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Mask

검색결과 150건 처리시간 0.025초

규칙에 기초한 마스크 레이아웃 변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ule-based Mask Layout Transformation System)

  • 이재황;전주식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30A권9호
    • /
    • pp.46-58
    • /
    • 1993
  • Owing to the nature of locality in mask layouts, it appears that most mask layout problems can be solved by transforming a part of the given mask layout into a better layout segment continuously toward a global suboptimal solution. This notion of local transformation addresses major weak points of existing mask layout processing systems, which lack both extensibility and unifiability. This paper attempts to elaborate upon developing a new rule-based mask layout transformation system wherein most of the mask layout problems can be solved under the unified framework of local mask layout transformation. The rule-based mask layout transformation system is applicable to various mask layout problems such as net extraction, mask layout compaction, mask layout editing, and design rule checking.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rule-based expert system approach is an efficient means of solving those mask layout problems, and thus confronting major drawbacks of existing layout processing systems.

  • PDF

AWGN 환경에서 국부 마스크를 이용한 에지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ge Detection using Local Mask in AWGN Environments)

  • 이창영;황용연;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801-803
    • /
    • 2014
  • 현대사회에서 영상처리는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영상처리 중에서 에지 검출은 대부분의 응용에서 필수적이다. 이러한 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연구가 국내를 포함한 해외에서 진행되어 오고 있다. 대표적인 에지 검출 방법에는 Sobel, Prewitt, Roberts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AWGN(additive white Gaussian noise)에 훼손된 영상에서 에지 검출 특성이 미흡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방법들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국부 마스크를 이용한 에지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모폴로지 연산과 국부 마스크를 이용한 에지 검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ge Detection Algorithm using Local Mask and Morphological Operation)

  • 이창영;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00-902
    • /
    • 2015
  • 현대사회에서 디지털 영상 처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에지 검출은 스마트 기기, 의료 등 여러 응용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기존의 에지 검출 방법에는 마스크를 이용한 Sobel, Prewitt, Roberts, Laplacian 등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구현이 간단하나 다소 미흡한 결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와 같은 기존의 방법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모폴로지 연산 및 국부 마스크를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기존의 방법들과 검출 성능을 비교하였다.

  • PDF

국부 마스크의 표준편차를 이용한 에지 검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dge Detection Algorithm using Standard Deviation of Local Mask)

  • 이창영;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8-330
    • /
    • 2015
  • 에지는 영상에 포함된 물체의 크기, 방향, 위치 등을 쉽게 획득할 수 있는 특징 정보이며, 에지 검출은 물체 검출, 물체 인식 등의 여러 영상 처리 응용 분야에서 전처리 과정으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의 에지 검출 방법에는 Sobel, Prewitt, Roberts 에지 검출 방법 등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에지 검출 방법들은 구현이 간단하며, 고정 가중치 마스크를 적용하므로 에지 검출 특성이 다소 미흡하다. 따라서 기존의 에지 검출 방법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국부 마스크 내의 평균 및 표준편차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한 후 에지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국부증착용 마이크로 샤도우 마스크 제작 (Fabrication of Miniaturized Shadow-mask for Local Deposition)

  • 김규만;유르겐부르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52-156
    • /
    • 2004
  • A new tool of surface patterning technique for general purpose lithography was developed based on shadow mask method. This paper describes the fabrication of a new type of miniaturized shadow mask. The shadow mask is fabricated by photolithography and etching of 100-mm full wafer. The fabricated shadow mask has over 388 membranes with apertures of micrometer length scale ranging from 1${\mu}{\textrm}{m}$ to 100s ${\mu}{\textrm}{m}$ made on each 2mm${\times}$2mm large low stress silicon nitride membrane. It allows micro scale patterns to be directly deposited on substrate surface through apertures of the membrane. This shadow mask method has much wider choice of deposit materials, and can be applied to wider class of surfaces including chemical functional layer, MEMS/NEMS surfaces, and biosensors.

Salt & Pepper 잡음 환경에서 국부 마스크를 이용한 에지 검출에 관한 연구 (An Algorithm on Edge Detection using Local Mask in Salt & Pepper Noise Environments)

  • 이창영;김남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87-789
    • /
    • 2014
  • 영상처리는 현재 스마트폰, 스마트 TV, 휴대용 PC 등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에지 검출은 대부분의 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에지를 검출하기 위한 관련 연구는 끊임없이 진행 중에 있다. 대표적인 에지 검출 방법은 Roberts, Laplacian, LoG(Laplacian of Gaussian) 등의 방법이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은 Salt & Pepper 잡음에 훼손된 영상에서 에지 검출 특성이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alt & Pepper 잡음 환경에서 국부 마스크의 요소들을 이용하여 우수한 특성의 에지 검출 특성을 가지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 PDF

기도유지기 마스크 환기마취를 이용한 비관혈적 비골골절 정복술 (Closed Reduction of Nasal Bone Fracture Under the Mask Ventilation Anesthesia Using Oral Airway)

  • 박병찬;남현재;이준호;김용하;허민정;서일숙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77-80
    • /
    • 2008
  • Purpose: The majority of nasal fractures have been treated by closed reduction. And they were manipulated under local anesthesia or general anesthesia. Under the local anesthesia, patients can feel the pain and fear, so general anesthesia through the endotracheal intubation became popularized recently to treat the nasal fracture. But it has still the drawbacks of postanesthetic complication. Therefore, under the mask ventilation anesthesia using oral airway, we tried to manipulate the nasal fracture. Methods: From July 2007 to November 2007, we worked with fifty patients that were manipulated the nasal fracture. Fifty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general anesthesia with the endotracheal intubation group(n=25) and the mask ventilation using oral airway group(n=25). We checked up the anesthesia time, postanesthetic complication, postoperative aesthetic & functional problem of nose in two groups. Results: In total operation time and sore throat frequency among the postoperative anesthetic complication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ask ventilation group and the endotracheal intubation group(p<0.05). But there was no difference statistically in nausea frequency(p>0.05). And no patients complained of postoperative nasal complication such as septal deviation, septal perforation, nasal obstruction and hump nose in two groups. Conclusion: Through the mask ventilation using oral airway, we could reach satisfactory results in the anesthetic time and postanesthetic complication.

