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term rainfall-runoff model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9초

Meta-Gaussian 방법을 이용한 강우-유출 모형에서의 불확실성 산정 (Evaluation of the Uncertainties in Rainfall-Runoff Model Using Meta-Gaussian Approach)

  • 김병식;김보경;권현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49-64
    • /
    • 2009
  • 홍수나 가뭄 등 극한 사상을 예측하여 재해에 대비하거나 또는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 배분하기 위하여 강우-유출 모형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수문학자들은 강우-유출 모형이 가질 수밖에 없는 불확실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실제 유역에 내린 강우는 증발과 증산, 차단, 침투 등 여러 과정을 거쳐 유출로 이어지는데, 모형에서는 이러한 복잡한 물리적 과정을 단순화하여 표현하였으므로 불확실성이 반드시 존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모형으로부터의 모의 결과를 신뢰할 수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강우-유출 모형의 불확실성을 평가한 선행 연구 중 Montanari와 Brath(2004)가 제시한 Meta-Gaussian 기법을 이용하여 강우-유출 모형 모의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검토하였다. 이 기법은 모형 오차의 확률 분포형으로부터 신뢰구간의 상한계와 하한계를 추정하는 방법으로 수문모형의 전역적 불확실성(Global Uncertainty)을 정량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강우사상에 대한 물리적 기반의 분포형 모형인 $Vflo^{TM}$ 모형과 개념적 준 분포형 모형인 HEC-HMS 모형으로부터 모의된 유출량을 Meta-Gaussian 기법을 적용하여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 PDF

대청유역 물수지 분석을 위한 장기 유출모의 (Long Term Runoff Simulation for Water Balance at Daecheong Basin)

  • 이상진;김주철;노준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211-1217
    • /
    • 2010
  • For an accurate rainfall-runoff simulation in the river basin, it is important to consider not only evaluation of runoff model but also accurate runoff component. In this study long-term runoffs were simulated by means of watershed runoff model and the amounts of runoff components such as upstream inflow, surface runoff, return flow and dam release were evaluated based on the concept of water budget. SSARR model was applied to Daecheong basin, the upstream region of Geum river basin, and in turn the monthly runoff discharges of main control points in the basin were analyzed.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basic quantified water resources data the conceptual runoff amounts were estimated with water budget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of the observations and the monthly runoff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depth. The yearly runoff ratios were also estimated and compared with the observations. From the results of the main control points, Yongdam, Hotan, Okcheon and Daecheong, the yearly runoff ratios of those points are consistent well with data reported previously.

Analysis of future flood inundation change in the Tonle Sap basin under a climate change scenario

  • Lee, Dae Eop;Jung, Sung Ho;Yeon, Min Ho;Lee, Gi Ha
    • 농업과학연구
    • /
    • 제48권3호
    • /
    • pp.433-446
    • /
    • 2021
  • In this study, the future flood inundation changes under a climate change were simulated in the Tonle Sap basin in Cambodia, one of the countries with high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For the flood inundation simulation using the rainfall-runoff-inundation (RRI) model, globally available geological dat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hydrological data and maps based on Shuttle elevation derivatives [HydroSHED]; land cover: Global land cover facility-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GLCF-MODIS]), rainfall data (Asian precipitation-highly-resolved observational data integration towards evaluation [APHRODITE]), climate change scenario (HadGEM3-RA), and observational water level (Kratie, Koh Khel, Neak Luong st.) were constructed. The future runoff from the Kratie station, the upper boundary condition of the RRI model, was constructed to be predicted using the long short-term memory (LSTM) model. Based on the results predicted by the LSTM model, a total of 4 cases were selected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4.5: 2035, 2075; RCP 8.5: 2051, 2072) with the largest annual average runoff by period and scenari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future flood inundation in the Tonle Sap basin we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Unlike in the past, when the change in the depth of inundation changed to a range of about 1 to 10 meters during the 1997 - 2005 period, it occurred in a range of about 5 to 9 meters during the future period.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future RCP 4.5 and 8.5 scenarios, the variability of discharge is reduced compared to the past and that climate change could change the runoff patterns of the Tonle Sap basin.

