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tus leaf extract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4초

고지방 식이와 병행 섭취한 연잎 추출물이 흰쥐의 혈청 및 간 조직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otus (Nelumbo nucifera) Leaf Extract on Serum and Liver Lipid Levels of Rats Fed a High Fat Diet)

  • 이경석;이기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11호
    • /
    • pp.1544-1547
    • /
    • 2011
  • 연(Nelumbo nucifera)은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며 뿌리는 식용으로 잎은 민간에서 치료제로 사용되어왔다. 연잎은 또한 차와 술 등으로 가공되어 음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가 미비해 본 연구에서는 연잎 추출물의 흰쥐에 대한 혈청 및 간 조직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rat를 사용했으며 일반식이 섭취군(Con)과 고지방식이 섭취군(HFG) 그리고 고지방식이 섭취 및 연잎 추출물 투여군(HL40, HL80, HL120)으로 나누었으며 연잎 추출물 투여군은 rat의 체중(kg) 대비 고형분 40 mg 투여군(HL40), 80 mg 투여군(HL80), 120 mg 투여군(HL120)으로 세분하여 총 4주간 사육하였다. 4주간 사료 섭취량 대비 체중증가량을 측정한 결과 HL40, 80, 120의 경우 고지방 식이를 하였기에 Cont군보다는 높은 체중증가량을 보여주었지만 동일한 고지방 식이를 행한 HFG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체중증가량을 보여주었고 섭취량이 증가할수록 그 폭이 낮아져 HL120군의 경우는 Cont군과 오차범위 내에 있을 만큼 그 효과가 두드러졌다. 간의 총 지질 함량 측정결과 HL120군이 HFG군보다 지질생성량이 낮게 나왔으나 유의적인 차이를 보여주지 못했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의 경우에는 Cont군과 HL120군에서 동일한 수치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HFG군과 비교하여 HL120군에서 수치가 40% 가량 떨어졌고 HL40, 80군과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미루어 일정 수준 이상의 연잎 추출물 급여 시 총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리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중성지방의 경우 연잎 추출물을 급여한 모든 군이 HFG군뿐만 아니라 Cont군에 비해서도 낮은 수치를 보였다. 특히 HL120군에서는 HFG군에 비해 그 수치가 절반가량 줄어듦을 볼 수 있었다. 혈청 내 지질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를 측정한 결과, 혈청 내 총 지질은 Cont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들은 오차범위 내에 있었으며 변별력을 보여주지 못했다. 중성지방의 경우 HL40, 80, 120군이 HFG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 총 콜레스테롤의 경우에도 동일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 결과 연잎이 면이나 빵류 등에 첨가되어 각종 다이어트식품의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매염처리에 따른 연(蓮)잎 추출물의 염색성 및 염색견뢰도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Dyeability and Colorfastness of Lotus Leaf Extract with Mordanting Treatment)

  • 박영득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69-76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lorfastness of cotton and silk fabric dyed with extract of Lotus leaf princeps. The experimental items were classified into mordanting treatments, fabric components and kind of mordants. The experimental test was done by laundering, abrasion(dry/wet), perspiration(acid/alkali) , light fastness, color difference by C.C.M(computer color matching) system and K/S test. The summarized findings resulting from the experiment and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In the C.C.M and K/S test on mordanting method and kind of fabrics, co-mordanting treatment method and protein fabric (silk) were the most effective. Especially, Fe mordanting treatment was higher than Al, Cu, Cr and none-mordanting. In colorfastness on the mordants, perspiration and laundering fastness showed high grade (4-5) but grades of perspiration(2-3/4) and light fastness(1-3) were low.