스크린 인쇄용 미세 범프 금속마스크의 변형특성 해석 (Deformation Analysis of a Metal Mask for the Screen Printing of Micro Bumps)

  • 이기연;이혜진;김종봉;박근
    • 한국생산제조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08-414
    • /
    • 2012
  • Screen printing is a printing method that uses a woven mesh to support an ink-blocking stencil by transferring ink or other printable materials in order to form an image onto a substrate. Recently, the screen printing method has applied to micro-electronic packaging by using solder paste as a printable material. For the screen printing of solder paste, metal masks containing a number of micro-holes are used as a stencil material. The metal mask undergoes deformation when it is installed in the screen printing machine, which results in the deformation of micro-holes. In the present study, finite element (FE) analysis was performed to predict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a metal mask. For an efficient calculation of the micro-holes of the metal mask, the sub-domain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perform FE analyses connecting the global domain (the metal mask) and the local domain (micro-holes). The FE analyses were then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lot designs on th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from which more uniform and adjustable deformation of the metal mask can be obtained.

한국 동남부 탈놀음과 공동체와의 상관성 고찰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the Community and the Mask dramas of Korea southeast region)

  • 정상박
    • 공연문화연구
    • /
    • 제32호
    • /
    • pp.7-30
    • /
    • 2016
  • 한국의 동남부 지역의 탈놀음과 공동체와의 상관성을 따지고 그 존재양상을 살펴보았다. 우리 민속 탈놀음은 전통사회에서 공동체 구성원이 잘 살기 위하여 행하고 즐기는 문화행위였다. 21세기에 탈놀음을 공연하더라도 전통사회의 삶의 양상이 담겨져 있을 뿐 아니라 전통사회의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그 기법과 기능도 현대의 것이 아니라 전통사회의 유산이다. 탈놀음의 예능과 놀이양상이 비교적 온전히 전승된 것 중에서 문화적 가치가 있는 것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여 인위적으로 전승시키고 있다. 한국 동남지역, 즉 경상도지방은 여러 장르의 탈놀음이 전승되었다. 즉, 지역공동체가 행하는 하회별신굿탈놀이 등의 굿탈놀음, 고을공동체가 행하는 통영오광대 등 토박이오광대, 고을공동체가 행하는 수영야류 등 토박이 탈놀음인 들놀음, 밤마리 대광대패 등 연희공동체가 행하던 떠돌이오광대 등이 전승되고 있었다. 광대패, 사당패, 남사당패 등 지역공동체와 관계없이 유랑하는 연희집단은 인적 결합을 한 특수한 공동체다. 이들은 먹고 살기 위하여 연희를 하면서 떠돌며 사는 특수집단이다. 이들은 생산적 활동과 집단적 생활을 공유하는 연희공동체다. 한국 동남지역의 탈놀음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각광을 받으니까, 합천밤마리오광대, 김해오광대, 마산오광대, 거제영등오광대 등 소위 복원하는 것이 생겨났다. 탈과 대사가 전하고 있어도 과거에 놀았던 사람이 없으면 행위 전승, 즉 예능의 전수가 이루어 질 수가 없으므로 놀이가 전승되었다고 볼 수 없다. 공연물의 동영상을 보고 그대로 모방하여도 예능의 전승이 아니고 복원이다. 이런 복원은 이미테이션(imitation)이다. 과거의 놀이 양상을 알 수 없어서 다른 탈놀음을 참조하여 만들면 창작을 한 것이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복원이라고도 할 수 없다. 이런 것들은 전통사회의 공동체와는 무관하여 무형문화재의 범주에 들기 어렵다. 그러나 아무리 시대가 지난 예술을 복원 혹은 모방한 것이라도 성행하면 하나의 문화현상으로 보아야 한다. 따라서 이것을 제도적으로 지원할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한 연구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대상으로 - (A Study of Assessment and Awareness by Local Festival Participants' to the Significance of Local Festival : Case Study of Andong International Mask Dance Festival)

  • 황화석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59-272
    • /
    • 2015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1"을 대상으로 축제참가자의 지역축제 의의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관해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참가한 축제참가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은 대졸학력의 20~40대 연령층과 가족단위의 방문객이 주를 이루었으며, 외지인과 지역주민 간의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지역축제 특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지역축제가 지역문화자원 활용정도와 지역축제의 주제 반영정도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주제의 반영정도는 지역주민들의 사례축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역축제의 의의는 지역주민 화합, 지역 경제활성화 그리고 지역 홍보 및 지역 이미지 제고이다. 여기서 지역주민과 외지인들은 지역 홍보 및 이미지 제고를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한데 비해 지역주민 화합에는 다른 설문항목에 비하여 긍정적인 인식이 낮았다. 따라서, 사례축제가 보다 지역사회에 깊게 뿌리내림 하기 위해서는 축제를 통한 지역주민들의 문화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보다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그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지역주민들을 위한 프로그램마련과 축제의 기획, 집행, 평가 과정에서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가능한 다양한 창구를 마련하여 지역주민들의 참여를 확대할 것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