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 Baseline

검색결과 499건 처리시간 0.026초

Predictors of Long-term Abstinence Among Chinese Smokers Following Treatment: The Role of Personality Traits

  • Leung, Doris Y.P.;Au, Doreen W.H.;Lam, Tai-Hing;Chan, Sophia S.C.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351-5354
    • /
    • 2013
  • Four hundred and thirty-five Chinese smokers who had attended the first smoking cessation clinic and received stage-matched individualized cessation counseling in Hong Kong during the period of August 2000 to January 2002 were successfully followed-up between February and August 2008. Some 38% of the participants (165/495) had stopped smoking during the 12-month follow-up after treatment. Participants with higher conscientiousness score (OR = 1.65, 95% CI: 1.09 - 2.48) and lower openness to experience score (OR = 0.64, 95% CI: 0.45 - 0.92) showed a greater likelihood of quitting smoking after controlling the effect of daily cigarettes smoked and stage of readiness at baseline. The study suggests an important role of conscientious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on long-term quitting behaviors following treatment, and provides useful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atched intervention for smoking cessation among Chinese smokers.

유산균발효유 장기음용시 혈중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Long-term Effect of a Fermented Milk Product on the Level of Blood Cholesterol in Korean)

  • 이용욱;김종규;노우섭;김판기;나승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22-128
    • /
    • 1999
  • The cholesterol-lowering effect of a fermented milk was studied for long-term period (56 weeks) in 206 Korean adults (106 normal cholesterol group and 100 hypercholesterol group) 300 $m\ell$ of the fermented milk was taken daily to all subjects for 10 weeks. 24 subjects drinking the fermented milk for 56 weeks and 42 subjects no-drinking for 40 weeks and then re-drinking from 50 th week for 6 weeks were followed up. Paired t-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GLM repeated measure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level of total blood cholesterol and LDL after drinking the fermented milk for 10 week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 and affected by total cholesterol level at baseline, BMI, smoking and drinking.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riglyceride, HDL, and LDL/HDL ratio by drinking the fermented milk. The fermented milk intake for long-term period (56 weeks) did not show any more effect after 10 week on the level of TC, TG, HDL, LDL.

  • PDF

Clinical safety and efficacy of a novel marine source of the long-chain omega-3 fatty acids

  • Park, Joung-Hyun;Musa-Veloso, Kathy;Ji, Ho-Seok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3-50
    • /
    • 2022
  • Squid is a sustainable source of long-chain omega 3 fatty acid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safety and triglyceride-lowering efficacy of refined oil derived from the squid(Todarodes pacificus) viscera.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with elevated fasting serum lipids (i.e., total cholesterol of ≥5.2 mmol/L or fasting serum triglyceride of ≥1.65 mmol/L)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control (n = 52) or squid oil group (n = 52), and participants in the latter group were instructed to consume 3 g of squid oil daily for 60 days. None of the subjects reported adverse events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squid oil. Baseline clinical chemistry and hematological parameter values and those toward the end of the treatment period were similar, and all value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Fasting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in the control and squid oil groups were similar; however, toward the end of the 60 day study period, these level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quid oil group relative to those in the control group (P< 0.01). However,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remained unchanged in both groups.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squid oil is a safe source of long-chain omega-3 fatty acids and has beneficial effects on the blood lipid levels. This is the first clinical study on squid oil usage, and suggests that it could be a sustainable source of omega 3 fatty acids.