연잎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의 안정성 평가 (Stability Evaluation of the Cosmetics Containing Lotus Leaf Extract)

  • 최선주;김소영;정윤주;구창섭;하병집;채희정
    • KSBB Journal
    • /
    • 제26권1호
    • /
    • pp.83-86
    • /
    • 2011
  • The stability of cream containing lotus leaf extract (LLE) was evaluated. Stability pH and viscosity were measured at 3 different temperatures ($25^{\circ}C$, $45^{\circ}C$ and $65^{\circ}C$), and at room temperature under the sun light at 2 day intervals during 12 days. The cleansing cream and foam cleansing containing the extract did not show a significant pH change at the different temperatures. However, the pH of the cleansing cream and foam cleansing containing LLE slightly decreased at $25^{\circ}C$. They showed a high stability at temperature conditions ($45^{\circ}C$ and $65^{\circ}C$) and under the sun light condition. The cleansing cream and foam cleansing containing LLE did not show a significant viscosity change at $25^{\circ}C$, but had a tendency of decrease at $45^{\circ}C$ and $65^{\circ}C$. There was no significant offflavor and discoloration as well as physical changes such as creaming and cohesion at $25-65^{\circ}C$ and under the sun light condition. And this LLE could be used as a stable functional cosmetic material.

연잎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 이경석;김민규;이기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2-18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연잎 추출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비교, 검토하고자 하였다. $70\%$ ethanol로 추출한 추출수율은 $8.16\%$였으며 이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분획한 수율은 butanol층이 $36.12\%$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극성이 높을수록 높은 분획수율을 나타내었다. 분회물간 총 페놀함량 측정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총 페놀함량이 가장 높게 나왔으며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또한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전자공여능은 BHA, BHT와 비교한 결과 BHA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BHT보다 우수한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난 ethyl acetate 분획물을 취하여 TBA가에 의한 지질과산화를 측정한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 주었으며 ethyl acetate 분획물은 BHT보다도 활성이 떨어졌으나 이는 ethyl acetate 분획물이 단일물질로 분리정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malonaldehyde 이외 다른 성분이 BHA와 반응하여 발색한 것으로 추측되어 졌다. AV와 POV 측정 결과 BHA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주었으나 ethyl acetate 분획물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BHT에 비해서는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연잎추출물 첨가가 분쇄돈육의 냉장저장 중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 Pork with Lotus Leaf Extrac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이경수;김주남;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77-486
    • /
    • 2013
  • 본 연구는 연잎추출물의 첨가가 분쇄돈육의 냉장 중 이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 88%, 대두유 5%, 소금 2%, 냉수 5%를 배합하여 제조한 대조군(T0), 여기에 냉수대신 3% 연잎추출물을 첨가한 T1, 7% 연잎추출물을 첨가한 T2 그리고 10% 연잎추출물을 첨가한 T3 등 네 종류의 분쇄돈육을 제조하였다. 이들은 냉장 중 pH, TBARS, VBN 함량, 표면과 내부의 색깔, 보수력, 가열감량, 경도 및 씹힘성을 측정하였다. 분쇄돈육의 pH는 저장 중 높아지다가 10일째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TBARS는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여 저장 10일째 T0, T1, T2 및 T3가 각각 0.777, 0.244, 0.185 및 0.182 mg MA/kg을 나타내었다(p<0.05). VBN 함량은 저장 중 T0 및 T1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T2 및 T3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표면 색깔의 경우, 명도($L^*$)는 저장 중 증가하였으며, T0가 가장 높았다(p<0.05). 적색도($a^*$)는 저장 중 감소하였으며, 황색도($b^*$)는 저장 초기가 가장 높았다(p<0.05). 내부 색깔의 경우, 명도는 저장 중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적색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그러나 황색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보수력은 저장 중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T2 및 T3가 가장 높았다(p<0.05). 가열감량은 저장 중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T0 및 T1이 T2 및 T3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경도 및 씹힘성은 저장 중 유의한 변화가 없었으며, 시료들 사이에도 차이가 없었다.

