer was 19.8%, and 80% of the newborns with pressure ulcers were premature babies. The commonest region of onset was the ear (36.8%), followed by the foot (31.6%), occipital region (15.8%) and knee (15.8%). Those are the regions related to external medical devices like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and Pulse Oximetry. Factors related to pressure ulcers were gestational period of 37 weeks or less, hospitalization for 7 days or more, birth weight under 2,500 g and a low level of serum album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skin and underlying tissues of premature infants is at risk for pressure-related skin breakdown. As most pressure ulcers are caused by medical devices, nursing interventions are required to prevent further aggravation of the lesions.

저체중아 출생과 관련된 산모의 특성 연구 (The Study of Maternal Characteristics of Low Birth-Weight Infant)

  • 홍필순;박형숙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80-9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low birth-weight infants and their's mother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d to delivery of L.B.W infants. The data derived from K. General Hospital and J. obs & gyn clinic in pusan from January, 1998 to August, 1998, which were from mothers of having B. W infants. The factors used for this study were characteristics of general, obstetrical, environmental aspects and physical and psychological life experiences during pregnancy. Analysis of data obtained were computerized statistically by using SPSS 7.5 WIN program. the data were analysed as number,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d ANOVA. The major results obtained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Gender that L.B.W infants were male in 47.2% and female in 52.8%, body weight of 2001~2500gm was above 8 in 68.5%, and below 5 in 1.8%. The L.B.W infants with complications were 7, which were 6.5%. The kinds of malformations were the Cleft palate & lip, Hyper-kalemia, Hypoglycemia, Meningocele, CHD, Down syndrome and each of them marked 0.9%. 2)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the age group of 25~29 years was the most common as 46.3%. Over 35 years of age, elderly gravidas were in 7.5%. the height of 156~160cm was the most common as 52.8%. pregnant women of below 150cm height was in 3.7%. body weight of 51~55kg was the most common as 38%. pregnant women of below 45kg were in 19.4%. The women with smoking and drinking episodes during pregnancy were 1.9% and 25%. In the status of marriage, married women were in 95.4%, unmarried ones were in 1.9%, and unmarried couples were in 2.8%. Iin he obstetrical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pregnant women with gestational age under 37wks were in 45.4%, and the ones over 38wks were 54.6%. At the methods of delivery,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ies were in 51.9%, which were the most common, cesarian section deliveries were in 47.2%, and breech deliveries were in 0.9%. I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pregnant women, 40.8% of pregnant women lived in house or apartments with stairs, 23.1% of them lived in the high altitude. the pregnant women who ran a household without a helper were in 65.7%. In the pregnant women who had underwent life experiences of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during pregnancy. life experiences of physical stresses were described as persistent fatigue due to lifestyle, traumatic experience, illness, move away with an effort, physical impact caused by discord. life experiments of psychological stresses were describeded as trouble with their husbands, discord with one's husband family, family problems, and conflicts due to environmental factors, etc. The number of the pregnant women who had complications during pregnancy was 32, which was 29.6% totally. Among them, pre-eclampsia was in 12.1% and the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in 7.4%. 3) In the analysis of the general, obstetrical, and circumstantial characteristics and L.B.W infants. There were statistical difference significantly between the gestational age of pregnant women(F=12.035, P=.000), and the status of marriage(F=3.207, P=.044), and maternal complication(t=2.344, P=.021) etc.

  • PDF

Intussusception in Neonates: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ight Cases in a Single Center

  • Ahn, Yong-gi;Lim, Gina;Hwang, Eun Ha;Oh, Ki Won;Cho, Min Jeng
    • Neonatal Medicine
    • /
    • 제28권1호
    • /
    • pp.29-35
    • /
    • 2021
  • Purpose: Intussusception is the most common cause of bowel obstruction in children; however, it is rarely diagnosed in newborn infant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the clinical features of intussusception in newborn infants. Methods: Medical records of eight patients diagnosed with intussusception during the newborn period at Ulsan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07 and March 2020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Results: Among the eight cases, two occurred in the intrauterine period and six occurred in the postnatal period. Intrauterine intussusception presented with symptoms of bowel obstruction within 1 to 2 days after birth, and ileal atresia was diagnosed simultaneously through exploratory laparotomy. All the postnatal patients were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media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25+6 weeks and 745 g, respectively). Four cases were diagnosed preoperatively using abdominal ultrasonography. One patient was diagnosed by exploratory laparotomy because the clinical symptoms were nonspecific and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those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a more prevalent complication in preterm infants. The site of intussusception in all six patients was the small bowel. Meckel's diverticulum (one case) and meconium obstruction (two cases) were found to be the lead point. Conclusion: Neonatal intussusception tends to show different clinical features according to its period of occurrence. Intussusception, especially in preterm infants, has nonspecific clinical features; therefore, clinicians should always be cautious of this disease for its early diagn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