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water management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25초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환경관리방안의 모색 - 청주시를 중심으로 - (Environmental Management towards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of Chongju City)

  • 이종호
    • 환경영향평가
    • /
    • 제4권2호
    • /
    • pp.131-149
    • /
    • 1995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alternative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towards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of Chongju city in Korea. This study analyses urban environmental indicators (population density, land use, road, park, car, etc.), level of air and water pollution and solids waste generation by comparing Chongju city and other large cities. Some alternatives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in Chongju city would be summerized and suggested as higher concentrated land use(compact city), mixed land use, supply of mass transit, establishment of regional environmental standards, total emission regulation of air and water pollutants, the preparation of Local Agenda21 of Chongju, and the introduction of strategic environmental assessment(SEA) into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PDF

다목적하에서 지역 산업의 최적 구조조정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Optimal Structure Control of Local Industry under Multiobjective)

  • 남현우;이상완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40
    • /
    • 1998
  • In this study, we have developed algorithms to find more effective solutions for compensatory decision-making problems in the case of the decision maker with fuzziness which can occur in a real world fuzzy environment. We have applied the algorithm to the problems related to the structural reform of the capital and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local industry. We have selected Taegu city for this study. In this study, we have determined the capital and the number of workers, satisfying maximum productivity and minimum air and water pollution under the constraints such as capital-labor ratio, the demand for land and water and the fluctuation of the capital and the number of workers. The determined capital and the number of workers could improve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aegu city and could be utilized as criteria for the compilation of the budget, determination of policy for supporting plan of companies, the forecast of number of workers and the training plan of workers.

  • PDF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Water Source Protection Areas for Indirect Intakes

  • Choi, Ji-Yong;Hwang, Dae-Ho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231-237
    • /
    • 2010
  • With increased chem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activities in upstream areas, the amounts of pollutants released have increased, and as such, so has the need for positive management of water supply source areas. Although more than 90% of the water supply sources in Korea depend on direct intake from surface water, the interest in indirect intake, such as riverbank filtration water, has recently risen, with some local governments currently undertaking indirect intake. Even in cases of indirect intake, water supply source protection zones need to be assigned for the comprehensive control of pollutants. To establish water quality protection zones for indirect intake, the scope of the protection zones needed to reflect the hydrological features of the water-bearing deposits of each site. Water source protection areas were estimated and presented as the 1st (within a 100 m radius from an intake well) and 2nd (within a 2 km radius from an intake well) zones. The 1st zone was more sensitive; hence, the installation of various facilities should be prohibited, and the area should be regarded as off-limits. For the 2nd zone, appropriate management should prohibit and restrict activities already present in the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농촌유역의 수질예측을 위한 BASINS의 적용 - HSPF모형을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BASINS for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in rural watersheds - on HSPF model -)

  • 함종화;윤춘경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03-407
    • /
    • 2001
  • For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of stream and lake, it is important to estimate and control nonpoint source loading to meet the water quality standard. So,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is required. BASINS is a multipurpose environmental analysis system for use by regional, state, and local agencies in performing watershed and water quality based studies. BASINS was developed by the USEPA to facilitate examination of environmental information, to support analysis of environmental systems and to provide a framework for examining management alternatives. BASINS contains HSPF which is one of the watershed runoff model. By using HSPF, nonpoint source loading from upper stream watershed was estimated. As a result, the simulated runoff was in a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and indicated reasonable applicability for whole watershed.

  • PDF

국가 지하수 정보 종합관리 체계의 구축과 활용(II) - 두레박 프로그램과 지하수세상 홈페이지 -

  • 손영철;김규범;최영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70-274
    • /
    • 2000
  • We have developed the computer system with MOCT which is called "The Integrated National Groundwater Information system" since 1995 and now begin to supply the database and related informations for ground water by internet homepage. The integrated system is composed of four sub systems which are "Groundwater Information System", "DUREBAK", "Hydrogeologic Map Management System" and "Groundwater World Homepage". The local government offices use the "DUREBAK" program to manage the well development and maintenance. About 1,000,000 wells are managed in "DUREBAK" program and they submit the well database to MOCT every year. And now everyone can obtain the well data and other informations through internet homepage. We have set the standard process of data acquisition and management for ground water last four years.s of data acquisition and management for ground water last four years.