고욤(Diospyros lotus L.)잎 Ethyl Acetate 분획물의 멜라닌형성 억제 효과 (Melanogenesis-Inhibi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Diospyros lotus L. Leaf Extract)

  • 최병민;전인화;김상준;유강열;장선일
    • 생약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220-226
    • /
    • 2014
  • Diospyros lotus has been cultivated for its edible fruits and leaves which are considered for its medicinal importanc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melanogenesis of ethyl acetate (EA) fractions from D. lotus leaves in B16 cells. The order of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ith regard to the different solvent fractions from D. lotus leaves was EA>butanol>metahanol>chloroform>n-hexane. The major compounds of EA fraction from D. lotus leaves by HPLC analysis were myricitrin and myricetin. Cellular TYR activity and melanin content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100 mg/mL of EA fraction was inhibited more strongly than group treated with arbutin. Further, EA fraction exhibited significant anti-melanogenesis effects by reducing the levels of microphthalim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E), inhibiting the synthesis of TYR, tyrosinase-related protein-1 (TRP-1) and TRP-2. Therefore, EA fractions from D. lotus leaves may be a good source of skin-whitening agent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medicine-based trouble skin therapy.

연잎 및 연근 추출물을 함유한 분쇄돈육의 품질 특성 및 기호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alatability of Ground Pork Meat Containing Lotus Leaf and Root Extracts)

  • 이경수;김주남;정인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51-859
    • /
    • 2012
  • 본 연구는 연잎 및 연근 추출물이 분쇄돈육의 품질 및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쇄돈육은 돈육등심에 냉수 5% 첨가(T0), 연잎 추출물 5% 첨가(T1), 연잎 추출물 2.5% 및 연근 추출물 2.5% 첨가(T2) 그리고 연근 추출물 5% 첨가(T3) 등 네 종류를 제조하였다.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 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가열수율, 수분 보유율, 보수력 및 직경감소율은 시료들 사이에 차이가 없었지만 지방 보유율은 T0가 가장 높았다(p<0.05). L-value(명도)는 T2 및 T3가 T0 및 T1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p<0.05) a-value(적색도) 및 b-value(황색도)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H는 T1이 가장 낮았으며(p<0.05), VBN 함량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BARS 값은 T0, T1, T2 및 T3가 각각 0.47, 0.17, 0.21 및 0.32 mg MA/kg으로 연잎 추출물을 첨가한 T1이 가장 낮았다(p<0.05). 기계적 조직감으로 측정한 경도, 탄성, 응집성 및 저작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맛을 내는 유리아미노산은 T1이 642.5 ppm으로 가장 높았다(p<0.05). 관능특성 중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풍미는 T1이 가장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연잎 추출물의 첨가가 지방산화를 억제하고 풍미를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고지방식이 병행섭취 시 연잎, 연 줄기, 연자방 분말가루가 흰쥐의 혈중 생화학적 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otus (Nelumbo nucifera) Leaf, Stem, and Yeonjabang Powder Extract on the Biochemical Factors in Serum in Mice Fed a High-Fat Diet)

  • 김용환;최경순;신경옥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84-691
    • /
    • 2016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biochemical factors in lotus (Nelumbo nucifera) leaf, stem, and yeonjabang and their effects on serum factor levels in mice fed a high-fat (HF) diet. The loutus leaf showed $9.47{\pm}0.30%$ moisture content, $8.25{\pm}0.39%$ ash, $21.45{\pm}1.25%$ crude protein, and $2.21{\pm}0.13%$ crude fat content; the lotus stem showed $11.84{\pm}0.43%$ moisture, $10.21{\pm}0.64%$ ash, $17.55{\pm}0.92%$ crude protein, and $4.16{\pm}0.23%$ crude fat content; and the lotus yeonjabang showed $11.86{\pm}0.50%$ moisture, $6.81{\pm}0.51%$ ash, $18.71{\pm}1.02%$ crude protein, and $3.95{\pm}0.15%$ crude fat. Blood triglyceride levels were higher in the HF group ($146.43{\pm}38.81mg/dL$), and lower in the HF+yeonjabang groups ($98.00{\pm}17.18mg/dL$). In particular, blood triglycerid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groups that had 10% dry yeonjabang powder added to the high-fat diet. The inclusion of excessive high-fat diet increased concentrations of serum insulin and leptin. Serum leptin concentrations were highest in the HF group mice ($3.00{\pm}1.35ng/dL$), whereas they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F+yeonjabang groups by $1.34{\pm}0.52ng/dL$ (p<0.05). Thus, addition of dry yeonjabang powder to the high-fat diet was more effective in regulating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s and leptin in mice. Additional studies would help in the development of yeonjabang as a functional food.

