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ingroom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1초

고령자주택의 조명환경 실태조사 (Actual Conditions on the Illumination Environment of the Elderly House)

  • 안옥희;최미향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9-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주택의 조명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고령자만이 거주하고 있는 주택 50가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자가 느끼는 주택조명의 밝기는 거실과 부엌은 보통정도이며, 침실과 화장실은 조금 어두운 것으로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주택조명에 대한 만족도에서는 대체로 보통이상으로 만족하고 있었다. 둘째, 고령자주택의 조명환경 문제점은 밝기와 관리라고 생각하며, 조명환경 개조 시 밝기와 설비의 노후를 고려하였으며, 개조 시 밝기에 가장 중점을 두기를 원하였다. 셋째, 조명의 사용방법은 침실과 화장실은 전반조명만의 사용이 압도적이며, 부엌은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의 병용이 압도적이다. 거실은 전반조명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전반조명과 국부조명을 병용하는 경우도 약 4할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광원의 사용을 보면, 침실과 거실에서는 주로 형광등을 사용하며, 부엌과 화장실에서는 국부조명의 광원으로 백열등을 사용하였다. 넷째, 침실의 평균조도는 104.17[lx], 평균균 제도는 60.22[%]이며, 거실의 평균조도는 116.15[lx], 평균균제도는 51.48[%]이며, 부엌의 싱크대 평균조도는 236.40[lx], 식탁의 평균조도는 160.73[lx], 화장실의 세면대의 평균조도는 109.81[lx], 변기의 평균조도는 74.33[lx]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기준보다 어둡다.

공동주택의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 성능평가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Hybrid Ventilation System for Apartment Houses)

  • 전주영;김길태;김상희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1호
    • /
    • pp.89-96
    • /
    • 2012
  • 본 연구는 공동주택에서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CFD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설계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전용 $51m^2$, $84m^2$의 공동주택을 선정하였으며,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은 창틀자연급기와 각실을 덕트로 연결하여 배기하는 시스템(Hybrid 1)과 창틀자연급기와 욕실 거실배기가 혼합된 시스템(Hybrid 2)을 적용하였다. 이때 각 시스템별 배기구의 위치를 변수로 하여 CFD를 수행하였다. $51m^2$, $84m^2$ 모두 Hybrid 2가 Hybrid 1보다 환기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공기연령 또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Hybrid 1의 경우, 덕트 배기구의 위치가 각 실 입구에 설치하는 것보다 실 안쪽 모서리에 설치하여 기류이동을 많이 유발할 수 있는 유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Hybrid 2의 경우, 욕실 고정압팬에 덕트를 연결하여 거실중심에 배기구를 설치하는 시스템이 환기효율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1m^2$의 경우 Hybrid 2가 Hybrid 1보다 20%의 향상된 환기효율을 나타낸 반면, $84m^2$의 경우는 14%의 향상된 환기효율을 나타내 공동주택 규모에 따른 적정한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공동주택 평면특성의 가격영향에 관한 연구 - 강남3구의 2005년 이후 분양주택을 중심으로 - (Effect of Floor Plan Characteristics on Housing Price - Focused on the Apartment in 3 Gangnam Districts since 2005 -)

  • 배상영;이재원;이상엽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102-110
    • /
    • 2018
  • 본 연구는 아파트의 평면특성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의 주요 아파트 시장인 강남3구의 최근 십년 간 입주한 국민주택규모 이하의 아파트 평면특성과 주택가격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엌창고와 드레스 룸과 같은 수납공간은 가격에 정(+)의 효과가 있으며, 개방성이 높은 3면 개방형 평면과 부엌과 거실이 부분 차단되어 있으나, LDK통합형으로 설계된 평면이 높은 가격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엌공간의 경우 1자형 부엌이 더 높은 가격을 보이며, 거실은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가격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 동안 경향분석이나 기초분석 및 만족도 분석 위주의 평면연구가 진행 되어온 것과 달리 평면특성이 직접적으로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데 학술적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향후 평면 설계 및 분양가 책정에 시사점을 제공하고 주택구매자들의 의사결정에 활용되고자 하는 연구목적을 가진다.