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al Assessment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6초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환경 영향 및 시공간적 입지 특성변화 분석 (Temporal-spatial Analysis of Environmental Impact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for Industrial Complex Projectsin South Korea)

  • 최현진;박지현;박종윤
    • 환경영향평가
    • /
    • 제30권5호
    • /
    • pp.317-327
    • /
    • 2021
  • 산업단지는 국내 경제성장에 큰 역할을 담당해왔으나, 대단위 면적 개발사업 및 제조업 관련 산업시설의 집적지로서 조성 및 운영 과정에서 다양한 환경문제를 초래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2019년간 이루어진 국내 산업단지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활용하여 산업단지 개발 동향 및 입지 특성의 변화, 산업단지 개발로 야기되는 환경 영향을 파악하였다. 특히 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산림 훼손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산업단지와 도심지역과의 인접 정도 및 노출 인구의 변화를 정량적으로 도출하여 이를 통한 입지 특성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대상 기간 내 국내 산업단지의 개발은 지속적인 감소 추세에 있으며, 주요 개발지역은 경기, 경남 및 경북, 충남 및 충북으로 확인되었다. 산업단지 개발로 인한 평균 산림 훼손 면적은 감소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단지의 영향권 내 주거시설 및 민감계층 이용시설 분포현황과 노출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비교적 장기간에 걸친 국내 산업단지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 결과를 토대로 개발사업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을 분석하고 특히, 입지 특성변화를 정량적·시계열적으로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역학과 환경보건: 공간위치정보 활용에 대한 고찰 (Spatial Epidemiology and Environmental Health: On the Use of Spatially Referenced Health and Environment Data)

  • 한대권;황승식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1
    • /
    • 2011
  • Recent advances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spatial statistical and analytical methods, along with the availability of spatially referenced health and environmental data, have created unique opportunities to investigate spatial associations between environment exposures and health outcomes at multiple spatial scales and resolutions. However, the increased use of spatial data also faces challenges, one of which is to ensure certainty and accuracy of locational data that meets the needs of a study.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s the use of spatially referenced data in epidemiologic studies, focusing on the issue of locational uncertainty generated from the process of geocoding health and environmental data. Primarily, major issues involving the use of spatially referenced data are addressed, including completeness and positional accuracy, potential source of bias and exposure misclassification, and implications for epidemiologic studies. The need for critical assessment and caution in designing and conducting spatial epidemiology studies is briefly discussed.

관리지역 내 개발사업에 대한 환경성 평가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Development Projects within Management Zones)

  • 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4-127
    • /
    • 2010
  • This study aimed at reviewing the case examples of environmental assessment of development projects within management zones, identifying problems and improvement opportunities and suggesting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management zones that are increasingly segmented Findings showed that first, the assessment of environment soundness in management zones must incorporate the national land environmental map and wide-area ecological axe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econd, regarding development activities in management zones, rather than an issue of simply destroying natural environment in a development site itself during a development period, an issue of permanently isolating ecosystems from surrounding areas in a mid/long-term perspective and continually polluting water in mid-stream/upstream regions where sites are located must be considered. Third, in the case of development projects with vast areas, existing plant communities will be disturbed and the naturalness of vegetation will gradually decline due to foreign tree species introduced for landscape architecture. Therefore, creating buffer forests at forest boundaries and planting native tree species that are same as nearby tree species must be examined. Last but not least, when assessing the environmental soundness of management zones, it would be crucial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environmental, social and locational features of management zones, including surrounding areas, and se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assessment accordingly.

도시관리계획수립을 위한 토지적성평가시스템 구축 -진주시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of Land Use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for Establishing Urban Management Plan - Focused on Jinju City -)

  • 유환희;김성삼;구흥대;정동기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1-318
    • /
    • 2004
  • The Land Use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was recently introduced by the $\ulcorner$Act on Planning and Utiliza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lrcorner$ to use, manage, and develop the national territory, which integrated the National Land Use and Management Act and the Urban Planning Act. It provides a guideline for classifying land use into 5 classes according to locational characteristics, usability, and developmental conditions of land in the vicinity. The database is constructed with LMIS cadastral data, posted land price data, and data of related agencies such as the Korea Forest Service,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etc. After the database construction, individual parcels are analysed by steps and classified into 3 sub areas - conservation, agriculture, and development using GIS. In this paper we evaluate land use suitability for individual parcels by constructing the Land Use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for Jinju city. Therefore, we suggest that this system provides vital data in the urban management planning process.

  • PDF

시설농업의 입지현황 및 특성 분석 (Assessment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otected Cultivation Facilities)

  • 황한철;이남호
    • 농촌계획
    • /
    • 제4권1호
    • /
    • pp.86-97
    • /
    • 1998
  • It is neceesary to evaluate the location suitability of protected cultivation facilities to guide reasonable protected cultivation. The evaluation system could help plan new protected cultivation facilities in rural areas. In this study, an assessment was made for the facilities located in three different selected regions: suburban, plain, and mountainous. The assessment was performed based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otected cultivation facilities such as land category, size of protected cultivation facilities, land shape, stoniness, land consolidation level, soil drainage, land slope, topography, effective soil depth, zoning or not of agricultural development area, irrigation and drainage condition, distance from roads, and so forth.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ocational characteristics among the three regions.