녹차 및 연잎 열수추출물 처리가 염장고등어의 저장 중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and Lotus Leaf Boiled Water Extracts Treatment on Quality Characteristics in Salted Mackerel during Storage)

  • 남기호;장미순;이두석;윤호동;박희연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643-650
    • /
    • 2011
  • 본 연구는 고등어의 지질산패에 미치는 녹차 및 연잎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1%와 2%의 농도의 녹차 및 연잎 열수추출물에 처리하여 28일간 $4^{\circ}C$ 냉장보관하면서 염장고등어의 품질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수분은 대조구의 경우 저장기간 동안 점점 감소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처리구에서는 14일까지 감소하였으며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저장기간 동안 큰 변화는 없었다. 조지방의 경우 대조구에서는 저장기간 동안 점차 증가하였으나 처리구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부패가 진행되어 처리구, 대조구 모두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대조구의 경우 저장 7일째 6.35를 나타냄에 따라 부패가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VBN은 저장초기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실험구에서 5.1~5.3 mg%로 매우 신선한 상태를 유지하였으며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완만하게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TMA-N의 경우 대조구와 비교하였을 때 1%의 농도처리 보다는 2%, 녹차 열수추출물보다는 연잎 열수추출물로 처리한 고등어에서 낮은 값을 보였다. TBA가, 과산화물가 및 산가를 측정한 결과 모두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저장기간에 따라 대조구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 녹차 및 연잎 열수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한 고등어에서는 증가폭이 완만하였으며 1% 농도에서 보다는 2%에서 처리한 고등어가 현저히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실험결과로 종합해 볼 때 염장고등어 제조시 녹차 및 연잎 열수 추출물 처리가 고등어의 지질산패 감소하는데 효과적이었으며 특히, 열수 추출물 고등어처리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1%보다는 2% 농도 처리가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욤(Diospyros lotus L.)잎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및 항가려움 효과 (Anti-Allergy and Anti-Pruritic Effects of Diospyros lotus L. Leaf Extract)

  • 김현수;전인화;목지예;강현주;신준호;박용균;정승일;장선일
    • 생약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0-69
    • /
    • 2013
  • The worldwide prevalence and severity of allergic diseases including atopic and contact dermatitis has increased dramatically over the past decade, especially in developed countries. Mast cells are important effector cells in allergic reac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anti-allergic and anti-pruritic effects of Diospyros lotus leaf extract (DLE). DLE was prepared by extracting with distilled water.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DLE on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interleukin-$1{\beta}$ (IL-$1{\alpha}$) and histamine in rat peritoneal mast cells (RPMCs), and on the skin lesion, leukocyte infiltration and scratching behavior in mice.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plus calcium ionophore A23187 significantly increased TNF-${\alpha}$ and IL-$1{\beta}$ production compared with media control. However, TNF-${\alpha}$ and IL-6 production increased by PMA plus A23187 treatment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DLE in a dose-dependent manner. DLE also inhibited the histamine release from RPMCs stimulated by compound 48/80, which promotes histamine release. Moreover, DLE administration had an inhibitory effects on the scratching behavior induced by pruritogen (compound 48/80, histamine) in ICR mice. Furthermore, DLE inhibited the skin lesions, inflammatory and mast cells in hairless mice sensitized by 2,4-dinitrofluorobenzene (DNFB). DLE administration reduced the IL-4 and IgE production induced by DNFB sensitization in hairless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DLE has a potential use as a herb medicine for treatment against allergy and pruritus-related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