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mapping

검색결과 370건 처리시간 0.026초

터널 막장 3차원 지형모델 상에서의 불연속면 자동 매핑을 위한 딥러닝 기법 적용 방안 (Deep Learning Approach for Automatic Discontinuity Mapping on 3D Model of Tunnel Face)

  • 추엔 팜;신휴성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3권6호
    • /
    • pp.508-518
    • /
    • 2023
  • 이 논문은 LiDAR 스캔 또는 사진측량 기술에 의해 재구성된 3D 디지털 모델을 기반으로 터널 벽면의 불연속면을 자동으로 매핑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안한다. 본 제안에서는 U-Net이라 불리는 딥러닝 시맨틱 영역분할 모델을 사용하며, 터널 막장면의 3D 지형 모델에서 불연속면 영역을 식별해 낸다. 제안된 딥러닝 모델은 투영된 RGB 이미지, 면의 깊이 이미지 및 국부적인 면의 표면 속성 이미지(즉, 법선 벡터 및 곡률 이미지)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종합 학습하여 기본 3차원 이미지에서 불연속면 영역을 효과적으로 분할한다. 이후 영역분할 결과는 면의 깊이 맵과 투영 행렬을 사용하여 3D 모델로 다시 투영시키고, 3D 공간 내에서 불연속면의 위치 및 범위를 정확하게 표현한다. 영역분할 모델의 성능은 영역 분할된 결과를 해당 지면 실측 값과 비교함으로써 평가하였으며, IoU(intersection-over-union) 값이 약 0.8 정도로 나타나 영역분할 결과의 높은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여전히 학습데이터가 제한적 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안 기법은 3D 모델의 점군 데이터를 불연속면의 유사군으로 그룹화하기 위해 전 막장면의 법선 벡터와 클러스터링과 같은 비지도 학습기반 알고리즘에만 의존하던 기존 접근 방식의 한계의 극복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초단주기 지표온도 위성자료와 다변량 공간통계기법을 결합한 산지 지역의 기온 분포 추정 (Estimating Air Temperature over Mountainous Terrain by Combining Hypertemporal Satellite LST Data and Multivariate Geostatistical Methods)

  • 박선엽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05-121
    • /
    • 2009
  • 지형 굴곡이 심한 하와이 화산섬의 경우, 측후소 분포가 매우 제한적이어서 공식적인 기온 분포도가 작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온 지도화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위성기반의 지표온도 자료로부터 기온추정치를 추출하여 내삽법에 필요한 입력자료로 사용하였다. 추출된 온도값을 표본값으로하여 거리 역비례 가중치법(IDW)과 공동크리깅 (cokriging)을 적용하여 기온추정치를 지도화하였다. 기온과 고도값을 함께 이용한 cokriging이 IDW에 비해 크게 향상된 추정 오차값을 나타내었다. Cokriging은 주 변수와 고도와 같은 추가 변수 간의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나타날 때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내삽법이지만, 내삽 정확도는 계절적인 기상조건에 민감하게 영향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강수량이 크게 증가하는 우기에는 건기에 비해 공간적인 기온변화가 크며, 이에 따라 기온 추정 오차값도 우기에 높게 나타났다.

풍수해보험 관리지도를 위한 보험 목적물 GIS DB 구축 (Implementation Method of Insurance Object GIS DB for the Storm and Flood Hazard Risks Premium Rate Mapping)

  • 이준석;이인수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5권2호
    • /
    • pp.87-100
    • /
    • 2015
  • 우리나라는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풍수해보험을 시행하고 있다. 풍수해보험은 국민안전처가 주관하며 민간보험사가 운영하는 정책보험으로 보험계약자가 부담해야 하는 보험료의 일부를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보조함으로써 국민이 저렴한 보험료로 예기치 못한 풍수해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선진국형 재난관리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풍수해보험 관리지도상의 보험요율 산정 시 필요한 보험목적물 GIS DB 구축과 피해율 산정과 GIS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구축한 풍수해 보험의 보험목적물은 단독주택, 공동주택, 온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우리나라 전역의 광범위한 데이터를 어떻게 구축하고, 이 데이터를 실제 시스템을 통해 어떻게 운영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축척 1/10,000 수치지도 제작 (1/10,000 Scale Digital Mapping using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 이병환;김정희;박경환;정일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23
    • /
    • 2000
  • 본 논문은 항공사진측량이 통제되고 있는 수도권 북부 지역 중 파주시 교하지역을 대상으로 러시아의 2m 급 고해상도 인공위성영상인 Alternative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1:10,000 축척의 수치지도제작을 위한 방법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이다. 주요 방법론으로는 MK-4(공간해상도 8m) 스테레오 위성영상으로 수치표고모델(DEM)을 추출하여 정사보정을 하였으며, GPS 측량을 통해 지상기준점(GCP)을 얻어 정밀한 기하보정을 하였다. 한편, 현장 지리조사로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각 레이어별 스크린 디지타이징을 하였으며 그 정확도는 평면위치에서 평균제곱근(RMS)오차가 ${\pm}0.4m$, 수직에서의 RMS 오차는 ${\pm}15m$였다. 따라서 평면위치 오차에 대해서는 NGIS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만족시키는 한편, 지리 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추가함으로서 도시계획을 위한 현황도 등으로 활용가치가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IS 기반 중첩기법을 이용한 소방서비스 취약지역 분석 (Vulnerability Analysis on Fire Service Zone using Map Overlay Method in GIS)

