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icera Japonica Thunb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4초

HT22 신경세포에서 금은화 추출물에 의한 글루타메이트 유도 산화적 스트레스 및 세포사멸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Lonicera japonica Thunb. Flower Buds against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in HT22 Hippocampal Neurons)

  • 전창환;송춘호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38권1호
    • /
    • pp.32-42
    • /
    • 2021
  •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Lonicera japonica flower buds (EELJ) on glutamate-induced neurotoxicity in mouse hippocampus-derived neuronal HT22 cells. Methods : After analyzing the cytoprotective effect of EELJ on glutamate in HT22 cells, the inhibitory effect of apoptosis was studied using flow cytometry. In order to analyze the antioxidant efficacy of EELJ, the level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glutathione (GSH) were investigated, and the effects on the activities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atalase (CAT) were also analyzed. Furthermore, the effect of EELJ on the expression of apoptosis regulators such as Bax and Bcl-2 in glutamate-treated HT22 cells was investigated. Results : According the current results, pretreatment with EELJ significantly reduced glutamate-induced loss of cell viability and release of lactate dehydrogenase. EELJ also markedly attenuated glutamate-induced generation of intracellular ROS, which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levels of GSH, and activity of SOD and CAT in glutamate-stimulated HT22 cells. In addition, EELJ was strikingly inhibited glutamate-induced apoptosis in HT22 cells. Furthermore, the expression of pro-apoptotic Bax was increased and the expression of anti-apoptotic Bcl-2 was decreased in glutamate-treated HT22 cells, while in the presence of EELJ, their expressions were maintained at the control levels. Conclusions :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EELJ protects glutamate-induced cytotoxicity in HT22 hippocampal neurons through antioxidant activity. Therefore, although identification of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of EELJ and re-evaluation through animal experiments is necessary, this natural substance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further research in preventing and treating oxidative stress-mediated neurodegenerative diseases.

금은화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Lonicerae Flos)

  • 나민균;하티탄훵;안인파;이상명;김영호;이종필;성락선;이경순;배기환
    • 생약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40-344
    • /
    • 2000
  • Lonicerae Flos, the flower of Lonicera japonica Thunb., has been used as a diuretic, stomachic, antipyretic,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gent in Korea.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Lonicerae Flos, the method of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luteolin $7-O-{\beta}-D-glucoside$ as a reference standard compound has been developed. Different specimens of Lonicerae Flos were collected from twenty Korean markets and were analyzed with HPLC using the mobile phase of MeOH-4.5% acetic acid solution (16.5:83.5). The average content of luteolin $7-O-{\beta}-D-glucoside$ from Lonicerae Flos in Korean markets was $0.43{\pm}0.34%$.

  • PDF

Inhibition of Trypsin-Induced Mast Cell Activation by Water Fraction of Lonicera japonica

  • Kang, Ok-Hwa;Choi, Yeon-A;Park, Hye-Jung;Lee, Joo-Young;Kim, Dae-Ki;Choi, Suck-Chei;Kim, Tae-Hyun;Nah, Yong-Ho;Yun, Ki-Jung;Choi, Suck-Jun;Kim, Young-Ho;Bae, Ki-Hwan;Lee, Young-Ml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11호
    • /
    • pp.1141-1146
    • /
    • 2004
  • Lonicera japonica Thunb.(Caprifoliaceae) has long been known as an anti-inflammatory.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 of water fraction of Lonicera japonica (LJ) on trypsin-induced mast cell activation was examined. HMC-1 cells were stimulated with trypsin (100 nM)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J (10, 100, and 1000 $\mu$ g/mL). TNF-$\alpha$ and tryptase production were measured by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d reverse transcription-PCR.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phosphorylation was assessed by Western blot. Trypsin activity was measured by using Bz-DL-Arg-p-nitroanilide (BAPNA) as substrate. LJ (10, 100, and 1000 $\mu$g/mL) inhibited TNF-$\alpha$ secre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LJ (10, 100, and 1000 $\mu$g/mL) also inhibited TNF-$\alpha$ and tryptase mRNA expression in trypsin-stimulated HMC-1. Furthermore, LJ inhibited trypsin-induced ERK phosphorylation. However, LJ did not affect the trypsin activity even 1000 $\mu$g/m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J may inhibit trypsin-induced mast cell activa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ERK phosphorylation than the inhibition of trypsin activity.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Native Scrophularia takesimensis in Ulleung-do Island

