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al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19건 처리시간 0.022초

군집분석을 통한 경상남도.전라도 별서의 입지적 특성 (Locational Characteristic of Byeolseo in Gyeongsangnamdo.Jeollado by Cluster Analysis)

  • 이경은;안계복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7-45
    • /
    • 2012
  • 별서는 세속을 피하고 은둔전원생활을 위해 수려한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다양한 장소에 입지하였다. 본 연구는 경상남도와 전라도 지역 별서의 입지유형을 분류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경상남도 52개소 전라도 44개소 총 96개소 별서의 복합적인 입지특성을 조사하고, 다음으로 별서의 입지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입지특성을 유사한 성격을 가진 몇 개의 군집으로 집단화하는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상남도와 전라도의 입지유형이 각각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경상남도는 '산계형', '절벽형'이, 전라도는 '평지형', '강변 구상형'이 각기 다른 유형으로 '구상형'과 '곡강형', '강변 기타형'은 공통된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 가운데 경상남도는 절벽형이 30.8%, 산계형이 15.4%로 전체의 46.2%가 '강가의 절벽'이나 '산계'에 입지하고 있어 가장 대표적인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으며, 경상남도와 달리 전라도는 평지가 18.2%, 강변 구상형이 18.2%, 구상형이 38.6%로 전체의 75.0%가 '평지'나 '강가의 언덕 위' 또는 '언덕 위'에 입지하고 있어 전라도 지역의 대표적인 입지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입지특성은 지역의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주변의 자연경관을 활용하여 입지함을 알 수 있다.

韓國 纖維工業의 技術變化와 立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chnological and locational changes of textile industry in Korea)

  • 김선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
    • /
    • pp.37-59
    • /
    • 1988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technological changes on locational changes on the assumption that technological changes cover over all industrial sectors. The study is carred on 1) To investig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technological and locational changes and their problems. 2) To investigate the location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textile industry. 3) To investigate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regional variations in technological level. 4) To the relationship of the technological change to the location of the textile industries. The locational change of the Korean textile industries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economic characteristics. In the begining stage of development in the 1950's, thetextile industries were largely concentrated in the major cities(Seoul, Pusan, Taegu, Masan et. al.). In the growing stage of development in the 1960's, the textile industries were relocated in suburban areas with the trend of large corporations building their branch plants of chemical fibers in the suburbs. With the expansion in the export industry in the 1970's, the textile companie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Bu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R&D) activities caused the textile industries reconcentrate around Seoul and Pusan, owining to the change of the economic environments in the 1980's. The 1980's have witnessed the increased R&D investment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new and value-added products. This was because the technological level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aegu and Other regions. What is more, plant birth location and branch plant location support that locational changes of textile industry were caused by technological changes. Plant birth location put stress technological environments of region, compared with branch plant locaiton. Accordingly, the technological changes of industry can be an important factor in locational changes.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locational changes come from technological changes. Other locational factors influence the industrial locations, but regional variations in technological level which has been relatively ignored has to be considered on the location study. Together with the accomplishments of existing location study, the study on technological change and location can better explain the location phenomena. And further research on technological change and location can provide better policy implicat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 PDF

GIS 기법을 활용한 편의점의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송파구를 중심으로 - (An Application of GIS Technique to Analyze the Location of Convenience Stores : The Case of Songpa Gu , Seoul)

  • 이희연;홍의택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03-121
    • /
    • 1995
  • 본 논문은 GIS 기법을 활용하여 소매업의 새로운 형태인 편의점의 입지를 분석한 것이다. 편의점과 같이 점포 운영을 위한 최소요구치가 매우 작은 소매업의 경우 전통적인 계향적 기법을 적용하여 입지를 분석하는데는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편의점의 입지에 영향을 주리라 예상되는 통행량, 접근성, 가시성, 그리고 제한적 요인들을 선정하여 송파구를 연구대상으로 편의점이 입지할 수 있는 가설적 지구를 추출한 후 실제 편의점의 입지와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실제 편의점의 83% 정도가 가설적 입지가능지구에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 본 연구의 제한점과 GIS기법을 활용하여 입지를 분석에서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자료구축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 PDF