  • 이슬지;이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1-100
    • /
    • 2011
  • 소방서는 지역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중요한 공공기반시설로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적의 입지에 위치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접근성과 재난발생요소들을 고려하지 않는 소방서 입지는 편중된 소방서비스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재난안전 사각지대 해소 및 소방서비스의 균등한 제공을 위해 효율적인 소방서 입지를 위한 서비스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재난의 발생 기능성이 높은 취약지역을 최소화함으로서 효율적인 소방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소방 서비스 제공을 위한 기초연구로서, 화재 등 재난발생의 취약성을 나타내는 값을 색인화한 지도와 소방서의 서비스지역을 나타내는 지도를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중첩분석을 통해 서비스 지역을 나타내는 지도와 취약성을 나타내는 지도 사이의 공간적 분포의 불일치를 파악하고, 소방서비스의 취약지역을 도출한다.

대구시 지가의 시공간적 변화 탐색 (Exploring Spatio-Temporal Variations of Land Price in Daegu Metropolitan City)

  • 김강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4-432
    • /
    • 2012
  • 지가는 도시의 구조와 변화를 읽어 낼 수 있는 공간 텍스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구시를 대상으로 상세한 공간 및 시간 해상도를 갖는 지가의 시공간적 변화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여 공간구조 특성과 변동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95년부터 2011년까지 2년 단위 표준지 공시지가를 이용하여 지가면(land value surface)을 생성하였다. 시기별 지가분포 및 변동률 패턴을 비교하여 지구적 혹은 국가적 수준의 경기변동 및 정책변화, 국지적 수준의 지역개발과 관련된 의사결정이 도시공간구조 변화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 파악하였다. 또한 음지수모형을 이용하여 도심으로부터의 거리 변수가 지가 분포의 공간적 변이를 얼마나 설명하는지를 분석하여 교외화 추세와 도시구조의 다핵화 경향을 파악하였다. 상이한 수준의 공간 의사결정을 반영하는 지가를 이용한 도시 분석은 도시 내부구조 변화에 대한 보다 상세한 이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도시 및 지역개발 정책을 수립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Mapping the water table at the Cheongju-Gadeok site of the Korea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using multiple geophysical methods

  • Ju, Hyeon-Tae;Sa, Jin-Hyeon;Kim, Ji-Soo
    • 지질공학
    • /
    • 제27권3호
    • /
    • pp.305-312
    • /
    • 2017
  • The most effective way to distinguish subsurface interfaces that produce various geophysical responses is through the integration of multiple geophysical methods, with each method detecting both a complementary and unique set of distinct physical properties relating to the subsurface. In this study, shallow seismic reflection (SSR) and ground penetrating radar (GPR) surveys were conducted at the Cheongju-Gadeok site of the Korea National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to map the water table, which was measured at 12 m depth during the geophysical surveys. The water table proved to be a good target reflector in both datasets, as the abrupt transition from the overlying unsaturated weathered rock to the underlying saturated weathered rock yielded large acoustic impedance and dielectric constant contrasts. The two datasets were depth converted and integrated into a single section, with the SSR and GPR surveys conducted to ensure subsurface imaging at approximately the same wavelength. The GPR data provided detailed information on the upper ~15 m of the section, whereas the SSR data imaged structures at depths of 10-45 m. The integrated section thus captured the full depth coverage of the sandy clay, water table, weathered rock, soft rock, and hard rock structures, which correlated well with local drillcore and water table observations. Incorporation of these two geophysical datasets yielded a synthetic section that resembled a simplified aquifer model, with the best-fitting seismic velocity, dielectric constant, and porosity of the saturated weathered layer being $v_{seismic}=1000m/s$, ${\varepsilon}_r=16$, and ${\phi}=0.32$, respectively.