  • Ahn Young-Hee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2호
    • /
    • pp.1087-1095
    • /
    • 2005
  • Scrophularia takesimensis Nakai called 'Sum-Hyun Sam' growing about 1m in high is a perennial plant of Scrophulariaceae. Because the number of these species is very limited in the world,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as appointed S. takesimensis as a preserved plant. The Korea Forest Service also protects it strictly by the law since S. takesimensis is an out-of-the-way plant and possible to be exterminated soon in Korea. Investigation for distribution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bitat far S. takesimensis was carried out in Ulleung-do Island. S. takesimensis has a tendency to emerged with Calystegia soldanella Roem. et Schultb. and Artemisia japonica subsp. littoricola Kitam. C. soldanella community were developed on the dry and well-lighted as east or north facing conditions. A. japonica subsp. littoricola community have tendency to developed on the properly lighted as west or north facing and well maintained soil or air humidity. C. soldanella community were developed on the sandy gravel or gravel and grew with Farfugium japonicum, (L.) Kitam., Lonicera japonica Thunb., and Peucedanum japonicum Thunb.. A japonica subsp. littoricola communities were emerged on the rock beds or pile of rocks and grew with Sedum oryzifolium Makino, Sedum takesimense Nakai, and Spergularia marina (L.) Griseb.

약용식물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자생지 생육환경 및 입지환경 특성 (Natur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Lonicera insularis, Medicinal Plants)

  • 손용환;김현준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1-61
    • /
    • 2022
  • 섬괴불나무(Lonicera insularis Nakai)는 인동과(Caprifoliaceae) 인동속(Lonicera) 식물로 우리나라 울릉도에 제한적으로 분포한다. 인동과 식물 중 인동(L. japonica Thunb.), 괴불나무[L. maackii (Rupr.) Maxim] 등 다수의 분류군이 약리효능이 입증되었으며, 맛이 뛰어나 차, 술, 음료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 중 섬괴불나무는 최근 면역자극 및 항비만 활성 등 다양한 약효가 확인되어 약용자원으로서의 잠재적 가치가 큰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특산식물인 섬괴불나무의 적정 자생지를 명확하게 구명하여 보전생물학적 연구, 재배 및 산업화와 같은 현지 외 보전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울릉도에서 확인된 섬괴불나무의 주요 분포지는 4개소로 해안도로 일대에 자생하고 있었다. 입지환경은 해발고도 8-20 m, 사면 방위는 남사면, 경사는 15-30°로 완경사지에서 주로 자생하고 있었다. 방형구(10×10 m) 내 개체수는 5-25 개체로 대부분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4개 조사구에 대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사구는 곰솔 군집(Pinus thunbergii Parl.)으로 상층의 발달이 거의 없는 전형적인 해안 식생의 구조로 확인되었다. 관목층은 보리장나무(Elaeagnus glabra Thunb.), 송악[Hedera rhombea (Miq.) Bean], 머루(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등이 경쟁관계에 있었으며, 초본층은 왕호장근[Reynoutria sachalinensis (F.Schmidt) Nakai],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L.) R.Br], 해국(Aster spathulifolius Maxim.) 등으로 인하여 섬괴불나무는 피압된 것으로 판단된다. 군집의 안전성, 다양성을 나타내는 척도인 종다양성지수는 1.259, 최대종다양성지수는 1.286, 균재도는 0.979, 우점도는 0.021로 확인되었다.

  • PDF

인동의 성분연구 (2) - 지방족 및 페놀성 화합물 (Phytochemical Studies on Lonicera Caulis (2) - Aliphatic and Phenolic Compounds)

  • 김주선;연민혜;서현규;이제현;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26-333
    • /
    • 2009
  • Fourteen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70% ethanol extract of Lonicera Caulis (Caprifoliaceae)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seven aliphatic compounds [long-chain alcohols (1, 2), trilinolein (3), hexacosanol (4), fatty acids (6), 9,12,13-trihydroxyoctadeca-10(E),15(Z)-dienoic acid (10), and pinellic acid (11)] and seven phenolics [bis(2-ethylhexyl) phthalate (dioctylphthalate, DOP) (5), coniferaldehyde (7), caffeic acid docosanoyl ester (8), caffeic acid (9), coniferyl aldehyde 4-O-glucoside (12), linarin (13), and coniferin (14)].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and comparison with literature values. All the compounds except for caffeic acid (9)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parts for the first time.