  • PDF

기후변화에 대응한 호주의 물관리 정책과 시사점 (Australia's Water Management Policies and Implication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이종욱;박태선;이승연;이승오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12
    • /
    • 2020
  • 최근까지 무분별한 수자원 개발과 심각해지는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이 지속되면서 물관리 문제에 대해서 관심이 급증하였다. 국내와 유사한 환경 아래 국가 차원에서 일관되고 친환경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를 하고 있는 호주의 정책에 대한 분석과 사례검토가 필요하다. 호주는 강우량이 작고 건조하여 가뭄과 홍수가 반복되는 수자원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1890년대부터 이민자 정착으로 물분쟁이 시작되었다. 일찍이 수자원의 효율적인 분배를 위한 물관리 협약, 물 사용량 규제 프로그램, 연방물법 제정 등이 이루어졌고 현재는 개발과 보전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지는 물관리 체계를 이루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과거 수질은 환경부, 수량은 국토부가 담당하여 물관리의 주무부처가 이분화되어 업무의 중복, 과도한 투자, 비효율 등의 문제로 통합적인 물관리가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고자 2018년에는 물관련 기본법을 제정하는 등 물관리 기능이 일원화되면서 유역 단위 통합물관리 체계의 기틀이 마련되었고 2019년부터는 유역 단위의 통합물관리 체계를 수행하는 등 통합물관리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수자원 관리 효과를 도모하고 있다.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물관리를 위한 관리 정책 수립을 위해 여러 방안으로 강구해온 호주의 IWRM (Integrated Water Resource Management)와 우리나라의 현황과 사례를 비교해보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우리나라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수처리공정의 디지털 트윈 요소기술과 추진 전략 (Element Technology and Strategy of Digital Twin in the Water Treatment)

  • 조영만;정용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4-290
    • /
    • 2023
  • 국내 상하수도 시설들은 운전과 관리 인력의 노후화와 같은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가속화되고 있으므로 디지털트윈 기술이 유력한 관리 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 정수장의 디지털트윈 기술은 환경부의 지능형 하수처리, 일부 지자체에서 독자적으로 진행되는 사업 및 K-water 주관의 디지털 트윈 과제 등이 포함되지만, 적용 범위가 각 기관별로 상이하다. 이에 따라 정수공정에서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미래 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술표준화와 순차적 도입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부 스마트하수처리사업, K-water 지능형정수공정 구현사업, 지자체 사업 등 각 기관별로 추진되고 있는 디지털트윈 관련 기술에 대한 효율적인 추진 전략을 제공하는데 있다.

수변도시의 물순환 목표 산정 방안 연구 (Study on Estimation Method of Water Cycle Goal in Waterfront City)

  • 김재문;백종석;신현석;박경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75-487
    • /
    • 2020
  •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의 물관리 일원화로 인해 국민들의 물관리 및 물환경 보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기존의 단순 유출 및 비점오염원 관리를 위한 장치형 시설 및 함양지의 확대에서 유역 전반의 건전한 물순환 체계 구축으로의 물관리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이에 힘입어 유역 전반의 물관리에 대한 필요성은 지자체별 조례를 통해 기준을 확립하고 있다. 하지만 건전한 물순환을 위한 도시별 물관리 기준이 통일되지 않아 도시별 목표가 각기 다르고 대도시를 제외하고는 정량적 목표가 전무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자체별 물순환과 관련한 연구 및 조례를 정리하여 수변 지역의 도시를 대상으로 개발 이후에도 탄력적인 물관리가 가능한 물순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할 수 있는 정량적인 방안을 강우의 저장과 침투를 통해 제시하였다. 대상지의 전체 강우 분석을 통해 합리적인 수준의 물순환 목표를 설정하였고, 저영향개발 기법을 통해 최초 강우의 저장과 저장량을 초과한 강우에 대한 유역 전반의 침투를 통해 물관리를 계획하였다. 연구결과, 계획한 수변도시의 물순환 목표는 전체 강우의 52 %, 백분위수 비교를 통한 80 percentile의 강우 17 mm/day를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산정절차결과에 정량적으로 질을 높이기 위해서 추후에 저영향개발 요소의 안전성이나 적정제원선정 등과 같은 여러 변수들을 고려한다면 물순환 목표 산정에 신뢰도가 더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수관거시설의 침수대응 운영·관리 실태 연구 (I) (Survey on sewerage operation/management planning for flooding (I))

  • 류재나;황성환;오재일;현인환;김영란;김찬수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5-270
    • /
    • 2009
  • A nationwid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local authorities in operating and maintaining sewerage systems especially for urban flooding. The questionnaire includes the incidences of flooding since 1980, the existence of any guidance for preventing flood damage and the design frequency currently used for sewers in each local authority. Among 160 local authorities responded to the survey, 95(59.3%) has experienced flooding more than once since 1980 while only 36(37.9%) of the 95 has prepared operation/maintenance guidelines for flooding. Most of the respondents have applied the 10 year design frequency for sewer design and 57(35.6%) of them agreed to adjust the 10 year design frequency regulation.

수요관리에 의한 물수급변화 분석 (A Study of Water Budget Analysis According to The Water Demand Management)

  • 서재승;이동률;최시중;강성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11호
    • /
    • pp.797-80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물 사용관련 주요 지표인 1인1일 급수량을 이용하여 수요관리 추진 결과 분석 및 절감량을 산정하고, 수요관리를 통하여 발생하는 절감량을 물 수급전망에 연계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1인1일 급수량 분석결과 상수도 여건이 열악한 지자체는 상수도 보급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며, 장래용수수요량 추정시에도 이를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금강권역을 대상으로 수요관리 절감량을 산정하고 K-WEAP (Korea-Water Evaluation And Planning System)을 이용하여 물수지분석을 수행한 결과 하천유량 변화 및 지하수와 저수지저수량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이는 다른 용도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