  • PDF

정준상관분석을 통한 내장산국립공원 산림식생구조의 입지환경 평가 (Assessment of Sit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in Naejang-san National Park Using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 김태근;조영환;오장근
    • 생태와환경
    • /
    • 제46권4호
    • /
    • pp.561-56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내장산국립공원의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식생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환경 요소를 평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식생의 구조변수로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 흉고직경, 수고로 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입지환경요소로 해발고도, 지형경사, 사면방향, 토양 수분조건, 지형적 위치, 그리고 일사량으로 하여 상호 관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정준상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입지환경 특성과 식생구조 특성의 단순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상관계수가 0.6 미만으로 낮게 나타나고 상관성 방향을 보면 주로 고도가 높은 능선지역에 수분이 많고 태양복사량이 많을수록 LAI값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와 달리 경사가 급하고 동쪽사면에서 북쪽사면으로 갈수록 LAI값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흉고직경은 고도가 높고 경사가 급할수록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나고 수분함유량과 태양복사에너지량이 많을수록 흉고직경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고는 수분이 많고 능선지역에 가까울수록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다양한 상관성은 국립공원의 다양한 입지환경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되고 식생구조변수는 단일요소가 아닌 복합적인 입지환경 요소에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식생구조에 입지환경요소의 복합적인 영향을 정준상관분석 방법을 수행한 결과 식생구조에 미치는 입지환경의 영향은 일사량이 적고 수분이 적은 고도가 높을수록 흉고직경 및 수고는 작아지고 LAI 커지는 관계성이 나타났다. 비록 산림 식생구조에 미치는 기후를 포함한 다양한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만 산림지역에서 일사량 및 수분조건이 열악한 고지대의 환경에서 적응할 수 있는 식생구조 특성을 통계적으로 유추해 보는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유도된 결과는 DEM기반의 입지환경 요소는 산림 식생 구조의 다양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고, 국립공원에서 산림식생구조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효과적인 공원관리대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규모 개발이 수반되는 행정계획 사전환경성검토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온천공보호구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PERS) in a Administrative Plan & Program Including a Small-Scale Development - Focus on Hot Spring Hole Wildness -)

  • 김정현;김임순;한상욱
    • 환경영향평가
    • /
    • 제17권3호
    • /
    • pp.167-176
    • /
    • 2008
  • Korea has made the rapid economical development under the condition with the high population density and low available land. In this context, conservation of land environment, connected directly with living quality of human, has mostly ignored. Prior Environment Review System(PERS) is the one to investigate the locational validity, environmental impacts, harmony with surrounding environment, from the early stage of administrative plan or development project. PERS was amended to include SEA(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 system on June 1, 2006. But, several problems, including the loss of administrative ability, cost, and time, have been appeared, since the system is applied to all administrative plans without any distinction and plans or projects are delayed generally. In this study, the weaknesses of PERS were indicated through the comprehensive analysis including literature survey, study of legal and internet database, and the recently published PERS reports. Based on that, the improvement schemes were suggested to be harmonized with the nature of SEA. This study was mainly focused on a PERS for the designation of conservational area of hot-spring wells, conducted by authors.

지역대표도서관 입지환경 평가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Location Environment of a Regional Central Library -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

  • 유재우;김신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27-450
    • /
    • 2015
  • 이 연구는 대구 대표도서관의 입지선정을 위한 평가요소와 지표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여건, 물리적 여건, 경제적 여건, 사업시행 여건 등 4개 영역에 12개의 평가요소를 제시하였으며, 전문가집단의 입지 평가 요소에 대해 가중치에 대한 검증을 토대로 7개의 대구 대표도서관 건립 후보지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입지에 대한 연구진의 자체평가 결과에 대해 전문가집단의 검증평가를 실시한 결과 평가 일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지역대표도서관 및 공공도서관의 입지를 선정하는데 객관적인 평가기준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신뢰도측면에서의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발전설비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al generator assessment in the reliable aspect)

  • 이승현;정구형;한석만;김발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력기술부문
    • /
    • pp.183-185
    • /
    • 2006
  • 전세계적으로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시 지역별 수급계획이 현안사항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지역간 수급 불균형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기존의 전력수금기관계획에서는 발전사업자들이 제출한 건설의향평가서를 평가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뢰도측면 (LOLP)측면에서 지역별 특성을 고려한 발전설비평가방안에 관하여 논하고자 한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경쟁시장내의 수요자원입찰을 고려한 모선별 한계가격의 구성요소산정 기법 (Calculation for Components of Locational Marginal Price considering Demand-Side Bidding in a Competitive Electricity Market)

  • 김현홍;김진호;박종배;신중린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57권7호
    • /
    • pp.1157-1166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new approach for the evaluation of location marginal prices (LMPs) considering demand-side bidding (DSB) in a competitive electricity market. The stabilization of the electric power supply and demand balance is one of the major important activities in electric power industry. In this paper, we present an analytical method for calculation of LMPs considering DSB, which has opportunity to compete with generating units, as England & Wales Pool's DSB scheme[1]. Also, we propose a new approach that LMP considering DSB is divided into three components. The proposed approach can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demand-side bidding into the electricity market and the assessment of the influence of DSB on total production costs and LMPs as well as three compon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