농업용수 이용량을 고려한 금강유역 장기유출모의 (Long-term Runoff Simulation Considering Water for Agricultural Use in Geum River Basin)

  • 우동현;이상진;김주철;안정민
    • 생태와환경
    • /
    • 제43권3호
    • /
    • pp.349-35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해 이수적인 측면에서 입력되는 농업용수를 수요측면에서 산정된 계획량에서 실 이용량에 근사하게 보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장기유출모형을 활용하여 실용성이 높은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농업용 수리시설물들이 하천유량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농업용수 이용량을 고려한 장기유출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하천수 의존도가 낮은 지점에서 관측값과 차이가 큰 불량한 모의가 주로 발생하였다. 2) 연강우량과 유출오차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2001년이나 2008년과 같은 가뭄년에 실제 용수이용을 충족시키지 못하여 유출모의시 오차가 커짐을 확인하였다. 3) 장기유출량 모의분석을 통해 논농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5월부터 유출량이 음의 값으로 모의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규모 수리시설물을 고려하여 보정한 용수량을 이용한 결과 상관계수가 보정전 0.580에서 보정후 0.788로 보정전 모의보다 관측값과 상관성이 높아짐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4) 주요지점의 불일치율($R_D$)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보정을 통한 모의가 적은 불일치 범위에 다수 포함됨을 정량적으로 확인하였다. 특히 대청지점의 불일치율 분석결과 -2에서 -2.5사이의 저유량 오차구간에 전체오차의 3% 차지하는 75개의 불일치율 나타났다. 이는 소규모수리시설물을 고려하지 못하고 용수량이 과다 산정되어 나타나는 오차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통해 모두 개선되었다. 5) 잔차분석을 통해 대청지점의 보정 전/후로 모의타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잔차의 정규성 및 독립성을 분석한 결과 보정을 통해 모의의 타당성이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유출모의를 위한 주요제어지점 유량특성 분석 (Analysis of Stream Discharge Characteristic at Control Point for Runoff Model Application)

  • 이상진;이배성;류경식;황만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11호
    • /
    • pp.905-914
    • /
    • 2006
  • 유역의 정확한 강우-유출관계를 모의하기 위해서는 모형의 적용과 더불어 관측자료의 정확한 평가 및 검증이 병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SARR모형을 금강유역에 적용하여 모의결과를 주요제어지점인 공주지점의 유량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이수기시 저수위 구간에서 상당한 오차가 발생하였으며, 이에 대한 원인 분석을 위해 과거 관측유량자료(Rating Curve)의 신뢰도분석 및 유량 재관측($'03{\sim}'05$년)을 실시하였고, 유출성분 분석기법을 활용한 장기유출량을 산정하여 제어지점의 수리특성을 명확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SSARR 모의결과 및 유출성분분석에 의한 장기유출량 산정결과는 재관측된 유량과 근사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기존의 관측유량은 지점의 공간적 특성에 기인한 수리학적 영향으로 인해 평 갈수기시 약 $10{\sim}20%$ 과대 산정된 것으로 분석되어 이에 관한 보정 및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연유출량 추정모형 개발 (Development of the Annual Runoff Estimation Model)

  • 김양수;정상만;서병하
    • 물과 미래
    • /
    • 제24권3호
    • /
    • pp.95-104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장기 수자원계획시 유역내 가용 수자원을 파악하는데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연유출량 추정모형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연구범위는 우리나라 전역으로 1945년부터 1988년 까지의 육수량, 유출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모형개발을 위한 표준유역은 유출의 인공조작이 없고 수위자료가 양호하며, 수위-유량 관계곡선이 작성되어 있는 46개 지점을 택하였으며, 표본 유역별로 일수위 자료를 수집, 정리하여 일유출량을 산정하고 합산하여 연유출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연평균강수량을 산정하여 지점별로 연유출율을 계산하고 이것을 기초로 우리나라 연평균 유출율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연유출량과 역특성인자들을 이용하여 연유출량 추정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실제유역에 적용하여 모형의 합리성을 검토하였다.

  • PDF

유출관리모형을 활용한 수문학적 공간정보 분석 (Analysis of Hydrologic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Runoff-Management Model)

  • 이상진;노준우;안정민;김주철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97-104
    • /
    • 2009
  • 현재 GIS는 유역의 지형학적 분석분야에서 뿐만아니라 유역의 수문학적 분석분야에서도 유용한 도구로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SSARR모형을 기반으로한 유역유출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장기유출량을 산정, 검증하고 이를 토대로 강우-유출 관리 모듈과 연계하여 신뢰도 있는 수문정보를 산정하여 사용자에게 제공코자 하였다. 모의와 검증을 거친 적정한 토양습윤지표, 용수이용량, 직접 및 기저유출량 등의 다양한 수문성분들이 GIS Tool의 활용을 통하여 소유역 단위의 유용한 수문학적 공간정보로서 생산되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Graphic User Interface를 설계하여 다양한 수문정보를 도시함으로써 향후 효율적 유역수문관리를 지원하는 Toolkit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THIA를 이용한 서울특별시 유출량 공간적 분석: 2011년 7월 27일 강우를 중심으로 (Analysis of Spatical Distribution of Surface Runoff in Seoul City using L-THIA: Case Study on Event at July 27, 2011)