커피전문점 생존 및 폐업 분포의 군집 유형별 생멸 특성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Survived and Closed Coffee Shops by Spatial Cluster Type)

  • 박소현;어정민;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8-424
    • /
    • 2020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소재지별 지가 속성을 토대로 생존하여 영업 중인 커피전문점과 폐업한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공간 군집화를 시도하고, 군집 유형별 토지 특성(지가 및 필지 정보), 교통 요인(물리적 접근성)과 점포 속성(프랜차이즈 정보, 소재지별 동종업종의 개·폐업 경험), 공간 밀집도(커널 밀도 추정) 등 다양한 입지 특성을 통해 커피전문점의 생멸 분포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영업 중 및 폐업한 커피전문점의 공간 군집은 일반적 입지분포형, 주거지역의 상업화형, 상업중심지 입지형 등으로 유형 구분하고, 군집 유형별 입지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군집 결과, 영업 중 및 폐업한 커피전문점의 입지는 같은 유형으로 분류되더라도 서로 다른 공간 분포 양상을 나타내고, 입지 유형이 달라도 특정 핫스폿에서는 모두 높은 밀집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커피전문점 창업을 비롯해 지역별 상권정보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관광호텔의 호텔특성 및 입지특성에 따른 에너지사용량 분석 (Analysis of the Energy Consumption of Tourism Hotels in Relation to Individu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 박혜란;김현수;최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2권4호
    • /
    • pp.571-579
    • /
    • 2022
  • 본 연구는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관광호텔을 대상으로 에너지사용량과 이들의 개별적인 호텔특성 및 입지특성 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복합적인 관계식 도출을 위해 다중회귀모형에서부터 다수준회귀분석(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으로 모형을 확장하였고, 이를 통해 건축물의 개별적인 특성만을 고려한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나아가 호텔이 위치한 지역의 입지적 특성과 호텔-지역 간 위계적 구조를 고려하여 좀 더 개선된 모형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호텔의 규모, 연한, 서비스 등급과 같은 개별적인 특성은 에너지사용량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이고, 그들의 영향은 지역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심상업지에 인접하거나 다수의 관광호텔이 밀집한 지역에 위치할수록 에너지사용량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입지특성 또한 개별호텔의 에너지사용량을 설명함에 있어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건축물단위의 에너지정책과 소비수준이 높고 에너지 집약시설이 밀집한 지역에 대한 지역단위의 에너지정책이 함께 고려될 필요성을 시사하며, 관광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지역적 책임을 제언한다.

전철역 입지특성이 예측된 수요와 실제 수요 간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Impact on the Discrepancy between Predicted vs. Actual Demand of Rail Transit)

  • 어유라;강명구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1D호
    • /
    • pp.133-139
    • /
    • 2011
  • 대도시권과 주변도시간 교통 혼잡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광역전철의 공급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전철역의 이용객수가 수요예측에 미달되는 역이 있는 반면 몇몇 역에서는 너무 많은 이용객으로 인해 대합실에서의 혼잡이 야기된다. 수요예측과 실제 이용객수와의 차이는 10%에서 1,000% 이상까지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철역에 따라 실제 이용객수와 수요 예측간 차이가 나는 원인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지난 10년 동안 수도권에 개통된 광역전철역 40개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더 정확한 예측을 위해서, 주중 출퇴근 중심의 외생적요인 뿐만 아니라, 종착역여부나 관광특성 등 입지특성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입지특성 요소가 누락된 수요예측 방법이 현재 모든 역에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향후 수요예측에서는 입지특성을 고려한 방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Space Syntax를 이용한 농촌어메니티 강화 및 저해요소의 입지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Amenity/Disamenity Elements in Rural Villages by the Space Syntax Method)

  • 임창수;최수명;고영배;김상범
    • 농촌계획
    • /
    • 제15권1호
    • /
    • pp.1-13
    • /
    • 2009
  • This study tried to establish a renewal guideline for rural villages through the analysis on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amenity/disamenity elements. Space Syntax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amenity/disamenity elements in qualitative terms.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5 steps: Selection of amenity/disamenity classification table and case study villages(used same ones as in the previous study) ${\rightarrow}$ Drawing of base-map for spatial analysis ${\rightarrow}$ Preparation of final study-map after field survey ${\rightarrow}$ Spatial analysis using the Space Syntax Method ${\rightarrow}$ Proposing of a rural village renewal guideline. Through the application study to the case study villages, it was ascertained that the renewal guideline proposed in this study would well help reflect spatial characteristics of amenity/disamenity elements in plan-making works of rural villages.