비정상성 분위사상법을 이용한 GCM 장기예측 편차보정 (Bias Correction for GCM Long-term Prediction using Nonstationary Quantile Mapping)

  • 문수진;김정중;강부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8호
    • /
    • pp.833-842
    • /
    • 2013
  • 분위사상법(QM, Quantile Mapping)은GCM(Global Climate Model) 자료의 계통적 오차를 보정하여 보다 신뢰성 높은 자료로 재생성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이 기법은 사상(mapping)시키려는 대상(object) 자료의 통계분포모수가 정상적(stationarity)이라는 가정 하에 대상 자료의 누적확률분포(CDF,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를 목표(target) CDF에 통계적으로 투영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GCM에서 제공되는 미래 기후시나리오의 강우시계열과 같이 비정상성(non-stationarity)을 갖는 장기 시계열자료에 대한 적용에는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정상성을 갖는 장기시계열자료의 오차보정을 위해 통계분포모수에 경향성을 부여하는 비정상성 분위사상법(NSQM, Nonstationary Quantile Mapping)을 적용하였다. NSQM 적용을 위한 확률분포로 수문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는Gamma 분포를 선정하였으며, 대상 시나리오는 CCCma (Canadian Centre for Climate modeling and analysis)에서 제공하고 있는 CGCM3.1/T63모형의 20C3M(reference scenario)과 SRES A2 시나리오(projection scenario)를 활용하였다. 한강유역 내 관측기간이 충분한 10개의 지상관측소로부터 강우량을 수집하였다. 또한 6월과 10월사이에 연 강수량의 65% 이상이 집중되는 한반도의 계절성을 반영하기 위해 홍수기(6~10월)와 비홍수기(11~5월)를 구분하였고, 기준기간(Baseline)은 1973~2000년, 전망기간(Projection)은 2011~2100년으로 구분하였다. 다양한 목표분포의 설정을 통하여 NSQM의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으며, 전망기간은 FF시나리오(Foreseeable Future Scenario, 2011~2040년), MF시나리오(Mid-term Future Scenario, 2041~2070년), LF시나리오(Long-term Future Scenario, 2071~2100년)의 3개의 구간으로 설정하여 기준기간과 전망기간의 연평균 강우량에 대한 경향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NSQM이 FF시나리오에서 330.1mm(25.2%), MF시나리오에서 564.5mm(43.1%), LF시나리오에서 634.3mm(48.5%)로 증가하는 전망결과를 나타내고 있었다. 정상성기법을 적용한 결과, 전망기간 중 전체적으로는 동일한 평균값을 갖는 목표통계모수를 사용한다고 하여도, 전망전반부에서 과다하고, 후반부에서 오히려 과소한 전망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비정상성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상당부분 개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형 양극성 장애 환자에서 리튬과 발프로산의 장기간 치료 효과에 대한 후향적 평가 : 2년 이상 치료받은 환자의 효과 비교 (Long-Term Treatment Response to Lithium and Valproate in Patients with Bipolar 1 Disorder Treated More Than 2 Years : A Retrospective Study)

  • 안성우;양소영;최유진;홍경수
    • 생물정신의학
    • /
    • 제23권4호
    • /
    • pp.185-192
    • /
    • 2016
  • Objectives Treatment response of bipolar disorders (BDs) to long-term mood stabilizers maintenance has not been well explored because of complicated clinical and treatment courses.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long-term clinical response of BDs to lithium and/or valproate in a naturalistic setting of a tertiary-care university-affiliated hospital. Methods Subjects were 65 patients with bipolar I (BD-I) disorders who had been treated with lithium and/or valproate for more than two years at single bipolar disorder clinic. Long-term response to the best treatment based on treatment algorithms and the current clinical standard of care was retrospectively evaluated using the Alda Scale and the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 for use in bi-polar illness (CGI-BP).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full responder and partial/non responder groups based on the total score of the Alda Scale with the cut-off score generated from the frequentist mixture analysis of the authors' previous study. Results The mean duration of treatment with the index medication was 69.2 months. Baseline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not different among three mood stabilizer groups (valproate, lithium, and combination groups). Twenty-on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ull responder group (32.3%). Treatment response assessed by the Alda Scale and CGI-BP scores was not different between lithium and valproate groups. The Alda Scale scores were well correlated with the CGI-BP scores (p < 0.05). Conclusions One third of the patients showed a full response to the long-term lithium and/or valproate treatment in BD-I. The degree of response was similar between lithium and valproate groups.