하계 대한해협 저층냉수의 물리.화학적인 특성 및 기원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Origin of Summer Bottom Cold Waters in the Korea Strait)

  • 김일남;이동섭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595-606
    • /
    • 2004
  • Hydrographic survey in the Korea Strait has long history that has begun in August 1917 at the Busan - Tsushima cross section, still continues to date. However, chemical properties of bottom cold water found exclusively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during summer did not receive much scientific attention. The aim of the study is to decipher the enigmatic origin of the Korea Strait Bottom Cold Water (KSBCW) in terms of chemical propertie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KSBCW are extracted from the CREAHS II hydrographic data. OMP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origin of the KSBCW quantitatively. The KSBCW is well defined by low temperature below $10^{\circ}C$. The cold waters exhibited the local presence near the coast at about 120m depth with a thickness of 20m to 30m. The cold water was characterized by relatively cold, saline and higher chemical concentrations than adjacent waters. The KSBCW seems to have different origin kom that of the coastal upwelled waters at the Ulgi-Gampo because it is saline, denser and contains considerably less dissolved oxygen than upwelled water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re reported to have noticeable annual variations which suggest the complex origin of the KSBCW. OMP analysis show that the KSBCW is a mixture of three water types; TMW (24%), ESIW (36%) and ESPW (40%). Relationship between the KSBCW and the east Sea circulation is traced by mapping the water masses that have similar T, S and DO of KSBCW. The result showed that the KSBCW is most possibly an extension of southward flowing coastal intermediate waters. Front these results, we expect that the monitoring KSBCW will provide us valuable information about the East Sea circulation.

수도권 대기 중 입자상 물질로 인한 건강부담 추정과 불확실성 (Uncertainty and Estimation of Health Burden from Particulate Matter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 하종식;문난경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75-286
    • /
    • 2013
  • It is well known that exposure to high level of PM (particulate matter) can adversely affect human health.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health burden of PM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exposed level of PM, and health level in local communities. And, there is scarcely methodical assessment of uncertainty for application to policies of these assessment results. The scope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wo parts: firstly to estimate the death burden of PM10 (particulate matter less then $10{\mu}m$ in diameter)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secondly to evaluate potential uncertainties in these estimates. To estimate the death burden of PM10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from 2005~2010, we firstly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mean PM10 and daily death counts in Seoul from 2000~2010, and calculated the death burden of PM10 using BenMAP (Environmental Benefits Mapping and Analysis Program). After that, we identified and characterized uncertainties to substantially influence the results of death burden. The daily mortality risk was increased 1.000227 times (p-value/0.001) associated with $1{\mu}g/m^3$ increase of daily mean PM10 for all ages population, Seoul. And, death burdens of PM10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were estimated from 5.51 in 2005 to 5.12 in 2010 per 100,000 people. Finally, we categorized context, model, and input uncertainty and characterized these uncertainties in three dimensions (i.e. location, level, and nature) using uncertainty typology. In our study, we argue that uncertainties need to be identified, assessed, reported and interpreted in order for assessment results to adequately support decision making,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ir quality standards based on health burden of air quality.

THE POTENTIAL OF SATELLITE REMOTE SENSING ON REDUCTION OF TSUNAMI DISASTER

  • Siripong, Absornsud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
    • /
    • pp.52-55
    • /
    • 2006
  • It's used to be said that tsunami is a rare event. The recurrence time of tsunami in Sumatra area is approximately 230 years as CalTech Research Group‘s study from paleocoral. However, the tsunami occurred in Indian Ocean on 26 December 2004, 28 March 2005 and 17 July 2006, because the earthquakes still release the energy. To cope with the tsunami disaster, we have to put the much effort on better disaster preparedness. The Tsunami Reduction Of Impacts through three Key Actions (TROIKA) was suggested by Eddie N. Bernard, the director of NOAA/PMEL (Pacific Marine Environmental Laboratory). They are Hazard Assessment, Mitigation and Warning Guidance. The satellite remote sensing has potential on these actions. The medium and high resolution satellite data were used to assess the degree of damage at the six-damaged provinces on the Andaman seacoast of Thailand. Fast and reliable interpretation of the damage by remote sensing method can be used for inundation mapping, rehabilitation and housing plans for the victims. For tsunami mitigation, the satellite data can be used with GIS to construct the evacuation map (evacuation route and refuge site) and coastal zone management. It is also helpful for educational program for local residents and school systems. Tsunami is a kind of ocean wave, therefore any satellite sensors such as SAR, Altimeter, MODIS, Landsat, SPOT, IKONOS can detect the tsunami wave in 2004. The satellite images have shown the characteristics of tsunami wave approaching the coast. For warning, satellite data has potential for early warning to detect the tsunami wave in deep ocean, if there are enough satellite constellation to monitor and detect the first tsunami wave like the pressure gauge, seismograph and tide gauge with the DART buoy can do. Moreover, the new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analyse the satellite data more faster for early warning proced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