인동의 성분연구 (1) - Sterol 및 Triterpenoid 화합물 (Phytochemical Studies on Lonicera Caulis (1) - Sterols and Triterpenoids)

  • 김주선;연민혜;이소영;이제현;강삼식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19-325
    • /
    • 2009
  • Twelv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70% ethanol extract of Lonicera Caulis (Caprifoliaceae) and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six triterpenoids [(24S)-cycloart-25-en-$3{\beta}$,24-diol (1), pomolic acid (7), ursolic acid (8), euscaphic acid (9), hederagenin (10), and 23-hydroxytormentic acid (12)] and six sterols [obtusifoliol (2), gramisterol (3), citrostadienol (4), ${\beta}$-sitosterol (5), ergosterol peroxide (6) and ${\beta}$-sitosterol glucoside (11)]. The chemical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methods and comparison with literature values. All th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parts for the first time.

인동덩굴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및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Activities and Cytoprotective Effects of Lonicera japonica Thunb. Extract and Fraction against Oxidative Stress)

  • 이예슬;윤믿음;이윤주;박영민;이상래;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8-28
    • /
    • 2018
  • DPPH를 이용한 인동덩굴 추출물의 자유라디칼 소거활성($FSC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77.25{\mu}g/ml$)이 50% 에탄올 추출물($152.00{\mu}g/ml$)보다 약 2배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인동덩굴 추출물의 활성산소 소거활성(총 항산화능, $OSC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0.33{\mu}g/ml$) >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1.12{\mu}g/ml$) > L-ascorbic acid ($4.95{\mu}g/ml$)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1O_2$으로 유도된 적혈구 파괴에 대한 세포 보호 효과(${\tau}_{50}$) 측정 결과, 인동덩굴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가 나타났으나, 고농도에서는 세포 보호 효과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은 $10{\mu}g/ml$의 농도(46.0 min)에서,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mu}g/ml$의 농도(52.3 min)에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인동덩굴 추출물 및 분획물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 본 실험에서는 $0.4-12.5{\mu}g/ml$의 농도 범위를 설정하여 세포 보호 효과를 평가하였다. 과산화수소로 유도된 각질 형성 세포인 HaCaT 세포 보호 효과는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2.5{\mu}g/ml$의 농도에서 각각 70.0, 78.6%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냈으며, 대조군(65%)과 비교하여 유의한 세포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UVB를 조사한 HaCaT 세포의 세포 내 ROS 소거 활성에서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ROS를 소거하였으며, $12.5{\mu}g/ml$ 농도에서 각각 45.2, 63.3%의 ROS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 에탄올 추출물보다 높은 세포 내 ROS 억제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LC와 HPLC 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한 인동덩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성분 분석을 통해 caffeic acid, luteolin, apigenin, coumaric acid를 확인하였다. Caffeic acid와 luteolin의 뛰어난 환원력과 킬레이팅 작용이 인동덩굴 추출물의 활성산소 소거활성과 세포 보호 효과에 크게 기인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인동덩굴 50%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총 페놀성 화합물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를 통해, 인동덩굴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50% 에탄올 추출물보다 많은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ROS에 대한 인동덩굴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고 이상의 결과를 통해 인동덩굴 추출물이 식물유래 천연 항산화제로서 가치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뿐만 아니라, 인동덩굴의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복합 한약재 급여가 냉장 저장 중 삶은 계란의 물리화학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Herb Mix o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of Cooked Chicken Egg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류현덕;장애라;신명호;이봉덕;이수기;김은미;조철훈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7
    • /
    • 2008
  • Coptis japonica Makino (황련, 48.5%), Lonicera japonica Thunb (금은화, 48.5%), Morus alba L. (상엽, 3%)를 혼합한 복합 한약재의 급여가 생산된 계란의 냉장 저장 중 일반 성분 및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8주령의 Lohmann Brown 108수를 3가지 처리(복합 한약재 0, 0.3 및 1%), 6반복으로 완전 임의 배치한 후 6주간 급여하고 생산된 계란을 수거하여 $4^{\circ}C$ 냉장 저장하면서 일반 성분, 색도 및 조직감 등을 관찰하였다. 복합 한약재를 급여하여 생산된 계란은 수분, 단백질, 지방 및 무기물의 함량 차이가 없었으며 삶은 계란에서 3일차 적색도($a^*$-value) 및 황색도($b^*$-value)를 제외하고는 처리간 색도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저장 기간동안 처리구와 상관없이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전체적인 조직감 측정에서도 복합 한약재 급여 처리는 14일차 탄성(springness)을 제외하고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계란의 저장기간에 따른 조직감의 차이는 보여 탄성과 검성(gumminess)는 저장기간이 늘어나면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복합 한약재의 급여는 생산된 계란의 일반 성분이나 색도, 조직감 특성에서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합성 항생제를 대체를 위한 복합 한약재의 첨가를 산업적으로 적용할 때 계란의 물리화학적 품질에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