공연예술 산업의 입지 특성과 지역 경제경관의 연계성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 Industries and the Linkages with the Local Economic Landscape)

  • 이수영;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437-456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예술 산업의 입지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지역 경제와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공연예술 산업이 가장 집중되어 있는 서울을 대상으로 소비자가 관련시설이 있는 장소를 방문해야 하는 소비의 유사성을 지닌 갤러리와 영화 상영관의 각 사업체의 주소자료를 이용하여 커널밀도분석과 공간적 자기상관성(Spatial Autocorrelation)분석을 실시한다. 특히 LISA(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를 적용하여 국지적 핫스팟을 확인한다. 분석 결과 갤러리와 영화 상영관의 분산 분포와 달리 공연장은 대학로 일대를 중심으로 응집된 단일 핫스팟이 나타난다. 대학로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공연장 밀집지역에는 공연예술 산업의 가치사슬을 구성하는 다양한 활동들이 인근에 밀집분포하며 공연예술 산업의 클러스터를 형성하는 입지적 특성이 파악된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공연장의 분포를 설명하는 경제활동을 파악하여 지역 경제경관과의 연계성을 분석한다.

  • PDF

기상조건과 입지특성이 공공자전거 이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Impact Analysis of Weather Condition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n the Usage of Public Bike Sharing System)

  • 이장호;정경옥;신희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94-408
    • /
    • 2016
  • 본 연구는 효율적인 공공자전거 도입과 운영을 위하여 기상조건과 스테이션 입지특성이 공공자전거 수요 및 이용패턴에 영향을 파악하고자 고양시 공공자전거 대여자료를 가지고 선형회귀분석방법을 통해 시간대별 대여량 모형을 구축하였다. 기상조건에 따른 영향은 평균 기온이 상승할수록 대여량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수량이 10mm 이상 되거나, 평균기온이 29도 이상으로 높아지는 경우, 풍속이 7m/s 이상 되는 경우에 대여량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입지특성에 따른 영향은 새벽시간대는 유흥가가 위치한 중심상업지역이, 낮 시간대에는 공원지역과 중심 및 일반상업 지역의 대여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교시간대는 학교인근 스테이션의 대여량이 증가하고, 퇴근시간대는 지하철역 인근의 대여량이 두드러지게 높아진다. 심야시간대에는 공원지역에서의 대여량이 두드러졌다.

김해군 장유면의 공업입지와 지역적 연계 (Location and Linkages of Manufacturing in Jangyu-Myun, Kimhae-Gun)

  • 임영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99-120
    • /
    • 1998
  • 1980년대부터 부산시에서 분산된 공업의 입지가 활발한 경상남도 김해군 장유면의 공업화 과정, 공업 입지요인, 지역적 연계를 구명하였다. 장유면의 공업입지는 주로 1980년대이후 중심도시인 부산시로부터 분산한 소규모 외향성 공업이 용지 확보, 원료공급처나 모기업과의 접촉, 기업주의 접촉경제면에서 유리한 장유면에 입지 함으로서 이루어졌다. 부산시에 인접한 관계로 입지변동에 따른 지역적 연계의 변화는 크지 않았다. 독과점 상태로 공급되는 원료를 거리와 관계없이 구입하여 제품의 특성 때문에 근거리, 특히 부산시에 입지한 모기업에 출하하는 하청업체로 존재하고 있다. 조직형태, 규모, 업종에 따라 입지요인과 지역적 연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조직형태와 규모면에서 만 입지속성과의 관련성이 발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