기계환기기 이탈의 성공과 관련된 생리적${\cdot}$심리적 요인에 관한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related to Successful Weaning from a Mechanical Ventilator)

  • 김조자;김화순;장연수;김은성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995-1005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successful weaning from a mechanical ventilat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 patients who received mechanical ventilation therapy for more than 3 days in intensive care units. Before the weaning trial, baseline data for following physiologic variables were obtained: spontaneous respiration rate, blood pressure, pulse rate, PaO2, PaCO2, PEEP, static compliance, minute ventilation, tidal volume, rapid shallow breathing index(f/VT), SaO2, PaO2/FiO2 and mean arterial pressure. During spontaneous breathing, physiologic and psychologic variables such as vital signs, ABG, perspiration, chest retraction, paradoxical respiration, dyspnea, anxiety, confidence and efficacy were measured. Successful weaning was defined as sustaining spontaneous respiration over 24 hours after extubation. Weaning failure was defined as the development of more than one of following signs: (1) hypoxemia, (2) CO2 retention or (3) perspiration, tachypnea, chest retraction, tachycardia, arrhythmia, hypotension or hypertension. Subjects (N=18) who successfully weaned from mechanical ventilator were compared with subjects (N=4) who fail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Eighteen percents of the subjects failed during the weaning trial. Most subjects in the failed group were mechanically ventilated for long-time. This result shows that the success of weaning is more difficult in long-term ventilation patients. In the baseline data that was measured before weaning trial, the mean score of PaO2 in the successfully weaned group was 121mmHg. Thi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mean score of PaO2 in the failed group(95mmHg). However, the scores of pH, tidal volume, f/VT, pulse rates, blood pressure, mean airway pressure, SaO2, and PaCO2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Specially the scores of f/VT index as a predominant predictor for successful weaning were not significant (f/VT=44.4) and (f/VT=47). During spontaneous breathing, the scores of dyspnea and anxiety level in the successfully weaned group were less than those of the failed group. On the contrary, the scores of confidence and efficacy in the successful group were greater than those of the failed group. In conclusion, the baseline data that were measured before weaning trial were similar between the both groups, therefore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focus on searching other variables besides physiological parameters related to weaning outcome.

  • PDF

18개월간 자일리톨 껌 저작에 따른 Streptococcus mutans의 집락 형성 억제효과 (Inhibitory effects on colonization of Streptococcus mutans by eighteen months xylitol consumption)

  • 박지혜;안상헌;구효진;최연희;송근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375-382
    • /
    • 2010
  • 본 연구는 임신 및 수유기간 동안 구강위생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는 임산부에 있어서 장기간의 자일리톨 섭취가 Streptococcus mutans(S. mutans) 집락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임산부구강건강 예방프로그램에 대상자를 자발적으로 모집하여 두 군(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눈 후 18개월간 추적 조사하였다. 자극성 타액은 오후시간(1:00-3:00 p.m.)에 초기, 6개월, 12개월 및 18개월에 채취하였다. 구강보건행태(잇솔질 횟수와 정기구강검진)에 관한 정보는 설문지를 통해서 얻어졌다. 타액 내 자일리톨군의 연구기간에 따른 S. mutans 평균집락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특히 연구초기에 비해 출산 후 6개월, 12개월 및 18개월 모두에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연구초기에 비해 출산 후 18개월에서만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자일리톨의 장기적인 섭취는 구강 내 S. mutans 집락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임산부들에 있어서도 치아우식증 예방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AR 위성 영상을 이용한 도심지 지반 침하 모니터링 연구 (Ground Settlement Monitoring using SAR Satellite Images)