  • 전지홍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3권6호
    • /
    • pp.171-183
    • /
    • 2011
  • Temporal and spatical surface runoff by heavy rainfall during 25~28 July, 2011 causing urban flooding at Seoul were analyzed using Long-Term Hydrologic Impact Assessment (L-THIA). L-THIA was calibrated for 1988~1997 and validated for 1998~2007 using monthly observed data at Hangangseoul watershed which covers 90 % of Seoul city. As a results of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L-THIA at Hangangseoul watershed, Nash-Sutcliffe coefficients were 0.99 for calibration and 0.99 for validation. The simulated values were good agreement with observed data and both calibrated and validated levels were "very good" based on calibration criteria. The calibrated curve number (CN) values of residential and other urban area represented 87 % and 93 % of impervious area, respectively, which were maximum percentage of impervious area. As a result of L-THIA application at Seoul city during 25~28 July, 2011, most of rainfall (54 %, 287.49 mm) and surface runoff (65 %, 247.32) were generated at 27 July, 2011 and a significant amount of rainfall and surface runoff were occurred at southeastern Seoul city. As a result of bi-hourly spatial and temporal analysis during 27 July, 2011, surface runoff during 2:00~4:00 and 8:00~10:00 were much higher than those during other times and surface runoff located at Seocho-gu during 6:00~8:00 represented maximum value with maximum rainfall intensity which caused landslide from Umyun mountain.

LSTM - MLP 인공신경망 앙상블을 이용한 장기 강우유출모의 (Long-term runoff simulation using rainfall LSTM-MLP artificial neural network ensemble)

  • 안성욱;강동호;성장현;김병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2호
    • /
    • pp.127-137
    • /
    • 2024
  • 수자원 관리를 위해 주로 사용되는 물리 모형은 입력자료의 구축과 구동이 어렵고 사용자의 주관적 견해가 개입될 수 있다. 최근 수자원 분야에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계학습과 같은 자료기반 모델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자료만을 이용하여 강원도 삼척시 오십천 유역의 장기강우유출모의를 수행했다. 이를 위해 기상자료로 3개의 입력자료군(기상관측요소, 일 강수량 및 잠재증발산량, 일강수량 - 잠재증발산량)을 구성하고 LSTM (Long Short-term Memory)인공신경망 모델에 각각 학습시킨 결과를 비교 및 분석했다. 그 결과 기상관측요소만을 이용한 LSTM-Model 1의 성능이 가장 높았으며, 여기에 MLP 인공신경망을 더한 6개의 LSTM-MLP 앙상블 모델을 구축하여 오십천 유역의 장기유출을 모의했다. LSTM 모델과 LSTM-MLP 모형을 비교한 결과 두 모델 모두 대체적으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지만 LSTM 모델에 비해 LSTM-MLP의 MAE, MSE, RMSE가 감소했고 특히 저유량 부분이 개선되었다. LSTM-MLP의 결과에서 저유량 부분의 개선을 보임에 따라 향후 LSTM-MLP 모델 이외에 CNN등 다양한 앙상블 모형을 이용해 물리적 모델 구축 및 구동 시간이 오래 걸리는 대유역과 입력 자료가 부족한 미계측 유역의 유황곡선 작성 등에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레이더 강수량과 PRMS 모형을 이용한 유출량 평가 (Runoff assessment using radar rainfall and precipitation runoff modeling system model)

  • 김태정;김성훈;이성호;김창성;권현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7호
    • /
    • pp.493-505
    • /
    • 2020
  • 현재 유역단위 수문해석을 목적으로 장기간 자료 확보가 용이하고 신뢰도가 확보된 지상관측소 강수량 자료를 강우-유출 모형을 활용하여 유출량을 평가하고 있다. 지상관측소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면적평균 강수량을 산정하는데 있어 일반적으로 지상관측소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Thiessen 다각형법을 널리 이용하고 있으나 지상관측소의 공간적 편중으로 인해 면적평균 강수량 산정과정에서 제약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으로 연속적인 강수량 관측이 가능한 기상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단위 면적평균 강수량을 산정하고 이를 PRMS 모형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여 유출량을 평가하였다. 세부적으로 레이더 강수량의 편의 오차를 해결하기 위하여 G/R Ratio 기법을 적용하여 유역별로 레이더 강수량을 보정하였다. 레이더 강수량을 이용한 유출특성은 Thiessen 면적강수량을 이용한 유출의 통계적 특성을 현실적으로 재현하였다. 지상 관측소에 의존하여 생산하는 Thiessen 면적강수량에 비하여 레이더 강수량을 활용하는 것이 유역에 발생하는 강수의 공간적 특성을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수문해석에서 정확도를 확보한 유출량을 제시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