  • 유충식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55-67
    • /
    • 2022
  • 본 본문에서는 합성개구레이더(synthetic aperture radar) 위성 영상 이미지 분석을 통해 지표 침하를 측정하는 기술, 즉 합성개구레이다 간섭기법(InSAR, interferometric synthetic aperture radar)의 기본 이론 및 도심지 지표 변위 측정에 대한 적용성 검토 연구 내용을 다루었다. 먼저 InSAR 기법에 대한 기본 이론과 함께 기존 연구 동향을 제시하였으며 아울러 다중시기 SAR 영상을 이용한 시계열 분석 기법 중 SBAS-InSAR(SBAS-InSAR, Small Baseline Subset Interferometric SAR) 및 PS(Persistent Scatterers)-InSAR 기법을 연구 대상 지역에 적용하고 2014년~2021년 사이에 발생한 지역적 지반 침하를 평가하여 InSAR 기법의 도심지 지반 침하 모니터링에 구체적인 적용 가능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검토 결과 InSAR 기법은 연구대상 지역에서 발생한 시계열 침하 및 광역대 침하발생 경향을 현실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아울러 SAR 영상을 이용한 시계열 간섭기법은 SAR 위성이 지구를 공전하면서 일정한 시간간격으로 한반도의 영상을 제공하므로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지반침하 모니터링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향후 재방문 주기가 짧은 SAR 위성에서 촬영된 고해상도 SAR 영상이 활성화될 경우 InSAR 기법은 기존의 계측 기법을 대체하는 4차 산업 기술 기반의 광역대도심지 지반침하 모니터링 기술로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Attention-long short term memory 기반의 화자 임베딩과 I-vector를 결합한 원거리 및 잡음 환경에서의 화자 검증 알고리즘 (Speaker verification system combining attention-long short term memory based speaker embedding and I-vector in far-field and noisy environments)

  • 배아라;김우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7-142
    • /
    • 2020
  • 문장 종속 짧은 발화에서 문장 독립 긴 발화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I-vector 특징에 기반을 둔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원거리 잡음 환경에서 녹음한 데이터에서 Probabilistic Linear Discriminant Analysis(PLDA)를 적용한 I-vector와 주의 집중 기법을 접목한 Long Short Term Memory(LSTM) 기반의 화자 임베딩을 추출하여 결합한 화자 검증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LSTM 모델의 Equal Error Rate(EER)이 15.52 %, Attention-LSTM 모델이 8.46 %로 7.06 % 성능이 향상되었다. 이로써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이 임베딩을 휴리스틱 하게 정의하여 사용하는 기존 추출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PLDA를 적용한 I-vector의 EER이 6.18 %로 결합 전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다. Attention-LSTM 기반 임베딩과 결합하였을 때 EER이 2.57 %로 기존보다 3.61 % 감소하여 상대적으로 58.41 % 성능이 향상되었다.

GFRP 슬래브 교량의 장기성능 평가 (Long-Term Performance Evaluation of a GFRP Slab Bridge)

  • 지효선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4권3호
    • /
    • pp.349-360
    • /
    • 2012
  • 본 논문은 GFRP 슬래브 교량 상부구조에 대한 장기성능, 내하력, 사용성 및 구조적 안전성의 상세한 평가를 기술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완전 GFRP 슬래브 교량이 2002년 5월에 가설되었다. GFRP 슬래브 교량은 단순지지로 지간 10.0 m, 폭 8.0 m 인 2차선으로 설계되었다. 본 GFRP 슬래브교량은 콜루게이트(corrugate) 심재를 갖는 샌드위치 구조로서 유리섬유와 비닐 에스테르를 사용하여 수적층으로 제작되었다. GFRP 슬래브 교량의 장기성능 평가는 2002년 수행되었던 동일한 현장재하시험으로 2004, 2011년에 실시되었다. GFRP 슬래브교량은 예상되었던 대로 공용 중에서 구조적 문제점이 없이 성능이 잘 발휘되고 있었음을 평가를 통하여 나타내고 있다. 본 평가 자료는 GFRP 슬래브 교량의 내하력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와 완전 GFRP 슬래브교량 상부구조의 장기성능의 일부자료로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